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5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선감학원 문제에 경기도는 진심을 다했다"며, 중앙정부의 선감학원 피해보상 관련 상고 포기 결정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8일 자신의 SNS를 통해 "국가가 저지른 인권유린, 국가가 반드시 책임지고 사죄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김동연 경기도지사 SNS] |
김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 글에서 "40여 년 전의 일이지만 피해자와 유족들께 경기도지사로서 공식 사과를 드렸고, 위로금과 생활안정지원금도 지원하고 있다"며 "중앙정부가 외면하던 희생자 유해 발굴도 경기도가 먼저 나섰다"고 강조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는 지금까지 국가 차원의 사과도, 책임 인정도 거부해왔고, 국가의 배상 책임을 인정한 법원의 판결에 대해 상고까지 했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경기도가 독자적으로 상고를 포기할 경우, 중앙정부의 책임을 묻기 어려워 함께 상고를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이번에 중앙정부가 상고를 포기하면서, 경기도도 즉각 상고를 포기하고 취하한다"며 "그동안 경기도가 홀로 짊어졌던 짐을 이제 정부가 함께 나누게 되어 선감학원 문제의 근본 해결에 한 걸음 더 다가간 것 같아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경기도는 앞으로도 정부와 함께 선감학원 피해자들의 곁을 더욱 든든히 지키겠다"며, 피해자 지원과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협력을 다짐했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8일 자신의 SNS를 통해 "국가가 저지른 인권유린, 국가가 반드시 책임지고 사죄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김동연 경기도지사 SNS] |
한편 선감학원은 일제강점기부터 1980년대까지 경기 안산시 선감도에 설치돼 국가에 의해 부랑아 선도 명목으로 아동과 청소년들이 수용됐던 시설이다. 이 과정에서 인권침해, 강제노역, 폭력 등이 자행됐으며, 피해자와 유족들의 오랜 진상 규명과 보상 요구가 이어져 왔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