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茶和天下·苏韵雅集"江苏文旅(韩国)主题交流推介会在首尔举办

기사입력 : 2025년05월22일 17:15

최종수정 : 2025년05월22일 17:15

纽斯频通讯社首尔5月22日电 5月21日恰逢"国际茶日",江苏省文化和旅游厅携手中国驻首尔旅游办事处走进韩国首尔,以茶为媒,以茶会友,以茶传事,以茶促旅,在"茶和天下·苏韵雅集"江苏文旅(韩国)主题交流推介会上生动展示了一场苏式"文雅集会"。活动吸引中韩文旅业界人士、中韩主流媒体代表及中韩友好社团、知茶爱茶人士近100人,共赴"苏韵雅集"之约。 

活动现场图。【图片=记者 周钰涵 摄】

◆品茗赏曲,双向奔赴文雅集会之约

活动的开场宣传片以水为"引",茶为"饮",生动展示了江苏的江河湖海、江南风光、茶香四溢、丝竹管弦,水孕万物的美好景象。潺潺水流声中,"水韵江苏"的文化IP跃然纸上,彰显江苏自然之美、人文之厚。在流水鸟蹄声中,来自江苏的传统乐器古琴、二胡、笛子、洞箫,创新谱曲合奏江苏民歌,世界名曲《茉莉花》拉开了本次活动序幕。

《茉莉花》演出。【图片=记者 周钰涵 摄】

◆"印象江南,文雅市集"——沉浸式体验非遗魅力

活动通过"茶艺展示"、"茶品与茶衍生品"、精选宜兴紫砂壶观赏、非遗漆扇制作技艺等江苏代表性非遗体验项目,融合了品茗、闻香、赏器、听曲等可视、可触、可赏、可品的"文雅之集会"打造了非遗与现代生活相连接的苏式审美空间。

"观赏+体验",参与感拉满。与会嘉宾近距离直观江苏茶及茶的衍生品、现场体验非遗漆扇制作技艺、品鉴江苏茶叶、茶点、茶器等,并与现场嘉宾面对面讲解江苏茶与茶点的制作技艺,深入了解江苏茶文化的丰富内涵,彰显了江苏非物质文化遗产的创造性转化和创新性发展,也体现了文旅融合新时代里中国茶文化传承与保护的活力与成果。

江苏省文化和旅游厅二级巡视员孙士泽致辞。【图片=记者 周钰涵 摄】

◆再续双面江南之缘——茗叶传递"茶和"之事

2019年联合国大会将5月21日定为国际茶日,2022年"中国传统制茶技艺及其相关习俗"列入联合国教科文组织人类非物质文化遗产代表作名录,这其中便涵盖了苏州洞庭碧螺春、南京雨花茶及扬州富春茶点的制作技艺。 

以"水韵江苏""茶旅江苏""茶和共生"三个部分生动推介中国茶、江苏茶,以苏州洞庭碧螺春、南京雨花茶、扬州富春茶点等3项制作技艺为宣传点,面向参与本次活动的各界嘉宾推介江苏茶的历史、茶与生活、茶与文化、茶与观光,领悟"茶和"之原则,促文明互鉴;此外推介环节上"江海有情,南通有请",南通文旅推介以江海风光为序娓娓道来,从鉴真东渡的历史意义,到张謇创造的时代传奇,再到当下的江海休闲之旅,让现场嘉宾心驰神往。

中国驻首尔旅游办事处主任张若愚致辞。【图片=记者 周钰涵 摄】

◆"青山一道同云雨"——互利共赢,深化合作

此次江苏文旅推介会的最大亮点,当属免签入境政策﹑江苏省内便利支付政策与江苏针对韩籍客群制定的长短期两条"双城记"游线路产品重磅推出,紧抓"韩国人中国周末游"、"江苏的高尔夫球场长满了韩国人""China Travel"等话题热潮,精准拿捏流量密码,为赴苏旅游的韩国游客带来实实在在的福利与全新旅行灵感,让"畅游江苏"更便捷、更安心、更舒心。现场更是送上江苏非遗项目礼品、南京汤山温泉酒店住宿券以及南京雨花茶精品套盒大奖,将参会嘉宾对江苏之旅的期待值拉满。

首尔市观光协会会长赵泰淑致辞。【图片=记者 周钰涵 摄】

 随后,为江苏入境旅游发展打开全新局面,江苏旅游(韩国)推广中心与首尔特别市观光协会共同签署《中(江苏)韩双边高品质旅游业发展友好互助备忘录》。此次战略合作,将为江苏旅游在韩国市场的推广注入新动力。 

为江苏入境旅游发展打开全新局面,江苏旅游(韩国)推广中心与首尔特别市观光协会共同签署《中(江苏)韩双边高品质旅游业发展友好互助备忘录》。【图片=记者 周钰涵 摄】

活动最后,来自江苏的昆曲艺人以婉转的唱腔现场演绎了昆曲经典作品《牡丹亭·游园》【步步娇】片段。演出结束,在观众雷鸣的掌声中为本次活动划上了圆满的句号。 

◆"茶和天下·苏韵雅集"——跨越山海,和合共荣

"茶之为饮,发乎神农氏,闻于鲁周公",茶是承载历史和文化的"中国名片"。作为中韩文化交流的纽带,茶文化一直扮演着重要的角色。江苏作为中国的文化大省在本年度国际茶日来临之际组织"茶和天下·苏韵雅集"活动远赴韩国首尔,也是秉持着融入韩国社会、以茶交友、领悟"茶和"之道的原则,利用两国共享的东亚文化纽带,促进文明互鉴,进一步加深理解,增进友谊。(完)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