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기고] AI가 영화를 제작할 수 있을까?

기사입력 : 2024년12월23일 06:03

최종수정 : 2024년12월23일 08:39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하민회 (이미지21대표, 미래기술문화연구원장)

AI 동영상의 본격적인 진화가 시작됐다. 지난 2월 오픈AI가 발표한 동영상 생성 AI모델 '소라(Sora)'는 전 세계인을 충격에 빠뜨렸다.

네온이 가득한 도쿄 밤거리를 걷는 여인부터 SF영화의 한 장면 같은 우주선 씬, 깜찍하고 개성 있는 애니메이션까지 AI가 만든 영상이라 보기엔 믿기지 않을 만큼 현실적이고 훌륭한 품질 탓이었다. 영화계와 광고업계는 기대 반 우려 반으로 술렁였다.

[사진 = 오픈AI 홈페이지] 미국 오픈AI(OPEN AI)가 15일(현지시간) 공개한 동영상 생성 AI 서비스인 '소라'를 통해 제작한 영상.

그 소라가 12월 9일 업그레이드 버전 '소라 터보'로 공식 출시되었다. 사용자는 최대 1080p 해상도, 최대 20초 길이의 동영상을 와이드스크린, 수직 또는 정사각형 비율로 이전 소라 대비 훨씬 빠른 속도로 생성할 수 있다.

텍스트뿐 아니라 사진, 동영상을 입력해 새로운 동영상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기본적인 인터페이스는 '미드저니'의 웹버전과 비슷한데 생성한 동영상을 클릭하면 프롬프트를 확인할 수 있다. 타임라인 위에 장면별로 프롬프트를 입력해 영상을 순서대로 만들 수 있는 '스토리보드' 기능도 눈에 띈다.

영국, 스위스 및 유럽연합(EU) 지역을 제외한 챗GPT가 제공되는 모든 국가에서 독립된 서비스로 출시되는 소라 터보는 챗GPT '플러스'와 '프로' 구독자는 별도 비용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소라에 대한 기대와 관심은 한때 플랫폼 내 이용자 폭증으로 인한 서버 트래픽 문제가 발생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10개월 간 얼마나 발전했는지, 이제는 AI로 누구나 영화를 만들 수 있을지 모두가 궁금해했다.

하민회 이미지21 대표.

"소라는 통제력을 가지고 있다는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누군가 4K 카메라를 가지고 있다고 해서 스티븐 스필버그가 되는 것은 아니다" 최초로 소라를 활용해 단편 영화를 제작한 미카엘라 테르나스키 홀랜드 감독은 제어(표현 조절)이 자유롭지 않은 소라의 한계를 이렇게 지적했다.

특히 영상에 등장하는 개체의 모습을 유지하거나 물리법칙에 맞게 움직이는 데에는 한계를 보인다. 손에 들고 있던 물건이 다음 장면에서 사라진다 거나 수프를 먹고 있던 스푼이 잔을 뚫고 나오기도 하고 걷고 있는 동물의 앞다리와 뒷다리가 뒤바뀌기는 모습도 보인다. 이전 버전보다 드라마틱한 발전이 느껴지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라 터보의 출시는 동영상 AI 모델을 둘러싼 빅테크 간 불꽃 튀는 경쟁을 예고한다.

비슷한 시기에 구글 딥 마인드가 공개한 동영상 생성AI 모델 비오(VEO)2. 영상 생성의 신세계를 열었다는 호평을 받는다. 일단 4K 해상도로 2분 이상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소라보다 해상도는 4배, 영상 길이는 6배를 뛰어넘는다.

바이트댄스의 더우바오 이미지 [사진=바이트댄스]

카메라 제어능력도 뛰어나다. 다양한 각도에서 객체와 사람을 인식해 움직임, 유체 동역학, 빛의 특성까지 사실적으로 구현해낸다. 몇 분간 일관된 동영상 생성을 유지하기도 한다. 물론 현재 비오 2가 '비디오FX'를 통해 일부 사용자에게만 제공되고 있는 관계로 아직은 성능에 대해 정확한 평가를 내리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가 만든 '무비 젠'도 눈 여겨 볼만하다. 최대 16초 길이의 영상을 만들 수 있는 무비 젠은 영상과 텍스트 프롬프트로 주변 소리, 악기 배경 음악, 음향 효과 등을 포함한 최대 45초 길이의 오디오를 생성해내고 이를 영상 콘텐츠와 동기화 할 수 있다. 사진을 사용해 실제 인물이 등장하는 맞춤형 동영상도 만들 수 있다. 무비 젠은 내년에 인스타그램을 비롯해 왓츠앱, 메신저 등 메타의 소셜미디어 앱에 탑재될 계획이다.

빅테크들의 경쟁이 동영상 생성AI 서비스로 넘어 간 결정적 이유는 시장성 때문이다. 영화, 애니메이션, 광고, 숏 폼은 물론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에서도 생성AI 활용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포천 비즈니스 인사이트에 의하면 AI 동영상 생성 시장 규모는 지난해 5억 3440만 달러(약 7000억원)에서 2032년 25억 6290만 달러(3조 3000억원)로 연평균 19.5%씩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픈AI와 챗GPT 로고 [사진=뉴스핌DB]

과연 AI는 영화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현재 기술로는 아니 앞으로도 한 동안은 복잡한 시나리오로 구성된 10분이 넘는 영상을 무리 없이 생성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AI로 대본 초안을 작성하면 어느 정도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시각효과(VFX), 편집 등의 여러 단계에서도 자동화를 통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AI의 결과물은 어디까지나 '평균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그 이상이 되려면 반드시 베테랑 아티스트의 손길이 필요하다. 대본이든 기술적인 작업이든 마찬가지다. AI가 이미 제작된 영화의 예고편은 만들 수 있어도 깊은 감정선을 건드리는 한 장면은 만들기 어렵다.

Crowd of small symbolic figures forming big person shapes arguing, 3d illustration, horizontal, isolated, over white

AI는 그저 시간과 비용은 줄여 주는 수단일 뿐 여전히 창의적이거나 혁신적인 포인트를 만들어내지 못한다.

"예술은 언제 멈춰야 하는 것을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동영상 생성 AI는 일관성이 부족하고 자유로운 컨트롤이 어려우며 출력의 품질이 아직 실사에 미치지 못한다. 그런 AI가 멈추는 것을 배우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다."

배우 벤 애플릭의 말은 '비범'을 만드는 건 결국 인간임을 새삼 깨닫게 해준다.

오픈AI의 소라 [자료=업체 제공]

◇하민회 이미지21대표(미래기술문화연구원장) =△경영 컨설턴트, AI전략전문가△ ㈜이미지21대표 △경영학 박사 (HRD)△서울과학종합대학원 인공지능전략 석사△핀란드 ALTO 대학 MBA △상명대예술경영대학원 비주얼 저널리즘 석사 △한국외대 및 교육대학원 졸업 △경제지 및 전문지 칼럼니스트 △SERI CEO 이미지리더십 패널 △KBS, TBS, OBS, CBS 등 방송 패널 △YouTube <책사이> 진행 중 △저서: 쏘셜력 날개를 달다 (2016), 위미니지먼트로 경쟁하라(2008), 이미지리더십(2005), 포토에세이 바라나시 (2007) 등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韓 4대 그룹 총수들과 골프 [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주요 기업 총수들과 함께 한나절 동안 '골프 회동'을 진행했다. 글로벌 통상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열린 자리여서 관세와 대미 투자 관련 의견 교환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왼쪽부터)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사진=뉴스핌DB] 19일 외신에 따르면 18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오전 9시쯤 플로리다주 팜비치의 마러라고 별장을 나와 인근 '트럼프 인터내셔널 골프클럽'으로 이동해 오후 5시쯤까지 라운딩을 즐겼다. 백악관 풀기자단은 "트럼프 대통령이 오전 9시15분 골프장에 도착했다"고 전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 한국 주요 대기업 총수들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이 이들을 초청했으며, 일본과 대만 주요 기업인들도 함께 자리했다. 한국의 주요 재벌기업 총수들이 집단적으로 미국의 대통령 및 정·관계 주요 인사들과 함께 골프를 즐긴 것은 사상 유례가 없는 일이다. 통상 4인 1조로 진행되는 아마추어 골프 경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누구와 한 조를 이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백악관은 풀기자단의 확인 요청도 거부했다. 골프장 입구는 경호원들에 의해 외부인의 접근이 차단됐다. 골프장 주변도 높은 나무로 빽빽이 둘러싸여 내부 확인은 어려웠던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기업인들과 동반 라운딩을 하지 않았더라도 경기 전후 또는 점심시간이나 휴식시간 등을 활용해 대화를 나눴을 가능성이 있다. 이 자리에서 반도체·자동차·배터리·조선 등 분야에서 이들 기업의 대미 투자 및 관세에 대한 의견이 오갔을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마러라고 별장 일대에서는 경찰이 기자와 시민의 접근을 통제하며 "VIP들이 있다"며 경계태세를 유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yuniya@newspim.com 2025-10-19 10:00
사진
김세영, 고향 땅에서 '5년만의 통산 13승' [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빨간 바지의 마법사'가 화려한 금의환향 퍼포먼스를 보여줬다. 고향 팬들과 가족의 열렬한 응원을 받은 김세영(31·메디힐)이 고향 땅에서 와이어 투 와이어로 천금 같은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2020년 11월 펠리컨 챔피언십 이후 5년이라는 긴 침묵을 깨고 LPGA 통산 13승을 기록했다. 한국은 올 시즌 6승과 함께 7명째 LPGA 우승자를 배출했다. 김세영은 19일 전남 해남군 파인비치 골프링크스(파72·6785야드)에서 열린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최종일 4라운드에서 5언더파 67타를 적어내 최종 합계 24언더파 264를 기록, 단독 2위 하타오가 나사(일본)를 4타 차로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24언더파는 대회 72홀 최저타 신기록이다. 우승 상금 34만 5000달러(약 4억9000만원)를 보태 통산 1518만 달러의 상금을 쌓아 로레나 오초아(멕시코)를 제치고 역대 상금 10위에 올랐다. 김세영이 19일 열린 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최종일 우승 트로피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LPGA] 이날 4타 차 선두로 출발한 김세영은 초반 불안한 출발을 보였다. 3번 홀에서 짧은 파 퍼트를 놓치며 1번 홀에서 버디를 잡은 노예림에게 2타 차까지 쫓겼다. 그러나 5~7번 홀에서 3연속 버디를 잡아 추격자들의 의지를 꺾었다. 이어 9번 홀(파4)에서 버디를 추가하며 2위와 4타 차로 벌려 우승 가능성을 높였다. 후반에는 추격자들이 타수를 줄이지 못하au 단독 2위 경쟁을 하는 사이 김세영은 편안하게 타수를 지켜가며 우승을 굳히는 상황으로 진행됐다. 후반 첫 4개 홀을 파로 지나간 김세영은 14, 15번 홀에서 버디를 보태 2위로 치고 올라온 셀린 부티에(프랑스)와 6타 차까지 벌려 사실상 우승을 확정했다. 김세영이 19일 열린 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최종일 챔피언 퍼트를 넣은 뒤 기뻐하고 있다. [사진=LPGA SNS동영상 캡처] 해남 옆동네인 전남 영암군에서 태어난 김세영은 한국 국적 선수로는 2021년 고진영 이후 4년 만에 이 대회 챔피언에 올랐다. 2019년에 시작한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은 2023년까지 한국 선수 혹은 한국계 선수들이 우승컵을 가져갔다. 2019년 장하나, 2021년 고진영, 2022년 리디아 고(뉴질랜드), 2023년 이민지(호주)가 우승했고 지난해엔 호주의 해나 그린이 이 대회 최초로 한국 또는 한국계 선수가 아닌 우승자로 이름을 남겼다. 2025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우승자 안세영. [사진=LPGA] 김세영은 2015년 LPGA 투어에 데뷔해 3승을 거두며 신인상을 수상했다. 이후 2020년까지 매년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2019년에는 3승을 쓸어 담았고 2020년에는 메이저 대회인 KPMG 위민스 PGA 챔피언십 우승을 포함해 2승을 달성하며 올해의 선수상까지 거머쥐었다. 특히 김세영은 2018년 7월 손베리 크리크 클래식에서 31언더파(63-65-64-65, 257타)로 우승하며 남녀 통틀어 72홀 역대 최저타 및 최다 언더파 신기록을 세웠다. 이전 기록은 LPGA 애니카 소렌스탐의 27언더파, PGA 어니 엘스의 30언더파였다. 한국 선수들은 이날 대약진했다. 김아림이 이날 6타를 줄이며 공동 3위에 올랐고 안나린과 최혜진은 무려 9타씩 줄여 나란히 공동 7위에 랭크됐다. 김효주와 이소미가 공동 10위에 자리해 한국 선수 6명이 톱10에 진입했다. 고진영도 8타를 줄여 고교생 아마추어 오수민과 함께 공동 19위로 순위를 크게 끌어 올렸다. 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대회 중 은퇴 기념 케이크를 선물 받은 지은희(가운데). [사진=LPGA] 19일 열린 LPGA 투어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최종일 캐디로 나선 최나연. [사진=LPGA] 19년 LPGA 투어 생활을 마감하는 은퇴 무대로 이번 대회에 공동 24위로 마친 지은희는 9번 홀에서 현역 마지막 퍼트를 버디로 장식하며 갤러리들의 뜨거운 박수 갈채를 받았다. 루키 윤이나는 3타를 줄이는 데 그쳐 공동 24위로 톱10 진입에 실패했다. 2023년 은퇴한 최나연은 이번 대회에서 이정은5의 캐디로 나서 눈길을 끌었다. psoq1337@newspim.com 2025-10-19 16:1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