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임교통·지역화폐 정책 강화
노인 일자리·치매센터 운영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창원시는 2025년 6월 기준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면서 노인친화적 정책을 강화한다고 2일 밝혔다.
6월 기준 창원의 주민등록인구는 99만 4887명이며 이 중 65세 이상은 19만 9001명으로 전체의 20.24%에 이른다.
![]() |
장금용 경남 창원시장 권한대행이 추석을 앞두고 1일 동진노인복지센터를 방문해 어르신의 안부를 묻고 있다. [사진=창원시] 2025.10.02 |
시는 2020년에 고령사회(14% 이상 20% 미만)로 진입한 이후 매년 1%포인트 이상의 증가세를 기록해 5년 만에 초고령사회가 됐다.
이에 대응해 2023년 제2기 고령친화도시 5개년 실행계획을 수립하는 등 초고령사회 대비 정책을 추진 중이며 2023년 9월에는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고령친화도시 인증 2기를 받았다.
시는 어르신의 이동권 보장과 생활복지 향상을 위해 75세 이상 대상 버스 무임교통 지원을 확대하고 운전면허 반납 시 지역 화폐 지급 등 교통 친화 정책을 실시한다.
스마트 경로당 도입으로 비대면 건강 관리와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노인 맞춤 돌봄 사업과 인공지능 통합 돌봄으로 사회안전망을 강화한다.
올해 632억 원을 투입해 전국 최대 규모인 1만 6397개의 노인 일자리 사업을 추진 중이며 고령자 취업 활성화를 위한 기업 지원 정책도 병행한다.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권역별 치매안심센터 운영과 맞춤형 사례관리, 시립 노인주간보호센터 건립도 진행 중이다.
장금용 창원시장 권한대행은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다양한 정책을 통해 어르신들이 안전하고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