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지식재산권(IP)가치가 최대 1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K콘텐츠의 IP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1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새로운 성장 지식재산권의 산업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상위 50대 IP 보유자 중 국내 기업은 없었다. 미국이 32개로 가장 많았고 일본(7개), 중국·프랑스(2개), 스웨덴·영국·캐나다·이탈리아·독일·핀란드·덴마크(1개)가 뒤를 이었다.
![]() |
[서울=뉴스핌] 최문선 기자 = 케이팝 데몬 헌터스 스틸컷. [사진=넷플릭스] moonddo00@newspim.com |
미국의 월트디즈니는 미키마우스를 활용, 의류·유통사 등과 협업해 지난해만 620억달러(약 86조원)의 수익을 냈다. 지난해 미국 32개사가 IP 상품 판매로 올린 수익은 2424억5000만달러(약 337조원)로, 같은 해 한국 국내총생산(GDP)의 13%에 달했다.
이외 해즈브로(161억달러), 워너 브라더즈(150억달러) 등이 이름을 올렸다. '헬로키티'를 보유한 일본의 산리오(84억달러), 핀란드의 무민 캐릭터즈(7억7000만달러)도 순위에 올랐다.
보고서는 한국의 IP 산업화 부진 이유로 원천 IP 부족, IP의 다각적 활용에 대한 전략 미흡,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투자 여력 부족을 꼽았다.
대한상의는 "지구촌 수출 관세장벽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제조업 위주의 하드 머니 보다는 소프트 머니를 벌어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재명 정부가 문화 산업화를 표방하고 있는 만큼 지금이 적기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지재권 산업화를 위해 스토리 중심 슈퍼 IP 전략, IP 주권 펀드, K산업의 해외 지재권 확보 지원 등을 제언했다.
케데헌의 인기로 K팝 뿐 아니라, 김밥, 라면, 후드티, 매듭, 한옥마을, 남산타워, 팬덤문화 심지어 무속신앙까지 인기를 끌고 있지만 실제 수익을 올리는 쪽은 미국 플랫폼과 일본 제작사다.
보고서는 "스토리 중심의 IP 사업으로 확장하는 흐름이 대표적"이라며 "슈퍼 IP 전략을 입체적으로 지원할 '케데헌 법안'이라고 만들어야 될 때"라고 설명했다.
또한 보고서는 "최근 제작비 문제 등으로 '오징어 게임'(넷플릭스), '무빙'(디즈니플러스) 등 OTT플랫폼이 제작비 전액을 선투자하는 대신 콘텐츠의 저작권 및 이를 통해 파생되는 부가가치가 모두 플랫폼에 귀속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K산업의 해외 지재권 확보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IP 수출로 돈을 벌기 위해서는 평균 1000만원 이상의 출원비용을 내야 해외 권리를 확보할 수 있다"며 "진출대상국에서의 권리확보를 위해 문화기업, 핵심기술 기업 등을 중심으로 금융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짚었다.
moonddo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