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1건 → 300건…마포·성동 등 과열지역 감소폭 커
강남3구도 60% 이상 급감…'거래 시차' 감안 시 위축 더 클 수도
'짙은 관망세' 돌입…'추가 규제' 가능성에 매수 심리 '꽁꽁'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정부의 '6.27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 발표 이후, 불장(불타는 장) 양상을 보이던 서울 아파트 시장이 빠르게 냉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지별 최고가 거래량이 74% 급감하며 공격적인 매수세가 짙은 관망세로 전환된 모습이다.
14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6.27 대책 발표 후 2주간(6월 27일~7월 10일) 서울 아파트 최고가 거래량은 300건으로, 발표 전 2주(6월 13일~26일)의 1141건 대비 74% 감소했다.
![]() |
정부는 지난 6월 말, 과열된 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해 주택담보대출 6억원 제한, 소유권 이전 전 전세대출 금지 등 고강도 대출 규제를 발표하고 즉시 시행했다.
지역별로는 대책 발표 전 최고가 거래가 집중됐던 지역의 감소 폭이 컸다. 성동구는 대책 전 139건에서 대책 후 22건으로 84% 줄었고, 마포구는 137건에서 18건으로 87% 급감했다. 강동구의 최고가 거래량도 80% 감소했다.
강남3구 역시 최고가 거래가 크게 줄었다. 강남구는 112건에서 41건으로 63% 감소했으며, 서초구는 37건에서 9건, 송파구는 64건에서 27건으로 줄었다. 다만 강남3구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있어 실제 계약 약정 시점과 서류상 계약일 간 시차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위축 정도는 더 클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직방 관계자는 "규제 발표 후 2주가 지난 시점에서 거래량만으로 시장 흐름을 단정 짓기에는 이르지만, 서울 주택시장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짙은 관망세에 접어든 모습"이라며 "강도 높은 규제의 여파로 매수 문의 자체가 줄며 거래는 사실상 멈춰선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대책을 두고 시장 일각에서 '맛보기 대책'이라는 평가와 함께 추가 규제 가능성까지 예고되고 있는 만큼, 수요자들은 당분간 매수에 더욱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dos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