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기업 위기, 정부 외교·통상 대응 부실 탓"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국내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이자 비용조차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경영난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계기업 수와 여신잔액이 지난해보다 두 배 가까이 급증해 수출 기반 산업의 위기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 |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 [사진=박수영 의원실] 2025.08.29 |
6일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부산 남구)이 한국수출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수출입은행 한계기업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충당하지 못한 한계기업은 141개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06개에서 크게 늘어난 수치다.
한계기업에 대한 여신잔액 총액은 2조 4900억 원이던 지난해 대비 56% 증가한 3조 9000억 원에 달했다. 2022년 이후 다소 줄었던 한계기업 수와 대출액이 올해 들어 급격히 불어나면서, 글로벌 경기 둔화와 국내 통상환경 악화의 여파가 현실화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기업의 위기 상황은 더 뚜렷하다. 대기업 한계기업 수는 지난해 10개에서 올해 8월 기준 15개로 50% 이상 증가했다. 이들 기업의 여신 잔액은 1조 1700억 원에서 2조 4400억 원으로 두 배 이상(107.8%) 급증했다.
중견기업 역시 한계기업이 55개에서 73개로 늘었고, 중소기업도 41개에서 53개로 증가해 기업 규모를 막론하고 악화 추세를 보였다.
박수영 의원은 "수출과 해외투자에 앞장서온 글로벌 기업들이 경영 한계에 내몰린 현실이 통계로 확인됐다"며 "이재명 대통령의 반미 기조와 지연된 외교 대응으로 한미 관세협상이 장기화되면서 기업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출입 기업의 경영환경을 개선하려면 조속히 한미 관세협상을 타결해 숨통을 트이게 해야 한다"며 "정부와 금융당국이 기업들의 유동성 위기를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맞춤형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