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까지 전사 시스템 AI 전환 목표
품질예측 정확도 90% 달성 계획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에코프로가 인공지능(AI) 기반 품질예측과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오는 2027년까지 생산성을 30% 높이기로 했다.
에코프로는 최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KOTMI), 디엘정보기술, 미소정보기술, 충북테크노파크 등과 함께 'AI 자율제조 국책과제 2차년도 워크숍'을 열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추진 중인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의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에코프로는 이번 2차년도 연구를 1차년도 성과를 바탕으로 제조공정에 본격 적용할 방침이다. 지난해에는 소성로 품질예측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예측정확도 87% 수준의 AI 품질예측 모델링을 개발했다.
![]() |
에코프로의 AI자율제조 이차전지 선도과제 워크숍 모습 [사진=에코프로] |
올해부터는 ▲설비와 로봇의 자율제어 ▲AI 품질예측 고도화 ▲실시간 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등 핵심 기술을 현장에 적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27년까지 전사 주요 업무 시스템을 AI 기반으로 전환하고, 업무 효율을 30% 높이는 것이 목표다. 품질예측 모델의 정확도는 9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에코프로비엠은 근적외선(NIR) 센서와 자율이동로봇(AMR) 등 스마트 설비를 현장에 도입한다. 원료 투입량을 실시간으로 제어하고, 고온·분진 환경에서 작업자 대신 로봇이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가니(소성로 용기) 추적 시스템을 운영해 공정을 자동화하고 품질 데이터를 즉시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에코프로는 생산관리시스템과 설비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레이크를 구축해 제조현장의 모든 정보를 AI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ETRI는 실제 제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품질예측 모델과 주요 인자 상관분석 등 데이터 전처리 기술을 고도화한다. 미소정보기술과 디엘정보기술은 데이터 플랫폼과 시각화 시스템을 개발해 그룹 내 공정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도록 지원한다.
이수호 에코프로 AI혁신실장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AI 자율제조의 마스터플랜과 세부 과제 진행방향을 점검하고, 그룹 내 AI 기반 공정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실질적 실행력을 확보할 것"이라며 "AI와 데이터 기반 제조 혁신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