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신고 신혼부부 최대 530만 원 지원
자녀 수에 따라 최대 4310만 원 지급
[하동=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하동군은 4일 청년층의 지역 정착과 가정 형성을 위해 결혼, 출산, 육아 전반에 걸친 맞춤형 지원 정책을 내놨다.
군은 생애주기별로 설계된 현금 중심의 지원책을 통해 경제적 부담 완화와 인구 유입 기반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군은 청년 1인 가구에는 연간 270만 원, 혼인신고를 한 신혼부부에는 530만 원, 자녀 출생 수에 따라 세대당 최대 4310만 원까지 차등 지급한다.
![]() |
청년 및 신혼부부 지원금 현황 [사진=하동군] 2025.07.04 |
자녀가 셋인 가구는 청년 단독가구 대비 약 16배 수준의 연간 지원금을 받는다. 이 같은 현금성 지원은 결혼과 출산을 주저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 경제적 부담 해소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전망이다.
주거 안정도 핵심 과제로 꼽혔다. 하동형 청년 주거비 지원사업은 만 19~45세 지역 거주·활동 청년에 월세 또는 주택 관련 대출이자의 절반(최대 월 20만 원)을 연간 한도 내에서 보조한다.
자기계발 및 문화생활 비용 역시 연 최대 30만 원까지 별도로 지급해 생활 밀착형 복지 체계를 강화했다.
결혼장려금 제도는 혼인신고일 전후 일정 기간 하동군 거주 조건을 충족한 부부에게 총 600만 원(3년에 걸쳐 분할)씩 제공된다.
신혼부부 대상 주거자금 대출이자 보전 사업도 시행 중이며, 소득수준과 실거주 여부를 종합 반영해 현실적인 혜택 제공에 초점을 뒀다.
출산 장려 분야에서는 첫째아부터 넷째 이상까지 경남 최고 수준의 현금성 장려금을 도입했다.
첫째아는 총 440만원(24개월 분할), 둘째아는 총1100만원(60개월), 셋째아는 총1700만원(60개월), 넷째 이상은 동일 기간 동안 최대3000만원이 매월 지급된다. 둘째 이후 영유아 양육수당도 매월10만원씩 추가로 제공된다.
하승철 군수는 "청년들이 지역에서 안심하고 정착하며 아이를 키울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최우선 과제"라며 "생애 단계별 맞춤 정책으로 결혼·임신·출산 친화 도시 구현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