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5조1000억원 ↑, 은행권 3조9000억원·제2금융권 1조3000억원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2025년 8월 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총 4조7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지난 7월 2조3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 |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2025년 8월 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총 4조7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금융위원회]2025.09.10 dedanhi@newspim.com |
금융위원회는 10일 이같이 발표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은 5조1000억원 증가해 전월(4조2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다소 확대됐다. 은행권에서는 증가폭이 3조4000억원에서 3조9000억원으로 확대됐고, 제2금융권에서도 8000억원에서 1조3000억원으로 증가폭이 증가했다.
기타대출은 4000억원 감소해 전월(1조9000억원원 감소) 대비 폭이 축소됐으며, 이는 신용대출 감소폭이 줄어든 데 기인한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권의 가계대출은 8월 중 4조2000억원 증가해, 전월(2조8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세부적으로 은행 자체 주담대의 증가폭이 2조2000억원에서 2조7000억원으로 확대됐고, 정책성 대출은 전월과 유사한 수준인 1조2000억원을 유지했다. 기타대출은 이전의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전환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6000억원 증가하며 전월(△5000억원) 대비 증가세로 전환됐다. 상호금융권은 증가폭이 4000억원에서 1조2000억원으로 확대됐고, 저축은행도 증가세로 돌아섰다. 보험과 여전사는 전월과 유사한 수준의 감소폭을 유지하고 있다.
8월 가계대출의 증가 규모는 4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월(9조7000억원) 대비 크게 축소됐다. 다만, 전월(2조3000억원) 대비 증가폭은 다소 확대된 것으로, 신학기 이사 수요 및 이전의 주택거래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휴가철 자금수요에 따라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한 기타대출의 감소폭이 축소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
금융당국은 "8월은 계절적 요인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수치에 비해 가계대출 증가세가 축소된 점은 긍정적이나 여전히 상황에 대해 안심하기는 이르다"고 평가했다.
금융당국은 최근 금리 인하 기대감과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심리 등 가계부채의 위험요소가 여전하다고 우려하며,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가 안정화될 때까지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추가 관리방안'에 따른 현장점검 등을 통해 대출 현황을 집중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향후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정기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