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보훈지청 복지과 고현수 주무관
얼마 전 가족과 함께 뮤지컬 『윤동주, 달을 쏘다』를 관람했다. 그 깊은 울림으로 이 글을 작성하려고 한다.
![]() |
경기북부보훈지청 복지과 고현수 주무관 [사진=경기북부보훈지청]2025.08.14 sinnews7@newspim.com |
무대 위의 윤동주는 단순히 문학과 시를 사랑한 청년이 아니었다. 일제 시대의 어둠 속에서 끝내 빛을 붙들고자 했던, 투명하고 단단한 영혼이었다. 일본 유학 시절, 조국이 빼앗긴 현실 앞에서 그는 무력했으나 결코 침묵하지 않았다.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눈물과 위안으로 잡는 첫 악수를 하고 싶다'는 그의 고백처럼, 시를 쓰는 일은 그에게 있어 자신의 주체성을 지켜내는 일이자, 조국을 위한 처절한 저항이었다.
그의 삶과 그가 쓴 작품들이 주는 울림은 단순한 문학적 감동에 그치지 않는다. 윤동주는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가장 순결한 방식으로 나라를 사랑했고 낮은 목소리로 감정을 절제하면서도 진실에서 벗어나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였다. 뮤지컬은 그러한 시인의 내면을 섬세하게 그려냈다. 화려한 영웅담 대신, 고요한 목소리로 시대와 맞선 청년의 초상이 오히려 더 깊은 울림으로 다가왔다. 덕분에 나는 '광복'이라는 단어를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올해는 광복 80주년이다. 광복을 위해 피를 흘리신 분들은 점점 사라져가고, 자유를 물려받은 나와 같은 세대가 사회의 중심이 되었다. 어려운 시기를 겪지 않은 우리는 자유와 평화를 너무도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결코 당연하게 여기면 안되는 것이다.
윤동주의 작품은 그 행간까지도 당대를 살았던 이들이 무엇을 빼앗기고, 무엇을 갈망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말과 글이 통제되고, 국적과 이름조차 바꾸도록 강요받았던 시대에, 그가 목숨을 걸고 지킨 단어와 그 사이에 숨겨진 마음들은 오늘의 우리를 있게 했다.
광복 80년을 맞는 지금, 우리가 할 일은 거창하지 않다. 윤동주가 그랬듯, 부끄럽지 않은 하루를 살아내는 것, 옳다고 믿는 일을 외면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그 시작은 과거를 잊지 않는 '역사의식'에서 비롯된다. 역사의식이란 단지 과거의 사건을 기억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것을 오늘의 삶에 비추어 행동하고 선택하는 태도다. 자유와 평화는 한 세대가 피 흘려 쟁취하면 영원히 보장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시간이 흐를수록 그 가치는 무뎌지고, 망각은 또 다른 위기를 낳는다. 기억을 잃은 민족은 같은 상처를 반복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이미 수많은 역사를 통해 확인해왔다.
광복은 끝난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가 각자 마음속에 지켜야 할 '별 하나'를 품고, 그 별빛으로 과거를 비추며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를 준비한다면, 광복은 단순한 기념일이 아니라 오늘을 지키고 내일을 여는 불멸의 빛으로 남을 것이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했던 시인의 눈빛처럼, 우리도 이 땅의 자유와 존엄, 그리고 평화를 끝까지 지켜야 한다.
* 본 기고문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