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통계 조사별로 편차가 큰 컨센서스
"신규 취업자 수 5만명까지가 골디락스"
셧다운 위험 변수, '정보 암전' 가능성
개인투자자들 철수, '19년 이후 최대
이 기사는 9월 29일 오전 10시5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이번 주 미국 주식시장은 3일(현지시간) 고용통계 발표에 주목한다.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정책금리 인하 행보를 정당화하면서도 경제 냉각 공포는 유발하지 않을 '골디락스' 결과가 나올지가 초점이 된다.
골디락스의 결과가 긴요하게 요구되는 것은 최근 미국 주가의 상승세가 과열 부담론 속에서 주춤해지는 등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불안정해진 것을 배경에 두고 있다. '연내 2회 추가 정책금리 인하' 확신이라는 위험 감수를 뒷받침할 명확성이 필요하다.
![]() |
미국 주요 주가지수 및 자산군의 기간별 성과, 주간은 WEEK [자료=에드워드존스] |
![]() |
미국 S&P500 각 업종의 기간별 변동률(관련 ETF 기준), 주간은 1W% [자료=코이핀] |
지난주 미국 주요 주가지수의 시세는 모두 주간으로 하락했다. S&P500은 지난주 12일 정책금리 인하 기대감을 되살린 물가 지표 덕분에 반등했지만 그 전날까지는 사흘 연속 하락했다. S&P500이 올해 28차례나 최고가를 경신한 상황에서 고개를 든 과열론이 부담됐다.
◆편차가 큰 컨센서스
고용통계를 예상하는 컨센서스는 조사업체마다 편차가 크다. 비농업 부문 신규 취업자 수(8월분)는 로이터통신 집계치가 3만9000명, 블룸버그통신 5만4000명, 야후파이낸스 4만3000명이다. 종전의 고용통계 대규모 수정으로 인해 모델 예측력이 약화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나온다.
엠파워인베스트먼츠의 마르타 노턴 전략가는 "고용이 강하게 나오면 '금리 인하는 어디로 갔나'라고 반응할 것"이라며 "반대로 고용이 붕괴하면 '침체가 오는구나'라고 우려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고용통계가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진자 역할을 하고 있다"고 했다.
최근 주가 상승의 주된 동력인 '연내 2차례 정책금리 인하 기대감'은 다소 주춤해진 상태다. 연준이 2차례 인하하려면 일정상 10월 인하가 필수적인데 현재 초단기금리 선물 가격에 반영된 다음 달 인하 확률은 88%다. 이달 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직후에는 94%였다.
물론 10월 인하를 둘러싼 기대감은 아직 높은 편에 속하지만 최근 잇달아 서프라이즈를 연출하는 경제지표 상황을 볼 때 정책금리를 둘러싼 내러티브가 동결로 흘러갈 가능성도 배제하지는 못한다. 에드워드존스에 따르면 최근 블룸버그의 미국 경제 서프라이지수는 급격히 상승했다.
![]() |
블룸버그 미국경제서프라이즈지수 추이 [자료=에드워드존스] |
옥스퍼드이코노믹스는 8만5000명을 예상하고 이 정도 수치라면 연준의 10월 정책금리는 동결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EY파르테논의 그레고리 다코 이코노미스트는 "0~5만명 사이가 합리적"이라며 "5만명을 넘는 강한 수치가 나오면 금리 전망에 타격"이라고 했다.
◆'정보 암전' 위험
연방정부 셧다운 위험은 고용통계를 둘러싸고 긴장 상태에 놓인 주식시장을 '정보 암전'의 상태로 빠뜨릴 위험이 있다. 과거 20차례의 셧다운 동안 S&P500의 시세 변동(셧다운 지속 동안)은 평균적으로 제로에 가까웠다(트루이스트 조사)고는 하지만 이번에는 시세의 과열론이 제기되고 있는 터라 다른 상황이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
셧다운을 피하기 위한 임시예산안의 타결 시한은 9월30일이다. 앞서 11월21일까지를 시한으로 하는 7주짜리 임시예산안이 하원에서 공화당 단독으로 통과됐으나 상원에서 교착에 빠졌다. 상원까지 통과하려면 민주당의 최소 7표가 필요하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현재 시장에서 셧다운 위험은 무시된 상황이라고 한다.
셧다운이 고용시장에 가져올 여파는 종전보다 복잡해질 가능성이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이코노미스트들은 "백악관은 [셧다운이 발생하면] 휴직이 아닌 대량 해고를 준비하라고 연방기관들에 제안했다"며 "해고된 직원들이 새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지면 실업률 상승 압력이 가중될 것"이라고 했다.
◆개인투자자는 철수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중첩된 가운데 개인투자자 사이에서는 위험자산에서 발을 빼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개인투자자들이 선호하는 레버리지 ETF나 암호화폐 등 소위 투기성 자산에서 대규모 자금이 빠져나가고 안전형 자산으로 이동 중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달 들어 특정 자산 시세 변동률의 '배' 단위를 실현하도록 설계된 레버리지 ETF에서만 70억달러가 순유출돼 그 규모가 2019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대로 파악됐다고 한다. 예로 반도체 관련주 3배 레버리지 상품인 SOXL에서는 이달 23억달러가 넘는 자금이 빠져나갔다.
▶②편에서 계속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