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미국 등 4개사 '오프테이크' 확보
가격보장·대출완화·비축구매 등 3가지
MP식 가격보장이 주가에 중장기 유리
HC웨인라이트 목표가 8달러, 2배 상향
이 기사는 9월 30일 오전 11시3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지분 수집? 니오코프 ①MP·LAC와 유사한 행보>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USGS에 따르면 브라질산 니오븀 공급 중단 시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연간 수백억달러의 손실을 볼 것으로 추정됐는데 이는 전략광물 중단이 미국 경제에 미칠 충격 중 로듐에 이어 2번째로 큰 피해로 분석됐다.
니오코프는 리튬아메리카스와 마찬가지로 대형 기업들과 오프테이크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오프테이크 계약은 민간 시장이 개발 광산의 가치를 인정했다는 증거로 정부의 지분 투자를 뒷받침하는 명분이 된다.
![]() |
니오코프의 엘크크릭 프로젝트 경제성 평가 지표 [자료=니오코프] |
니오코프와 오프테이크 계약을 체결한 곳은 총 4곳이다. 티센크루프(독일), CMC코메탈스(미국), 트랙시스USA(룩셈부르크 본사의 미국 자회사), 스텔란티스(네덜란드)다. 오프테이크 계약은 생산전 단계에서 구매자가 미래 생산물의 일정량을 구매하기로 약속하는 계약이다.
구체적으로 티센크루프는 니오븀 생산량의 50%, CMC코메탈스는 25%를 구매하기로 했다. 트랙시스USA는 10년 동안 120톤의 스칸듐을, 스텔란티스와는 10년 동안 전기차 모터용 희토류(부산물로 생산) 3종을 구매하기로 잠정 합의했다. 스텔란티스는 정식 계약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3가지 시나리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니오코프의 지분을 취득할 경우 예상할 수 있는 정책금융 설계 방식은 3가지다. ①가격보장과 결합한 지분 확보 ②대출 조건 완화와 지분 교환 ③국가비축 구매 약속과 결합한 지분 투자 등이다. MP머터리얼스와 리튬아메리카스에 적용된 사례는 각각 '1,3번'과 '2번'이다.
①은 정부가 우선주와 워런트로 지분을 확보하되 스칸듐이나 니오븀 판매가격이 기준선 아래로 떨어지면 차액을 보전해주는 방식이다. MP머터리얼스 모델과 유사한 것으로 정부가 가격 하한을 보장하면 니오코프의 금융 접근성이 향상되고 동시에 정부는 워런트를 통해 주가 상승 시 이익을 거둬 재정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
![]() |
니오코프 회사 설명 자료 갈무리 [자료=니오코프] |
②는 에너지부와 EXIM이 제공하는 대출 금리를 낮추거나 상환 기간을 늘려주는 대신 정부가 무상으로 워런트나 우선주를 받아 지분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어떻게 보면 정부 입장에서는 추가 자금 투입 없이 상환 조건 완화라는 양보를 통해 지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거다.
③은 정부가 스칸듐과 니오븀, 티타늄을 국가비축용으로 장기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최저 수입을 보장하는 방식이다. 국방부가 군수용으로 일정 물량을 매년 구매하기로 하면 시장가격이 하락해도 니오코프의 최저 수입이 보장된다. 니오코프는 현금흐름 안정화를 통해 금융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다.
◆4배 불구 낙관론
니오코프 주가는 올해 들어 가파르게 치솟는 양상이다. 현재 주가는 6.63달러(29일 종가)로 연초 이후 상승폭이 328%다. 올해 4월 중국의 스칸듐을 비롯한 7개 원소 수출제한 조처로 회사의 전략적 가치가 더 주목받았고 이달 8일 국방부의 자금 지원과 EXIM의 대출 협상 진척 등의 소식이 맞물렸다.
니오코프를 담당하는 애널리스트 수는 아직 제한적이지만 현재 담당자들은 모두 매수 의견과 추가 상승을 전망하며 일치된 낙관론을 보인다. 팁랭크스에 따르면 담당 애널리스트 2명은 모두 매수 의견이고 이들의 목표가는 각각 7달러와 8.25달러다.
가장 낙관적인 애널리스트는 HC웨인라이트의 하이코 F. 일레다. 일레 애널리스트는 이달 22일 목표가를 4달러에서 8.25달러로 상향하고 EXIM의 대출 협상 진척과 정부의 니오코프 광산 개발에 대한 관심을 그 이유로 들었다.
주가가 이미 상당폭 오르긴 헀으나 정부의 지분 취득 추진 소식이 나오면 긍정적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MP머터리얼스 같이 계획이 확정되거나 가격보장제가 적용되면 주가에 중장기적인 버팀목이 마련될 수 있다.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