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러 핵전력 고도화에 미국 우방국 안보 위협 커져"
트럼프 핵실험 재개 선언엔 "단정하지 않겠다" 신중 자세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와 중국을 겨냥해 미국의 핵실험 재개를 선언한 가운데, 미군 수뇌부 인사가 북한의 핵전력 증강이 미국과 동맹국에 실질적 위협이 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의 핵전력 현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리처드 코렐 미국 전략사령부(USSTRATCOM) 사령관 지명자는 30일(현지시간) 상원 군사위원회 인준 청문회에 앞서 제출한 서면 답변서에서 "북한, 중국, 러시아가 핵전력을 확장하고 현대화하면서 미국과 동맹국에 실질적인 위협을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세 나라가 핵 능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새로운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며 "첨단 무기 체계가 실전 배치되면 위협 수준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성조지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현재 전략사령부 부사령관으로 해군 부제독인 코렐 지명자는 이날 청문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전날 핵실험 재개 선언에 대해 "최선의 군사적 조언을 제공하겠다"고만 답했다. 그는 이어 핵억제 임무를 맡은 사령부 수장으로 임명된다면 "대통령의 우선순위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다른 나라들과 동등한 조건에서 핵실험을 시작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서는 "그것이 실제 핵실험을 의미한다고 단정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중국이나 러시아 모두 최근 핵 폭발 실험을 한 적이 없다"며 "대통령의 발언을 과도하게 해석할 필요는 없다"고 덧붙였다.
|  | 
| 리처드 코렐 미국 전략사령부(USSTRATCOM) 사령관 지명자가 2025년 10월 30일(현지시간) 상원 군사위원회 인준 청문회에 나와 답변하고 있다. [사진=상원군사위 제공] |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다른 나라들이 모두 핵실험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오래전 중단했지만, 다른 나라들이 하는 상황에서 우리도 하는 게 타당하다고 본다"며 핵실험 재개 방침을 공식화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번 선언이 러시아·중국과의 군사 경쟁을 더욱 심화시키고, 새로운 핵실험 및 군비 경쟁을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워싱턴 소재 군비통제협회(Arms Control Association)의 대릴 킴벌 사무총장은 워싱턴포스트(WP)에 "미국이 핵 폭발 실험을 재개할 기술적, 군사적, 정치적 이유는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핵실험을 감독하는 국가핵안보국(NNSA)은 즉각적인 실험 재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며, 네바다 실험장에서 지하 핵실험을 다시 시작하려면 최소 36개월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재 NNSA 직원 대부분은 연방정부 셧다운 여파로 무급휴직 중으로, 과거 필수 인력으로 분류됐던 때와는 대조적이라고 WP는 전했다.
dczoomi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