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루팡팡데이...시흥 경제에 활력 불어넣다"
"쿠폰에서 축제로, 시흥의 상권 실험"
"소비쿠폰 효과, 시흥은 다르게 쓴다"
[시흥=뉴스핌] 박승봉 기자 = 정부가 국민 90%에게 1인당 10만원씩 지급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신청을 지난 22일 시작했다.
![]() |
시흥 삼미시장에서 한 시민이 시루로 결제하고 있다. [사진=시흥시] |
24일 시에 따르면 지난 1차에서만 9조원이 풀리며 골목상권이 즉각적인 매출 상승을 체감한 가운데, 경기도 시흥시는 이를 지역경제 체질 개선의 기회로 삼고 있다.
단순한 소비 촉진을 넘어 전통시장과 소상공인의 '지속 가능한 활력'을 만들어내는 데 초점을 맞췄다.
◆ 소비쿠폰 효과, 골목이 증명했다
소상공인연합회와 전국상인연합회 조사에 따르면 소비쿠폰 지급 이후 55.8% 점포의 매출이 늘었다. 전통시장 상인의 75.5%는 "소비쿠폰이 전통시장 이용을 유도했다"고 답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단기적 소비 진작 효과를 상권 활성화와 연결하지 않으면 휘발성에 그칠 수 있다"고 지적한다.
![]() |
시흥시 내수진작 프로젝트 시루팡팡데이 흥해라흥세일 포스터. [사진=시흥시] |
시흥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지역화폐 '시루'와 결합한 상권 활성화 전략을 내놨다. '소비쿠폰 → 지역화폐 할인 → 지역상권 이벤트'라는 연결고리를 통해 소비가 일회성이 아닌 일상으로 정착되도록 설계했다.
◆ '시루팡팡데이', 할인+축제로 두 배 즐긴다
지난달 말 시작된 '시루팡팡데이'는 시흥시 지역화폐 모바일 시루를 충전·사용할 때 각각 10%씩 할인해 최대 20% 혜택을 주는 이벤트다. 9월부터 12월까지 매월 마지막 주 금~일요일 진행되며, 총 15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8월 첫 행사에서는 사흘간 결제액이 41억6000만원으로, 평소 대비 2.7배 급증했다. 특히 9월 말에는 '갯골축제'와 기간이 겹쳐 소비 확대가 더욱 기대된다. 시흥시는 축제 현장에 홍보부스를 설치해 시민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 전통시장·골목상권, '체험형 이벤트'로 탈바꿈
![]() |
8월 30일 옥구상가 앞에서 열린 흥해라 흘세일 이벤트 현장. [사진=시흥시] |
시흥시는 전통시장을 단순한 구매 공간이 아닌 '즐기는 공간'으로 바꾸고 있다. 매달 마지막 주 진행되는 '동네 상권 소비 캠페인'은 상점이 직접 기획한 공연·플리마켓·체험행사를 펼쳐 시민 참여를 이끌어낸다.
9월 말부터는 ▲삼미시장 시민노래자랑 ▲정왕시장 플리마켓 ▲오이도전통수산시장 수산물 퀴즈와 경품 ▲신천문화의거리 추석맞이 노래자랑이 예정돼 있다.
10월에는 반려인들을 위한 '거북섬 멍셋 페스티벌', 매주 주말 열리는 '선셋마켓', 그리고 경기도 40여개 시장이 참여하는 '제11회 경기도 우수시장 박람회'가 잇따라 개최된다.
◆ 시설 개선+전문 컨설팅, 상권 체질도 개선
시흥시는 단기 이벤트에 그치지 않고 상권 체질 개선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전통시장 아케이드 신설, 수산시장 현대화 사업 등을 통해 시민 편의를 높였고, 올해는 ▲은계호수공원 인근 ▲정왕동 49블럭 ▲거북섬 등 3개 권역을 '골목상권 특화거리'로 지정했다.
![]() |
지난해 11월 열린 거북섬 멍셋 페스티벌 이웅종 소장 산책교육. [사진=시흥시] |
선정된 12개 업소는 전문 컨설팅을 통해 메뉴판·간판 개선, SNS 마케팅, 법규 교육 등 경영 전반에 대한 지원을 받는다. 연말에는 '소상공인 원스톱통합지원센터'를 열어 정책 안내, 상담을 한곳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 "소비를 일상으로, 상권을 지속가능하게"
시흥시 관계자는 "소비쿠폰 효과가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작동하려면 상권 자체가 매력적이고 체질적으로 건강해야 한다"며 "소비자와 상인이 함께 웃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 이벤트, 시설개선, 상담 지원까지 전방위로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결국 소비쿠폰은 불씨에 불과하다. 그 불씨를 꺼뜨리지 않고 '시루팡팡데이', '선셋마켓', '멍셋 페스티벌' 같은 체험형 이벤트와 체질 개선을 통해 '지속 가능한 불꽃'으로 키워내는 것은 지자체의 몫이다.
![]() |
아케이드 설치로 현대화된 삼미시장 모습. [사진=시흥시] |
시흥시가 보여주는 실험은 정부 소비쿠폰 정책의 지속가능성을 좌우할 중요한 모델이 되고 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