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디엑스앤브이엑스가 혈뇌장벽(BBB)을 통과하는 뇌질환 치료 후보물질의 글로벌 사업개발을 본격화한다.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자회사 에빅스젠이 개발한 차세대 약물 전달 기술인 ACP(Advanced Cell-penetrating Peptide) 플랫폼의 사업개발 권한을 위임받고,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라이선스 아웃을 포함한 사업개발(BD) 활동을 진행 중이라고 1일 밝혔다.
![]() |
[로고=디엑스앤브이엑스] |
회사에 따르면 현재 다수의 글로벌 신약개발 기업들과 비밀유지협약(NDA)을 체결하고 후속 논의를 이어가고 있으며, 조만간 기술 실사(Due Diligence)도 이뤄질 예정이다. 기술이전 범위는 뇌질환 치료제 파이프라인에 대한 공동개발과 기술이전을 포함하며, 향후 임상개발 및 생산 협력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열려 있다.
BBB는 뇌를 보호하는 생리적 장벽으로, 외부 약물의 유입을 제한해 신경계 질환 치료에 큰 걸림돌로 작용해 왔다. 실제로 전체 저분자 약물의 약 98%와 대부분의 고분자 약물이 BBB를 통과하지 못해 CNS(중추신경계) 치료제 개발의 임상 실패율을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디엑스앤브이엑스의 ACP 플랫폼은 펩타이드 기반의 약물 전달체로, 세포막과 BBB를 동시에 투과할 수 있는 기술이다. siRNA, mRNA, 단백질, 저분자 화합물 등 다양한 약물을 안정적으로 세포 내에 전달해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생체 적합성과 약물 안정성을 강화한 구조적 특징도 갖췄다.
디엑스앤브이엑스는 해당 플랫폼 기반의 파킨슨병 치료 후보물질을 활용한 비임상 연구에서 정맥주사만으로도 BBB를 효과적으로 통과해 치료 타깃인 뇌 조직에 약물을 전달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독성 없이 뇌 조직에 고효율로 전달된다는 점에서 기존 타깃팅 전략보다 간결하면서도 효과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ACP 플랫폼은 단순한 전달 기술을 넘어 BBB라는 난공불락의 장벽을 극복한 사례"라며 "NDA 체결에 이어 실사까지 진행되는 등 글로벌 제약사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BBB 약물 전달 기술에 대한 투자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GSK는 BBB 투과 이중항체 기술 계약을 약 20억7천5백만 파운드 규모로 체결했으며, Sangamo는 AAV 기반 BBB 전달 기술을 일라이 릴리(Lilly)에 최대 14억 달러 규모로 기술이전했다. Sironax는 BBB 침투 모듈 기술을 노바티스(Novartis)에 1억7천5백만 달러 규모의 옵션 계약으로 공급한 바 있다.
한편, 디엑스앤브이엑스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희귀 유전성 뇌질환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을 대상으로 ACP 플랫폼을 적용한 파이프라인을 확장 중이다. siRNA, ASO(antisense oligonucleotide) 기반 치료제는 물론, 단백질 및 저분자 화합물에도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확장성을 입증하고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s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