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복귀 후 의사 수련 방안 논의
수련환경 TF 설치·국가 투자 등 제안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와 대한수련병원협의회(대수협)가 26일 만나 전공의 복귀 후 의사 수련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들은 상호 간 갈등을 최소화하고 화합을 위해 노력하자는 데 한뜻을 모았다.
대전협과 대수협은 이날 서울역사 내 한식집에서 전공의 복귀 후 의사 수련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대수협은 전국의 인턴·레지던트 등 전공의 수련을 담당하는 병원들의 모임을 말한다.
이 자리에는 한성존 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과 김원섭 대수협 회장을 포함해 서울대병원 등 주요 수련병원 전공의 비대위원과 병원장들이 참석했다.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28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을 찾아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를 비롯한 환자단체 관계자들을 만나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전공의와 환자단체가 대면해 대화한 것은 의정 갈등이 시작된 지 1년 6개월 만이다. 이날 참석한 한성존 비대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1년 5개월 이상 길어진 의정갈등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불안하셨을 국민에게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2025.07.28 yooksa@newspim.com |
이날 회의에서는 의료계 갈등 봉합과 국가 차원의 전공의 수련 투자, 수련병원별 수련환경 전담반(TF) 설치, 다기관 협력 수련 등이 주요 안건으로 제시됐다.
조병기 대수협 이사는 간담회가 종료된 후 취재진을 만나 "하반기 전공의 모집이 끝나가며 상당수 전공의들이 의료 현장으로 돌아왔는데, 같이 환자를 보면서 갈등을 줄여나가고자 공감대를 형성하는 시간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최근 일부 병원 전공의들이 '복귀하는 조건으로 당직을 서지 않겠다'고 해 오해가 있었는데, 오늘 얘기를 해 보니 상당수의 전공의들은 돌아와서 성실히 수련에 임하려는 마음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정정일 대전협 대변인도 "'이건 당신 일, 이건 내 일'이라는 접근보다 수련이라는 큰 틀에서 논의를 하는 게 좋겠다고 얘기했다"며 "복귀 후 갈등을 최소화하고 화합할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다기관 협력 수련에 대해서는 전공의 측에서 수련을 받기 어려운 환경으로 가는 경우 등에 대비해 수련 기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련병원들도 이에 동의했다.
병원들은 수련환경 TF가 전공의들의 의견을 모아 수련에 대한 큰 틀을 논의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도 공감대를 형성했다.
다만 이에 대해 조 이사는 "수련 환경과 업무 분장을 조정하는 컨트롤타워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이를 병원에 강제하기는 어렵다"며 "대수협의 200여개 회원 병원에 건의하고 최대한 많은 병원에서 전공의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양측은 이날 논의한 내용을 정부가 참여하는 수련협의체에도 전달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 반영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