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생태계 제약·수도권 편중 문제
기술창업 육성 및 통합 플랫폼 제시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의회 의원연구단체인 '부산시 스타트업 성장 정책 연구회(이하 스타트업 연구회)'는 지난 28일 오후 4시 시의회 중회의실에서 정책연구용역인 '미래 전략산업 육성 및 스타트업 활성화 방안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최종보고회는 부산 산업 쇠퇴 원인과 기존 창업 생태계 한계를 진단하고, 스타트업을 지역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 대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고회에서는 연구진이 ▲창업·투자 생태계 구조적 제약 ▲수도권 편중으로 인한 인프라 미스매치 ▲산·학·연 연계 및 인재 매칭 부족 ▲협업·멘토링 단절 등을 주요 문제점으로 진단했다.
![]() |
| 지난 28일 오후 4시 부산시의회 중회의실에서 열린 '부산시 미래 전략산업 육성 및 스타트업 활성화 방안' 최종보고회 [사진=부산시의회] 2025.10.29 |
해법으로 ▲전략산업 연계형 기술창업 육성 ▲성장단계별 맞춤 지원 사다리 구조 ▲산학연 통합 플랫폼 구축 ▲지속가능한 생태계 기반 조성 등 부산형 스타트업 활성화 방향을 제시했다.
정원호 부산대 교수는 "전략산업과 창업이 유기적으로 맞물린 통합 성장모델이 필요하다"며 "9대 전략산업과 연계한 스타트업 전용 인큐베이팅 프로그램과 성장단계별 투자·보육 사다리 체계를 구체화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역 펀드 2조 원에도 초기 창업투자가 활발하지 않은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펀드·민간투자·지역펀드 공동운용 체계와 재도전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형철 스타트업 연구회 대표의원은 "부산이 스스로 창업 생태계를 설계하고 제도화할 수 있는 실천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조례 제·개정과 제도 정비를 통해 통합 지원 컨트롤타워 구축, 전략산업별 인큐베이팅 운영, 지방대학 기반 기술창업 체계 확립을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책의 연속성과 실행력 확보를 통해 부산이 스타트업이 머무르고 성장하는 도시로 전환되도록 실질적 제도 기반을 강화하겠다"며 "민간투자 활성화와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을 통해 국내를 넘어 글로벌 스타트업 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ndh4000@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