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의 공급망과 AI 수준이 세계 선두에 있으며 중국이 세계 산업 재편을 리드해나갈 것이라고 세계 최대 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 공동 창업자 황런쉰(黃仁勳·젠슨 황) CEO가 밝혔다.
젠슨 황 CEO는 16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국제 공급망 촉진 박람회(CISCE) 개막식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개막식에 나온 중국 국무원 허리펑 부총리에 대한 인사와 박람회 참석 소감을 밝히는 대목에서 중국어로 연설을 해 관심을 끌었다.
'AI는 전기·인터넷에 이은 인프라 혁명'
젠슨 황 CEO는 "AI는 더 이상 소프트웨어의 일부가 아니라, 전기와 인터넷처럼 모든 산업의 기본 인프라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AI의 등장이 반도체와 컴퓨터 산업을 "기초부터 다시 설계하게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인간이 일일이 코딩하던 시대는 지나가고, 데이터로 학습하는 머신러닝이 산업 전반을 재편하고 있다는 것이다.
![]() |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엔비디아 젠슨 황 CEO가 7월 16일 중국 국제공급망촉진 박람회 개막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뉴스핌. 2025.07.16 chk@newspim.com |
150만 中 개발자, 엔비디아 플랫폼서 협력
젠슨 황 CEO는 중국 기업과의 협력 관계도 직접 언급했다. 텐센트, 알리바바, 바이두, 샤오미 등 주요 IT기업들이 엔비디아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을 구축했으며, 현재 150만 명 이상의 중국 개발자들이 엔비디아 플랫폼 위에서 AI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은 AI 생태계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으며, 오픈소스를 통한 AI 공유는 글로벌 AI 진보의 촉매제"라고 평가했다.
![]() |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엔비디아가 중국 국제공급망 촉진박람회 부스에 로봇 제품을 전시해놓고 있다. 사진= 뉴스핌 촬영. 2025.07.16 chk@newspim.com |
'공장은 이제 AI가 운영… 中 공급망, 핵심 파트너'
그는 중국 공급망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중국에는 수백 건의 AI 기반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라며 "가상공간에서 공장을 시뮬레이션하고, 로봇을 훈련시키는 기술이 현실을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향후 10년 안에 공장은 AI 소프트웨어가 운영하고, 인간과 로봇이 협업하는 새로운 제조 패러다임이 도래할 것이라고 그는 전망했다.
젠슨 황 CEO는 "AI는 제품, 서비스, 산업 전반을 새롭게 정의할 것"이라며 "엔비디아(NVIDIA)는 중국과 협력해 AI 혁명이 가져올 새로운 시대를 열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 |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7월 16일 중국 국제공급망촉진 박람회장을 찾은 중국 기업인들과 참관객들이 엔비디아 전시 부스에 몰려들어 AI 반도체 신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사진= 뉴스핌 촬영. 2025.07.16 chk@newspim.com |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