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원 '해임안 추진' 반발에…나흘 만에 백기 든 성수1지구
'로열층 우선배정' 허용…'독소조항' 대폭 완화
현대·현산 "일단 관망"…조합원 "해임 막으려는 꼼수"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서울 성수전략정비구역 제1지구(성수1지구)가 '독소 조항'으로 불리던 입찰 지침을 대폭 완화하기로 했다. 당초 수주 의향을 보이던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HDC현산)이 입찰 지침에 반발하며 현장설명회에 불참하는 등 수의계약 국면으로 흐르자, 조합원들이 집행부 탄핵 논의까지 거론하며 강력하게 반발한 점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다만 두 건설사는 수주전 재참여 의향에 대해 "아직 결정된 부분이 없다"며 실제 입찰 지침 수정 여부를 지켜보겠다는 방침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집행부의 입장이 수의계약 국면에서 집행부에 제기된 반발을 누르려는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 |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지난 4일 성수1구역 재개발 조합은 이날 오후 3시 대의원회를 열어 시공자 선정계획서 변경안을 상정했으나, 투표 끝에 최종 부결됐다. 총 대의원 123명 중 115명이 투표에 참여해 71명이 반대표를 던졌다. 2025.09.04 dosong@newspim.com |
9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지난 8일 성수1지구 재개발 조합은 현대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이 요구한 대부분의 사항을 수용하는 새로운 입찰지침 수정안을 공지했다. 하지만 두 건설사 모두 입찰 참여를 공식화하지 않아 또 다시 유찰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발표된 공지문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조합원에게 로열동·층을 우선 배정하는 제안을 금지했던 조항이 삭제된 점이다. 일부 조합원들의 강력한 요구를 수용한 결정으로, 다만 조합은 과거 한남3구역 사례처럼 입주 시 프리미엄 보장, 일반 분양가, 조합원 분양가, 분담금 등을 시공사가 약속하는 것은 입찰 무효의 소지가 있어 현행대로 금지했다.
기존 담보가치(LTV) 100% 이내로 제한됐던 추가 이주비 제안 한도도 없어졌다. 또한 담보가치를 초과하는 이주비 대출 문제 발생 시 다른 조합원들에게 책임이 전가되지 않도록 '조합원 연대책임 방지' 조항도 추가됐다.
자금 상환 순서 역시 대형 평형 조합원에게만 유리했던 환급금 우선 상환 대신, 모든 조합원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사업비 상환을 우선하도록 변경했다. 황상현 조합장은 공지를 통해 "조합원들이 원하는 경쟁 입찰을 통해 성수1지구 조합원들의 이익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 4일 대의원회에서 입찰 지침 완화안을 부결시키고 원안을 유지하기로 했던 결정에서 180도 변화한 것이다. 당시 완화안이 부결되면서 ▲조합원 로열층 우선분양 제안 금지 ▲추가 이주비 제안 금지 등 현대건설과 HDC현산이 '공정한 경쟁을 막는 독소 조항'이라며 반발했던 모든 규정이 그대로 유지된 바 있다.
이로 인해 두 건설사의 입찰 참여가 사실상 봉쇄되면서 업계에서는 GS건설의 수의계약을 위한 수순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경쟁입찰을 바라던 조합원들은 대의원회에 앞서 조합 집행부 반대 집회를 열고 조합장 및 임원 해임안을 추진하기도 했다.
![]() |
결국 조합원들의 반발에 부딪혀 경쟁입찰을 위해 입찰 지침을 완화한 것으로, 올해 한강 변 유력 수주지로 꼽히는 성수1지구 시공사 선정은 다시금 경쟁입찰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조합은 이날 긴급이사회를 소집해 기존 입찰 취소 안건을 처리하고, 현장설명회에 참여했던 7개 건설사에 재입찰 공고를 통지할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현대건설과 HDC현산은 아직 입찰 재참여 의사를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다. 조합의 공식적인 지침 내용이 나와야 구체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HDC현산 관계자는 "진행 상황을 보면서 검토 중"이라고 말했으며, 현대건설 관계자 역시 "아직 현 상황을 검토 중"이라며 보수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조합 일각에서는 이번 수정 공지가 단독 입찰 양태에 조합 내 반발이 거세자 경쟁 입찰을 지향했다는 조합의 명분 쌓기 아니냐는 지적도 이어진다. 한 조합원은 조합 내 커뮤니티를 통해 "해임 발의서를 쓰고 있는 조합원들에게 재입찰 결정이라는 잔머리를 쓰고 있는 것"이라며 "해임 발의를 지연시키기 위한 술수"라고 말하기도 했다.
성수1지구 재개발은 성수동 일대에 총 3014가구 규모의 공동주택과 부대복리시설을 짓는 사업으로, 총사업비만 2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dos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