"관세 불확실성 해소로 환율 안정·수출 둔화 완화 기대"
반도체·자동차 중심 실적 회복세…"이익 상향 조정 본격화"
핵심 변수 '고용보고서'…FOMC 금리 인하 기대 재점화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 경신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11월 첫째 주 국내 증시는 단기 과열에 따른 조정과 함께 글로벌 기술주 변동성, 한미 관세 협상 후속 이행 여부에 주목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인공지능(AI) 투자 부담이 단기 부담으로 작용하겠지만, 반도체·자동차 등 실적 모멘텀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진단했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0월 마지막 주 코스피는 전일대비 20.61포인트(0.50%) 오른 4107.50에 장을 마치며 종가 기준 역대 처음으로 4100선을 넘어섰다. 4000선을 넘어선 코스피는 4거래일만에 4100선을 돌파하며 상승세를 이어간 것이다.
미국 뉴욕 증시는 미·중 정상회담 이후에도 하락세로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유예하고 미국산 대두 수입을 재개한 가운데, AI 인프라 투자비용이 급증한 메타가 250억 달러(약 35조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에 나서면서 주가가 11% 급락했다. 반면 알파벳과 아마존은 클라우드 부문 수익성 개선과 AWS의 호조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AI 투자가 다시 기업 간 수익 격차를 키우는 구간으로 진입했다"며 "AI 기반 수익화 능력에 따라 종목 간 차별화 장세가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 |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인한 '경제 정상화' 기대도 남아 있다. 이번 협상으로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가 15%로 인하되고, 의약품·목재 제품에는 최혜국 대우가 적용된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관세 불확실성 해소가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환율 안정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내년 수출 감소 폭이 기존 전망 대비 약 30% 완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그는 "시장에 빠르게 반영된 이벤트 특성상 장기 주가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며 "향후 2000억 달러(약 285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 실행 여부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업종별로는 '반도체'와 '자동차'가 이번주 핵심 변수로 꼽힌다. 안지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10월 코스피 영업이익 추정치가 78조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2.1% 증가하며 8.5% 상향 조정됐다"며 "특히 반도체, 조선, IT가전, 호텔·레저 등에서 실적 상향이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한미 관세 협상 이후 자동차 관세가 25%에서 15%로 인하되며 현대차 기준으로 7800억원의 비용이 절감된다"며 "현대차·기아는 관세 부담 해소와 엔비디아와의 협력 확대에 힘입어 'AI 내러티브'가 시작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번주 국내외 일정도 풍부하다. 3일에는 미국 ISM 제조업 PMI, 호주중앙은행(RBA) 통화정책회의(3~4일)가 예정돼 있으며, 5일에는 미국 ISM 서비스업 PMI, 6일에는 영국중앙은행(BOE) 통화정책회의, 7일에는 미국 고용보고서 발표가 예정돼 있다. 특히, 고용보고서는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을 가늠할 핵심 변수로 꼽힌다. 최근 연준 위원들이 "연내 인하 검토 가능성"을 언급한 가운데, 고용지표가 둔화될 경우 시장은 금리 인하 기대를 다시 선반영할 수 있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준의 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 가능성이 높아진 만큼 유동성은 여전히 시장을 지탱하는 핵심 요인"이라며 "삼성전자 등 반도체 실적 개선세가 지속되면 코스피 상방 압력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증권가에서는 이번주 시장 전략으로 순환매 대응과 실적 기반 비중 확대를 제시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쏠림현상으로 지수가 레벨업된 만큼, 디스플레이·에너지·철강 등 실적 대비 저평가 업종 중심의 순환매 전략이 유효하다"며 "단기 조정은 매수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지연 키움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단기 숨고르기 후 상승을 재개할 것"이라며 "정부의 증시 정상화 정책(정책), 반도체 중심의 증익 사이클(실적), 연준 금리 인하(유동성) 등 3대 축이 당분간 유효하다"고 진단했다. 다만 "반도체·2차전지 등 특정 대형주의 쏠림과 기술적 과매수 인식이 나타나는 만큼, 간헐적 기간 조정 가능성은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nylee5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