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미국에 1000억 달러 신규 투자…주가 5%대 올라
맥도날드 등 기업 실적도 양호
연준 위원들, 경기 둔화 우려 한목소리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6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오는 9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진 가운데 투자자들은 기업들의 양호한 실적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1.38포인트(0.18%) 오른 4만4193.12에 마쳤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5.87포인트(0.73%) 상승한 6345.06으로 집계됐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252.87포인트(1.21%) 뛴 2만1169.42에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는 일제히 상승 출발했다. 전날 장 마감 후 발표된 기업들의 분기 실적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이날 주식시장을 띄웠다.
애플이 미국에 1000억 달러를 추가 투자한다는 소식은 애플 주가의 강세로 이어지며 시장 분위기에 긍정적이었다. 지난 2월 발표된 투자 금액을 감안하면 애플은 4년 동안 미국에 6000억 달러를 투자하게 된다. 이날 애플은 5.10% 급등 마감했다.
라퍼 탱글러 인베스트먼트의 낸시 탱글러 최고경영자(CEO) 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이번 발표는 '모든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하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에 대한 현명한 해결책"이라고 평가했다.
투자자들은 무역 관련 소식을 계속해서 주목하고 있다.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인도산 수입품에 적용하는 관세를 25%에서 50%로 인상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가 러시아산 에너지와 군사 장비를 구매하는 것에 대한 페널티(벌칙)를 이미 언급한 바 있다.
지난 1일 7월 고용 보고서 발표 후 시장에서는 연준이 오는 9월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 그룹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 참가자들 연준이 9월 금리를 내릴 가능성을 91%로 반영 중이다.
이날 공개 발언에 나선 연준 위원들도 조만간 금리 인하가 이뤄질 가능성에 힘을 줬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CNBC와 인터뷰에서 경기 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연준이 조만간 금리 인하에 나서는 게 적절해지고 있으며 연말까지 0.25%포인트(%p)씩 2차례 금리 인하 전망이 합리적이라고 판단했다.
리사 쿡 이사는 최근 고용 지표에 대해 "우려스럽다"며 일련의 지표들이 경제가 전환점을 맞이했음을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6.44% 내린 16.70을 가리켰다.
![]() |
뉴욕증권거래소(NYSE) 트레이더.[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8.07 mj72284@newspim.com |
◆ AMD·슈퍼마이크로, 실적 발표 실망에 큰 폭 약세
S&P500 11개 업종 중 6개는 상승, 5개는 하락했다. 재량 소비업과 필수 소비업은 각각 2.51%, 1.73%의 강세를 보였다. 애플을 필두로 기술업종 역시 1.34% 전진했다. 반면 헬스케어와 에너지는 각각 1.52%, 0.91% 밀리며 두드러진 약세를 보였다.
종목별로는 기업 실적에 따라 주가의 방향이 엇갈렸다. 전날 혼조된 실적을 공개한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AMD)의 주가는 이날 6.42% 하락했다. 서버 회사 슈퍼마이크로컴퓨터의 주가는 실망스러운 실적 및 가이던스에 18.29% 급락했다. 차량 공유업체 우버는 월가의 기대를 웃도는 실적과 자사주 매입 계획 발표에도 0.13% 내렸다.
월트디즈니의 주가는 시장 기대를 웃도는 분기 순익에도 매출액이 예상보다 약해 2.66% 하락했다. 맥도날드는 분기 매출이 성장세로 전환하며 2.94% 상승했다.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 투자 전략가는 "실적 발표에 대한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며 "일부 인공지능(AI) 관련 종목들의 경우 기대치가 워낙 높았기 때문에 그런 경향이 더 두드러졌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실적은 시장의 하방을 지지할 만큼은 충분히 괜찮게 나왔다"고 말했다.
일부 시장 참가자들은 주식시장에서 여전히 기업들의 실적이 결국 판세를 판가름하고 있다며 최근 고용 보고서의 약세와 같은 거시 요인으로 가격이 하락하면 저가 매수가 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이토로의 브렛 켄웰 투자 및 옵션 애널리스트는 "오늘날의 투자 환경에서는 따라가야 할 이야기가 정말 많지만, 여전히 실적이 주식 시장의 주요 동력"이라며 "거시 경제 요인이나 계절적 약세 추세로 인해 조정 가능성은 있지만 이러한 조정은 결국 매수 기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다만 지난주 고용 보고서로 미국 경기의 약세가 확인되고 관세의 인플레이션 영향 및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당분간 시장 변동성이 지속할 가능성도 여전하다. 심플리파이 애셋 매니지먼트의 마이클 그린 포트폴리오 매니저 겸 최고 전략가는 "전반적으로 보면, 지금은 지난주 말에 나타난 상대적으로 높은 (변동성) 이후의 소화 과정이 계속되고 있는 모습"이라며 "당시 고용 보고서가 실망스러웠고 연준은 금리를 인하하지 않았다"고 상기했다. 이어 그린 전략가는 "지금은 말 그대로 대기 국면에 있는 상태"라고 덧붙였다.
7일도 뉴욕증시 투자자들은 기업 실적과 연준 위원들의 공개 발언에 주목할 전망이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공개 발언에 나선다. 여행 예약 플랫폼 익스피디아와 제약사 일라이 릴리는 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골드만삭스의 파올로 스키아보네 거시 트레이더는 "시장 모멘텀을 거스르는 베팅은 거의 비이성적으로 느껴질 정도로 주식시장은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핵심은 시장이 충분히 멀리 내다보지 못한다는 점이며 그래서 경기 침체 리스크를 무시하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UBS 글로벌 웰스 매니지먼트의 마크 헤페일 글로벌 CIO는 ""무역 불확실성과 고평가된 밸류에이션은 단기적으로 주식에 약간의 역풍이 될 수 있지만 투자자들은 변동성을 관리하면서 장기적인 수익에 대비할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