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페루에서 구리 수송이 또 다시 차질을 빚으며, 이른바 '영세한 자영 채굴업자'들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수천 명에 달하는 소규모 금·구리 채굴업자들이 규제와 행정 절차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며 도로를 점거하는 시위를 벌이면서, 최소 두 곳의 주요 광산에서 항구로 향하는 구리 반가공품 수송이 막혔다.
페루는 세계 3위 구리 생산국으로, 이번 사태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파장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영향을 받은 광산은 MMG의 '라스 밤바스'(Las Bambas) 광산과 허드베이 미네랄스(Hudbay Minerals)의 '콘스탄시아'(Constancia) 광산이다.
이 지역에서는 그동안에도 대형 광산업체를 상대로 경제적 보상이나 환경 보호를 요구하는 시위가 잦았지만, 이번에는 "스스로 채굴할 권리를 보장해 달라"는 자영 채굴업자들의 요구가 중심이어서 성격이 다르다는 평가다.
특히 금과 구리 가격이 급등하면서 생계형 농업을 접고 소규모 광업으로 전환한 주민들이 늘어나면서, 대기업의 채굴 허가 구역(콘세션) 안에서 무허가 채굴이 확산되는 추세다.
이들 채굴자들은 '레인포(Reinfo)'라는 임시 등록제를 통해 합법화 절차를 밟으면서 채굴을 이어가고 있지만, 대형 광산업계는 이 제도가 사실상 불법 채굴을 방패막이하는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광업 컨설턴트 파블로 오브라이언은 "비공식 채굴업자들이 환경·노동 기준을 지키지 않은 채 집단행동을 통해 요구를 관철할 수 있는 힘을 키워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업계는 이런 추세가 차세대 대형 광산 개발 계획을 저해하고, 이미 파나마·콩고민주공화국 등지에서의 공급 차질로 불안정해진 글로벌 구리 공급망을 더욱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페루의 정치 분석가이자 광업·공공정책 전문가인 이반 아레나스는 "비공식 채굴업자들이 금속 가격 상승과 다가오는 선거를 계기로 정치·사회적 세력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까지는 운송 차질만 발생했으며, 광산 현장의 직접적인 생산에는 영향이 없지만,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필수 자재가 고갈되거나 저장 공간이 부족해져 중국 등 해외 제련소로의 선적 일정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되는 구리 선물은 지난 4월 저점에서 27% 가까이 상승했다. 우리 시간 4일 오전 10시 50분 현재 해당 선물은 전일보다 0.07% 내린 파운드(약 0.454kg)당 5.139 달러에 거래 중이다.
![]() |
뉴욕상품거래소(comex) 구리선물 최근 1년 동향. [사진=koyfin] |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