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고정밀 감속기 대체 시장 진입 가속화
오는 2026년 핵심 파트 상용화 목표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지능형 로봇 전문 기업 나우로보틱스가 인하대학교 이철희 교수와 함께 차세대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고정밀 구동모듈용 신개념 감속기 공동개발에 착수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산학협력은 기존 정밀 감속기 구조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정밀도, 내구성, 경량화 측면에서 획기적인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신개념 감속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해당 감속기를 기반으로 구동 모터와 제어기를 일체화한 통합형 구동모듈로 확장 개발해 휴머노이드는 물론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차세대 구동계 플랫폼으로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 |
나우로보틱스 이종주 대표이사(왼쪽)와 인하대학교 이철희 교수가 협약식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나우로보틱스] |
나우로보틱스는 자체 보유한 혁신적 메커니즘 설계를 바탕으로, 고속, 고토크 환경에서도 정밀하고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한 차세대 감속기 설계를 주도하며 인하대는 구조 해석, 정밀공학, 운동 특성 분석 등 이론적 지원과 프로토타입 성능 검증을 맡는다.
이번에 개발되는 감속기는 정밀도와 토크 강성을 기존 대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며, 중저속 영역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미세 위치 흔들림 문제를 해소한다. 또한 저 감속비 영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적용 가능한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기존의 감속기의 성능적 한계를 전방위적으로 극복한다.
해당 감속기는 단순히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부품을 넘어 산업용 로봇, 협동 로봇, 전기차(EV),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등 고정밀 구동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기존 글로벌 감속기를 대체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나우로보틱스는 이를 통해 글로벌 정밀 구동계 시장에서 기술적 자립과 시장 대체 가능성을 본격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해당 구동모듈은 향후 나우로보틱스가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와 공동 개발 중인 산업형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 플랫폼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회사는 이번 개발을 통해 감속기, 제어기, 서보모터가 통합된 일체형 구동모듈 기술을 확보하고, 전체 시스템의 국산화율을 극대화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인하대 이철희 교수는 "기계구조 및 운동 특성 측면에서 기존 감속장치와는 차별화된 설계를 실현할 수 있도록, 양 기관이 보유한 설계/제어/해석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나갈 것"이라며 "이번 협력은 단순한 부품 개발을 넘어 차세대 로봇 구동 시스템의 구조적 기준을 새롭게 정의하는 도전이며, 실제 제조 현장에 적용 가능한 고성능 핵심 부품의 상용화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철희 교수는 현대자동차에서 실무를 경험한 뒤 미국 일리노이대학교(UIUC)에서 기계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2007년부터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산업체의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는 정부과제와 산학협력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왔다. 특히 기계설계 및 가상제품 개발 분야에서 축적된 연구 역량과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공동개발에서 혁신적인 감속기 메커니즘 설계와 가상 성능 검증을 직접 수행할 예정이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