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부터 부산 아파트 화재로 자매 사망 사고 2건 발생
정부, 화재 초기 진화 방안 마련..."단독 경보형 감지기 도입 필요" 주장도
야간 돌봄 공백에는 "어린이집 활용해 긴급 돌봄 제공해야" 강조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연이은 화재에 어린이들의 사망 사고로 심야 돌봄과 노후 주택 화재 예방 대책 마련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잇단 화재에 정부도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가운데 야간 돌봄 공백과 화재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 |
지난 2일 오후 10시 58분경 부산 기장군 기장읍 13층짜리 아파트 6층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나 7살, 11살 자매가 숨졌다. [사진=부산기장경찰서] |
8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말과 이달 부산의 아파트에서 화재가 연이어 발생해 어린이들이 사망했다.
지난달 24일에는 부산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아파트에서 불이 나 자매 둘이 사망했으며 이달 2일에는 부산 기장군 기장읍의 아파트에서 화재로 자매 둘이 숨졌다.
정부는 잇단 아동 화재 사망 사고에 초기 진화 방안 마련에 나섰다.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전국 2만4000여 단지의 화재 취약점을 철저히 점검하고 스프링클러 사후 설치 가능 여부, 대피 시설 보강 등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번 사고들은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되기 이전인 2005년 지어진 아파트들에서 발생했다.
지난 2018년 이후 6층 이상의 아파트 모든 층에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됐는데 그 이전에 지어진 아파트는 화재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스프링클러 사후 설치는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변수남 동의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는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지 않았을 때 추가로 설치하는 간이 스프링클러를 검토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는데 이는 기존 수도배관에 공사를 위해 벽을 파헤쳐야 한다"며 "주민들이 반대할 수도 있고 누수의 문제 시, 설치비는 어떻게 할지 등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변 교수는 "현실적인 대책은 일반 아파트에 설치돼 온도를 감지하는 정온식 감지기 대신에 연기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단독 경보형 감지기를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며 "따로 전선 연결이 필요 없고 경보 소리도 커서 현실적인 대책이 될 수 있다. 화재 감지도 온도보다 연기를 감지하는 것이 더 빠르다"고 설명했다.
이번 부산 자매 사망 사고로 맞벌이 부부를 위한 야간 돌봄에 대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실제로 202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에 따르면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구 비중은 모두 늘었다. 막내 자녀가 ▲6세 이하(53.2%) ▲7~12세(59.8%) ▲13~17세(64.1%)로 모두 전년 보다 늘었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도 이번 부산 자매 화재 사망 사고와 관련해 "그 시간에 돌봐줄 어른이 한 명이라도 있었다면, 가족 곁에 국가라는 돌봄 시스템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안타까움이 있다"고 밝혔다.
김은설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초등학교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정에 대한 지원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일상적인 돌봄이 아닌 긴급 돌봄이 특히 부족하다. 거점 돌봄센터, 지역 아동센터와 같은 곳에서 긴급 돌봄이 필요할 때 지원해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고용노동부의 경우 야간 노동을 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24시간 돌봄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하고 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초등학생도 연장 돌봄이 필요한 경우 어린이집에서 돌볼 수 있는 방식도 있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긴급 돌봄을 필요로 하는 맞벌이 부모와 자녀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직장 어린이집 뿐만 아니라 주거지 인근의 어린이집의 긴급 돌봄을 강화하고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ori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