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자본 회귀, 중국주식 익스포저 확대
A주 상승 중심축, 기술주 주도 '테크 불'
                        
                        이 기사는 10월 30일 오후 4시34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A주 불장 "더 오를까"① 상승세의 중심축 '기술 불마켓'>에서 이어짐.
◆ 외자 귀환의 시작, 중국株 익스포저 확대
또 하나 눈에 띄는 것은 외국자본의 중국시장 포지셔닝이 '탐색적 유입'에서 '전략적 확장' 단계로 격상됐다는 것이다.
9월 외국자본 기관의 조사연구 데이터를 살펴보면, 415곳의 외자기관은 중국 반도체와 공업기계 분야에 대한 조사연구에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자기관 전체 조사연구 비중의 48%를 차지한다. 양대 섹터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반영한다.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는 "미국 투자자들의 중국 주식에 대한 관심이 5년래 최고 수준에 도달했으며, 미국자본의 귀환은 이제 막 시작 단계일 뿐"이라고 평했다. 현재 90% 이상의 미국 투자자가 중국 시장에 대한 익스포저(위험에 노출된 금액) 확대 의향을 명확히 표명했으며, 이는 2021년 초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모건스탠리 왕잉(王瀅) 중국 주식 수석 전략가는 "최근 미국에서 1주 반 정도의 기간 동안 로드쇼(투자 설명회)를 진행한 결과, 현재 미국 투자자들의 중국 주식시장에 대한 관심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의 수준을 훨씬 상회한다"고 밝혔다.
왕 수석 전략가는 다음의 세 가지 근거를 기반으로 "우리는 향후 1년 간의 중국 증시에 대해 매우 낙관적 전망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세 가지 근거로는 △거시경제 측면 : 안정화 추세가 뚜렷해졌고, 글로벌 자본의 중국 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계속 높아지고 있다는 점 △혁신 측면 : 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 로봇 등 미래형 첨단산업에서의 중국 기술 발전이 두드러지며, 세계 시장에서도 중국의 혁신경쟁력이 인정받고 있다는 점 △중국주식 보유 측면 : 글로벌 투자자의 중국주식 보유 비중이 여전히 낮은 수준이어서 향후 추가 매수 여력이 크다는 점 등이 거론됐다.
UBS 투자은행의 왕쭝하오(王宗豪) 중국 주식 전략연구 총괄은 "최근 미국과 아시아 지역 로드쇼에서 중국 주식에 대한 해외 투자자의 관심이 뚜렷하게 높아졌음을 파악했다"면서 "글로벌 시장 대비 저평가된 중국 자산과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가 맞물리면서 외국 자본의 추가 유입 가능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왕 총괄은 "특히 외국 투자자들은 중국의 AI 기술 진보, 반내권(反內卷, 업계 내 소모적 과다경쟁을 방지) 테마 등 사회·기술 전환 분야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면서 "현재 UBS는 A주의 기술∙미디어∙통신(TMT) 및 증권 섹터 비중을 중립 이상으로 상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중국인민대학 중국자본시장연구원 자오시쥔(趙錫軍) 공동 원장은 "글로벌 시장 속에서 중국 자본시장의 매력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글로벌 투자자들은 점차 위안화 자산 비중을 늘리고 있다"고 평했다.
|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10.02 pxx17@newspim.com | 
◆ A주 불마켓의 중심축이 된 '기술 성장주'
국내외 다수 기관들은 A주의 중기적 흐름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는 동시에, A주 상승의 중심축이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고 진단한다.
중국 퍼스트시프론트펀드(前海開源基金) 양더룽(楊德龍)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현재의 A주 강세장은 '기술 성장주'가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양 이코노미스트는 "제15차 5개년 계획 기간의 최우선 목표는 고품질 발전의 뚜렷한 성과를 도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기술자립 역량을 대폭 강화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진단했다.
즉, 향후 5년 간의 경제 성장 동력은 기술 혁신이 될 것이며, 자본시장은 과학기술 혁신과 산업의 고품질 발전을 연결하는 '허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자본시장의 허브 역할은 △1차 시장으로의 사모펀드(PE)와 벤처캐피털(VC)을 통한 자금 유입이 초기 하드코어 테크놀로지(AI∙우주항공∙바이오∙반도체∙정보∙신소재∙신재생에너지∙스마트제조 등으로 대표되는 최첨단 기술)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2차 시장에서의 상장을 통해 더 많은 혁신기업이 산업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무대를 마련해주는 것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자본시장의 역할 속에 휴머노이드 로봇, 반도체, 전고체 배터리, 혁신신약, 저공경제(低空經濟, 유인주행 또는 무인자율주행 항공기의 저공 비행을 견인차로 하여 연계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내는 경제) 연계 산업 등은 투자금 유입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양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자산은 현재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재평가) 가속기에 진입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러한 평가를 뒷받침하는 근거로는 △A주 기술주는 이미 10년 이상 상승세를 유지해 왔으나, 홍콩 기술주의 상승 사이클은 1년 남짓으로 이제 막 시작 단계라는 점 △시총 측면에서 중국 주요 인터넷 기업들의 시총은 수조 위안 수준이지만, 미국의 동종 빅테크 기업들은 조 달러(1조 달러 = 약 7조 위안) 단위로 그 격차만 보더라도 중국 빅테크의 상승 여력이 크다는 점을 들었다.
<A주 불장 "더 오를까"③ 상승세의 중심축 '기술 불마켓'>으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