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적어도 20년, 길게는 40년...100세 시대 대비해야
초고령사회 본격 진입...골든라이프센터, 노후 자산 관리 문턱 낮춰
재산·인간관계·가족건강·좋아하는 일 등 파악...막연한 불안감 떨쳐야
월간안다 2025년 10월호에 실려 기출고된 기사입니다.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요즘 시니어는 예전과 다릅니다."
조혜진 KB국민은행 골든라이프 분당센터장은 "60대에 은퇴해 10년치 노후를 준비하는 시대는 끝났다"며 이렇게 말다. 은퇴 이후 적어도 20년 이상, 길게는 40년의 노후를 대비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30여 년 경력의 조 센터장은 2007년부터 KB국민은행 영업점 PB팀장으로 근무하며 VIP 고객의 자산관리를 도맡아 온 베테랑이다. 올해 KB골든라이프 분당센터장으로 부임해 시니어 자산관리 및 상담을 맡고 있다.
![]() |
[성남=뉴스핌] 류기찬 기자 = 조혜진 KB골든라이프 분당지점 센터장이 3일 오후 경기 성남시 분당구 KB골든라이프센터 분당지점에서 뉴스핌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5.09.03 ryuchan0925@newspim.com |
KB골든라이프센터는 2020년 7월 은행권 최초로 출범한 시니어 종합 상담센터다. 서울 남대문·목동·분당·평촌범계센터 등 전국 12개 센터를 운영 중이며 연금, 자산 축적, 추가 자산 창출, 자산 활용, 상속·증여 4개 영역에 대한 토탈 케어를 제공한다. 시니어 상담 문턱을 크게 낮춰 노후 준비가 필요한 고객 전반으로 접근성을 넓힌 점이 특징이다.
시니어 자산관리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올해 한국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에 첫발을 내디뎠다. 현재 1차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70대에 접어들고 있으며 2차 베이비붐 세대(1964~1974년생)도 은퇴 연령에 진입 중이다.
조 센터장은 "평범한 사람일수록 노후 준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른바 100세 시대를 앞두고 있는 만큼 고액 자산가뿐 아니라 일반 고객들도 적극적으로 노후 자산설계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자산가들은 비교적 젊은 시절부터 적극적으로 본인의 노후를 준비하지만, 일반 고객들은 노후 자산관리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50~60대에 은퇴하고 나면 40년의 삶이 남아 있는 만큼 최소 은퇴 5~10년 전부터는 노후에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후 자산 상담을 받기 전 체크해야 할 사항은 ▲본인의 재산 내역 ▲인간 관계 ▲가족의 건강 ▲좋아하는 일 등이다. 조 센터장은 "재산의 내역을 알아야 유동화하거나 인출 계획을 준비할 수 있고, 인간 관계의 폭이나 성격 등을 통해 지출의 비중을 조절한다"며 "가족의 건강을 체크해 의료비 및 돌봄 비용 등을 예상하고, 의미 있는 생활을 하기 위한 나만의 평생 일을 고민해야 행복한 노후를 준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성남=뉴스핌] 류기찬 기자 = 조혜진 KB골든라이프 분당지점 센터장이 3일 오후 경기 성남시 분당구 KB골든라이프센터 분당지점에서 뉴스핌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5.09.03 ryuchan0925@newspim.com |
또한 길어진 노후에 따라 자산관리 측면의 전문성도 요구된다. 조 센터장은 "수명 연장으로 인해 연금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비혼, 재혼, 딩크 등 가족 형태의 다양화로 고객들의 자산관리 니즈도 다양해졌다"고 말했다. 그는 "정기예금 위주의 안정자산으로 주로 관리했던 과거에 비해 베이비부머 은퇴세대들은 채권, ELB, ELD 등 원리금 보전 상품을 이용하거나 증권투자신탁(펀드), ETF, TDF 등 간접투자 상품 또는 주식, 달러, 코인, 금 등을 운용하는 특징을 보인다"며 "부동산 자산도 미리미리 이전 계획을 세우거나 연금화하는 경우도 많다"고 덧붙였다.
KB골든라이프센터에서는 기본 자산 설계뿐만 아니라 변호사, 세무사 등 전문가들과 함께 법률, 세무 상담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조 센터장은 "많은 고객들이 부모 세대를 부양하고 자녀들을 뒷바라지하느라 정작 자신의 노후 준비에는 소홀해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있다"며 "제반 법규, 금융 시황, 세무 지식, 축적된 상담 노하우를 바탕으로 명쾌한 해답을 제시하는 평생 금융 파트너가 되겠다"고 약속했다.
rom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