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12일(현지시간) 혼조세로 마감했다. 전날 3대 지수가 일제히 사상 최고치에서 마감한 후 주식시장에서는 소비자 심리 약화와 내주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결정에 관심이 쏠렸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73.78포인트(0.59%) 하락한 4만5834.22에 마쳤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18포인트(0.05%) 밀린 6584.29를 가리켰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98.03포인트(0.44%) 상승한 2만2141.10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투자자들은 오는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연준이 기준금리를 25bp(1bp=0.01%포인트(%p)) 내릴 것으로 기대한다. 물가 우려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지만, 고용 지표가 크게 악화하면서 완전 고용 책무를 지킬 필요가 더 커졌기 때문이다.
25bp 인하를 확신하는 시장은 혹시나 있을 50bp 금리 인하 가능성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향후 통화정책 경로에 대한 전망에도 주목하고 있다. 연초 고용 지표까지 크게 약했던 것을 감안하면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한시적이라고 본 기존 진단을 유지하는 한 점진적이고 꾸준한 금리 인하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 |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가 거래 중인 가운데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기자회견 화면이 보인다.[사진=로이터 뉴스핌] |
다만 시장이 금리 인하 기대를 선반영한 만큼 파월 의장이 금리 인하 기조를 확인하지 않는다면 시장은 크게 흔들릴 수 있다. 예상대로 금리를 내려도 밸류에이션 부담에 '뉴스에 파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도 여전히 강하다.
코메리카뱅크의 빌 애덤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은 한쪽에서는 상승하는 인플레이션, 다른 한쪽에서는 약한 고용시장으로 인해 상반된 압력을 받고 있다"며 "연준이 앞으로 몇 달 동안 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것으로 예상되며 문제는 '할지 말지'가 아니라 '얼마나 내릴지'"라고 강조했다.
이날 공개된 소비자 심리 지표는 약했다. 미시간대가 발표한 9월 소비자신뢰지수 예비치는 55.4로 월가 전망치 58.0을 크게 밑돌았다. 소비자들은 관세가 미칠 영향을 여전히 우려하면서 고용 악화와 인플레이션
네이션와이드의 마크 해킷 최고 시장전략가는 "지난 몇 주 동안 큰 움직임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은 다소 위험 회피(risk-off) 거래 분위기"라며 "시장이 인공지능(AI)과 자본 지출에 매우 열광하면서 기술 분야는 잘 버티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나머지 시장은 지금 시점에서는 조금 지쳐 보인다"고 지적했다.
종목별로 보면 미국 보건 당국이 코로나19 백신을 25명의 어린이 사망과 관련짓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백신 관련주는 하락했다. 모더나는 7.40% 내렸으며 화이자와 노바백스는 각각 3.98%, 3.62% 밀렸다.
테슬라의 주가는 이사회 의장이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신뢰를 확인하면서 이날 7.36% 상승 마감했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엔비디아 블랙웰 울트라 솔루션을 대량 공급하기 시작했다고 밝히며 2.39% 올랐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와 관계를 지속하기로 하면서 1.77%의 강세를 보였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강해지고 물가 우려가 다소 완화하면서 이번 주 미 장기 국채 금리는 크게 하락했다. 3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4.677%로 한 주간 9.7bp나 내렸다. 2주간 낙폭은 24bp에 달했다. 채권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미 달러화는 소폭 상승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달러화 지수)는 전날보다 0.08% 오른 97.61을 기록했다. 유로/달러 환율은 0.01% 내린 1.1733달러, 달러/엔 환율은 0.31% 상승한 147.68엔을 각각 나타냈다.
유가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서부 최대 항구를 드론으로 공격하며 물류 활동이 중단됐다는 소식에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배럴당 32센트(0.51%) 오른 62.69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11월물은 62센트(0.93%) 상승한 66.99달러를 기록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12월물은 전장보다 온스당 0.3% 오른 3686.40달러에 마감했다. 금 현물은 지난 9일 기록한 사상 최고치 3673.95달러 근처에서 거래됐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0.14% 오른 14.73을 가리켰다.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