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자신감 동반, 가이던스 상회 1년 최고
미국 주식펀드 다시 순유입, 12월 이후 최대
물밑 방어 포지션, IWM 공매도 2년 최고
이번 주 PCE 발표, "연준 정책 관심사 전환"
파월과 미란의 연설 예정, 마이크론 실적도
이 기사는 9월 22일 오전 11시1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 주간 프리뷰] '21년식 랠리 재연 ①신고가 범위 확산>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실적 자신감도 동반
기업 실적 전망 개선도 경기에 자신감을 불어넣는 신호다. BI에 따르면 3분기 실적 가이던스를 제시한 S&P500 기업 중에서 애널리스트 컨센서스를 웃돈 기업이 22%를 넘어 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컨센서스에 미달한 기업의 비중은 4개 분기 만에 최저치로 촉소됐다.
![]()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근무 중인 트레이더 [사진=블룸버그통신] |
주춤했던 펀드자금 흐름도 주식시장에 복귀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가 분석한 EPFR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 주식펀드에는 577억달러가 한 주 동안 순유입돼 작년 12월 이후 최대 주간 유입액을 기록했다. 직전 주간에는 190억달러 순유출이었다. 또 현금성 자산에서는 50억달러가 순유출돼 올해 7월 이후 첫 주간 유출을 보였다.
◆물밑 방어 포지션
주식시장의 가파른 상승 궤적에 대한 신중론도 상당하다. 주식시장이 발신 중인 과열 신호와 경기의 급속한 냉각 우려에서다. S&P500은 지난 5개월 동안 34% 급등해 주가수익배율(PER, 포워드)로 본 밸류에이션이 과거 15년 평균보다 2표준편차(정규 분포상 상위 2.5%)나 높은 23배에 달한다.
이런 까닭에 물밑에서는 방어적인 포지션 구축도 확산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예로 러셀2000 ETF인 IWM에 대한 공매도 잔액은 2년 만에 최고치로 올라섰고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레버리지 ETF로 신규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고 한다. 또 금과 현금 관련 안전자산 투자 ETF에는 4주 연속 투자금이 순유입됐다.
연착륙이 경기 판단의 지배적인 이야기라지만 맥락이 상이한 해석도 공존 중이다.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에 따르면 현재 경제는 2021년 확장기와 경기 침체 사이의 '희귀한' 중간 지대에 있다고 분석했다. BI 모델이 현재 경제 상황을 수치화한 값은 0.5로 이 경우 S&P500의 향후 6개월 중앙값 수익률은 4% 그친다. 침체 영역 진입 시 13%, 건전한 상태 6%와 비교해 현저히 낮다.
바클레이스의 에마누엘 카우 전략가는 "주식이 고점 근처에 있고 금리 시장은 여전히 향후 1년 동안 약 5번의 추가 정책금리 인하를 반영 중인 상황"이라며 "주가의 추가 상승 여부는 금리 인하보다는 경제지표에 더 의존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BTIG의 조너선 크린스 테크니컬 애널리스트는"[9월에 이어 조만간 도래할] 10월 역시 계절적 약세 구간"이라는 점을 경계했다.
◆"의구심이 연료"
역설적으로 낙관론자들은 경계심리를 상승장 지속의 근거로 본다. 강세론과 신중론이 공존하는 현재의 의견 분열상은 오히려 건전한 강세장의 특징이라고 주장한다. 낙관론이 지배하는 만장일치 국면보다 회의론이 잔존할 때 상승장이 더 오래간다는 것이 역사적인 경험칙이라는 거다.
![]()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플로어에서 근무 중인 트레이더 [사진=블룸버그통신] |
TWC그룹의 엘리 호튼 선임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이미 봄철에 많은 경제적 고통이 주가에 반영됐기 때문에 주식시장이 흔들리려면 상당한 폭의 경기 둔화가 필요하다"며 "[현재로서는 그런 신호가 보이지 않는 만큼] 기술주와 성장주를 선호한다"고 했다.
한편 이번 주에 주목할 경제지표로는 26일 8월분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표다. 팩트셋이 집계한 이코노미스트 컨센서스에 따르면 종합 상승률은 2.8%(7월 2.7%), 근원(식품과 에너지 항목 제외) 상승률은 3.0%(7월 2.9%)다.
전문가들은 연준의 정책 우선순위가 고용시장으로 전환된 현 시점에서 PCE 지표가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지 않는 한 변곡점이 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한다. 마호니애셋매니지먼트의 켄 마호니 최고경영자(CEO)는 "시장이 연말까지 금리 인하 모드에 들어갔지만 예상 밖 지표가 나올 리스크는 여전하다"고 헀다.
이 밖에 주목할 사안으로는 각각 22일과 23일 예정된 제롬 파월 연준 의장과 스티브 미란 신임 연준 의사의 연설이다. 두 인사의 발언은 지난주 연준의 정책금리 인하 결정 뒤 첫 발언이라는 점에서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개별 기업 동향으로는 23일(정규장 마감 후) 미국 메모리 제조업체 마이크론테크놀로지(MU)의 2025회계연도 4분기(올해 6~8월)분 실적 발표가 관심사다. AI 연산용 칩에 탑재되는 HBM(고대역폭메모리)의 수요가 초점이 되고 있다.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