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패통탄 친나왓 총리에 대한 직무 정지 명령이 내려지고, 그의 아버지인 탁신 전 총리가 재수감될 위기에 처하는 등 태국 정국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1일 AFP 통신 등에 따르면, 태국 헌법재판소는 이날 패통탄 총리와 훈 센 캄보디아 상원의장 간 통화 내용 유출 파문과 관련한 총리 해임 심판 청원을 받아들이며, 판결 때까지 총리 직무 정지를 명령했다.
헌재는 패통탄 총리에게 15일 이내에 해명 자료를 제출할 것을 명령했으며 이후 본격적인 심리에 돌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태국과 캄보디아의 국경 분쟁으로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훈 센 의장이 패통탄 총리와의 통화 내용을 자국 정치인 등 약 80명과 공유하면서 파문이 일었다. 통화에서 패통탄 총리가 훈 센 의장에게 국경을 관할하며 자국 군 사령관을 험담한 것이 유출된 것이다.
이에 보수 성향 상원의원들은 패통탄 총리가 캄보디아와의 충돌 과정에서 헌법에 명시된 윤리를 위반했다며 해임을 요구했다.
지난 28일 수도 방콕에서는 1만여 명이 참석한 총리 퇴진 요구 시위가 열렸고, 패통탄 총리 지지율은 9%대로 추락했다.
통화 유출 파문을 계기로 연립정부에서 탈퇴해 야당이 된 품자이타이당은 패통탄 총리 불신임안을 제출할 예정이며, 국가반부패위원회(NACC)도 패통탄 총리의 윤리 위반을 조사하기로 했다.
![]() |
[방콕 로이터=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1일(현지 시간) 태국 헌법재판소가 직무 정지를 명령한 뒤 패통탄 총리가 수도 방콕의 정부 청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7.01 hongwoori84@newspim.com |
한편 탁신 전 총리의 왕실모독죄 혐의에 대한 재판도 이날 시작됐다.
태국 검찰은 탁신 전 총리가 2015년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 왕실 비판성 발언이 왕실모독죄에 해당한다며 지난해 6월 탁신 전 총리를 기소했다. 그러나 탁신 전 총리의 딸인 패통탄 총리가 지난해 8월 취임하면서 법원은 재판을 올해 7월로 연기했다.
탁신 전 총리는 'VIP 수감 논란'과 관련해서도 재수감될 수 있는 상황이다. 2006년 쿠데타로 축출된 탁신 전 총리는 부패 혐의 등의 재판을 앞두고 사실상 해외로 도피했다가 15년 만인 2023년 귀국했다.
직후 8년 형을 받고 수감됐지만 당일 밤 경찰병원으로 이송됐다. 이후에는 왕실 사면으로 형량이 1년으로 줄었고 수감 6개월 만에 가석방됐다.
특혜 논란이 이어지면서 대법원은 탁신 전 총리의 병원 수감생활이 부적절했다는 청원에 대한 심리를 개시했다. 법원이 병원 수감을 불법으로 판단하면 복역을 명령할 수 있다.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