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뉴코아 인천논현점 폐점...대구 3개, 매각 후 재임대 검토
오프라인 유통 채널 재편...생존 위기 속 돌파구 모색 일환
신규 복합몰 'NC이스트폴' 출점...'MD 개편' 매장 10개 확대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올해 들어 이랜드리테일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주춤했던 점포 구조조정을 재개했다.
소위 돈이 안 되거나 사업 간 시너지가 나지 않는 매장이 점포 효율화 대상이다. 대구·경북권 점포 3곳에 대해서는 매각 후 재임대하는 '세일 앤 리스백(Sale & Lease back)'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타사와 차별화 된 경쟁력을 갖춘 오프라인 점포 중심으로 새 판 짜기에 돌입했다. 부진한 실적에 대응하고 재무 건전성 제고를 위해 '선택과 집중' 전략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 |
이랜드월드 가산사옥. [사진=이랜드] |
20일 업계에 따르면 이랜드리테일은 다음 달 말에 뉴코아 인천논현점을 폐점한다. 지난해 5월 문을 닫은 NC 서면점 이후 13개월 만이다.
인천논현점은 오는 6월 임대 계약기간이 만료되는데, 재계약하지 않고 영업 종료를 결정한 사례다. 지난 2010년 개점한 뉴코아 인천논현점은 푸르지오시티 주상복합 건물 내 1~3층으로 조성됐다. 이랜드리테일 관계자는 "인천논현점은 식음료(F&B)나 킴스클럽 등이 입점돼 있지 않다"며 "2개층을 사용한 패션 카테고리와 시너지를 내는 데 한계가 있어 이번에 폐점 결정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랜드리테일은 대구·경남권 3개 점포에 대해서 자산 유동화를 추진한다. 이랜드리테일이 운영 중인 대구 지역의 동아 수성점·강북점 2곳과 경북 지역의 NC 경산점 1곳 등이 매각 검토 대상이다.
특히 동아 수성점·강북점, NC 경남점은 세일 앤 리스백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이랜드리테일은 현재 매각 주관사를 선정한 상태다. 앞서 이랜드리테일은 지난해부터 '자산매각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매각 대상을 전 계열사로 확대했다.
동시 다발적으로 점포 효율화 작업이 진행된 것은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됐던 2020년 이후 5년 만이다. 코로나19 사태가 터진 해인 2020년 이랜드리테일은 NC 신구로점(9월), 뉴코아 안산점(12월), 뉴코아 모란점 3곳을 잇따라 폐점했다. 이듬해인 2021년 9월에는 2001년아울렛 철산점 1곳 문을 닫았다.
엔데믹(경제활동 재개) 이후에는 점포 구조조정을 자제해 왔으나, 소비 침체가 장기화하자 지난해부터 점포 효율화 작업을 재개한 모습이다. 실제 지난해 5월 NC 서면점을 폐점했다, 그러다 올 들어서는 점포 효율화 속도에 가속도가 붙은 분위기다. 현재 폐점이 확정됐거나 매각을 검토 중인 점포 수는 4개로 확인되는데, 이는 실적 부진과 맞닿아 있다.
이랜드리테일의 지난해 매출은 연결 기준 1조5648억원으로 전년(1조5713억원) 대비 0.4% 줄었다. 수익성 지표는 더욱 악화됐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300억원으로 전년 517억원 대비 42% 급감했다. 수익성 감소는 유통 사업의 부진 영향이 컸다. 유통 부문의 작년 영업손실은 20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11억원) 대비 적자 폭이 대폭 확대되며 전체 수익성을 끌어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랜드리테일은 현재 NC백화점(전체 매장 20개), 뉴코아아울렛(14개), 2001아울렛(5개), 동아백화점(4개) 등 오프라인 유통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도심형 쇼핑몰과 아웃렛을 표방하며 오프라인 유통 사업을 전개해왔으나, 독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갈수록 유통 시장에서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급변한 유통 환경에 대응하지 못한 결과란 지적이 나온다.
소비 중심 축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유통 시장으로 옮겨간 가운데 고객 발길을 붙잡을 만한 매장 구성을 하지 못한 것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단적으로 코로나19 기간을 거쳤음에도 백화점 업계를 선도하는 롯데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의 경우 단일 점포 기준으로 잠실점과 강남점의 매출이은 3조원 규모로 성장했다. 반면 이랜드리테일의 전체 매출이 1조5000억원 수준으로 절반 수준에 그쳐 대조를 이뤘다.
![]() |
뉴코아아울렛 강남점 전경. [사진=이랜드] |
이에 이랜드리테일은 주요 소비층으로 자리매김한 MZ세대를 겨냥해 새로운 복합쇼핑몰 브랜드인 NC이스트폴을 론칭하고 국내 유통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NC이스트폴은 이달 말 서울 광진구 구의역 인근에 프리오픈할 예정이다. 앞서 이랜드리테일은 KT의 부동산 자회사 KT에스테이트와 위탁 운영 계약을 체결했다. 쇼핑몰 MD 구성과 운영은 이랜드리테일이, 입점 업체들과 임대 및 수수료 계약은 KT에스테이트가 각각 맡는 구조다.
매장은 지하 2층부터 지상 2층까지 총 4개층으로 구성됐다. 이랜드의 외식브랜드 '애슐리'를 비롯해 패션 브랜드 100여개가 입점한다. 지하 1층은 SPA·스포츠·캐주얼 브랜드가, 지상 1층은 글로벌 브랜드와 트렌디 패션 매장으로 조성된다. 지상 2층은 MZ세대를 겨냥한 패션 콘텐츠와 캐주얼 다이닝 매장으로 채워진다.
이랜드리테일은 매장별 상품(MD) 공간 배치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 점포 지상 1층에 이랜드 강점을 활용한 유통형 SPA 매장과 '오프 프라이스 매장(OPR)'을, 프랑제리 베이커리 등 F&B 브랜드를 대거 입점시켜 2030세대와 가성비를 선호하는 알뜰족(族)을 동시에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기존 백화점들이 지상 1층에 명품과 화장품을 배치하는 '성공 공식'을 깨고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를 극대화해 실적 개선을 이루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대표적인 콘텐츠는 해외 유명 브랜드를 큰 폭의 할인가로 쇼핑 가능한 NC픽스다. NC픽스는 전 품목 인기 브랜드의 50~80% 할인된 가격을 강점으로 앞세운 '수퍼 프라이스 존(Super Price Zone)'을 신설해 최대 90% 할인된 상품까지 판매한다. 이랜드리테일의 상품 소싱 역량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갖췄다.
이러한 매장별 MD 개편은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먼저 MD 개편을 진행했던 NC 부산대점과 NC송파점은 전년 대비 20%, 10%씩 매출 신장률을 보이며 실적 개선 효과를 입증했다. 올해 MD 개편 작업을 진행할 점포도 10여개로 늘려나갈 계획이다.
이랜드리테일 관계자는 "오프라인 매장은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본업 경쟁력을 살리지 않으면 온라인이 주도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차별화된 매장 구성과 공간 혁신에 총력을 기울여 고객 접점을 확대하고 '우리 매장에서만 만날 수 있는 핵심 콘텐츠'를 강화해 온라인으로 이동한 고객까지 다시 매장으로 이끌어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nr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