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现场】接棒中国沿海增长的西南部:"东数西算"为贵州发展添动力

기사입력 : 2024년11월04일 16:55

최종수정 : 2024년11월04일 16:55

纽斯频通讯社首尔11月4日电 (记者 崔宪圭,编译 记者 周钰涵)上世纪60年代,毛泽东为应对来自美国的威胁,将主要军工和重工业设施、科学园区转移至西部,这便是"三线建设"战略。

进入21世纪,中国政府将第四次工业革命的核心技术——大数据作为"东数西算"工程的一部分转移至西南边远地区的贵州省。"东数西算"工程的战略是将东部沿海发达地区的数据转移至电力资源充足、气候条件优越的西部进行处理。

贵阳市观山湖区的国家大数据(贵州)综合试验区展示馆,工作人员正在介绍"东数西算"工程。【图片=记者 崔宪圭 摄】

当前美中冲突加剧,新冷战的紧张局势与20世纪60年代的东西冷战相似。就像"三线建设"时期将工业和科研设施转移一样,大数据产业也迁至西南(贵州)这种效率和安全性更高的地区,以分散沿海地区集中的经济实力,同时推动国土均衡发展。因此,可以说"东数西算"是21世纪版的"三线战略"。 

10月25日,韩国综合通讯社——纽斯频(NEWSPIM)中国本部记者在湖南省和贵州省进行南部地区采访的第三天,访问了被称为中国偏远地区的代表——贵州省贵阳市。此次贵州之行的主要目的是采访中国大力发展的大数据产业,以及市值超过该省GDP规模的茅台。

巨型射电望远镜——天眼模型。【图片=记者 崔宪圭 摄】

贵州省外事办工作人员向记者介绍道:"贵州集中了许多大数据计算的主要设施,大数据已成为贵州新的名片。"贵州可谓"大数据之省"。尽管过去被"先富论"忽视,但现在它成为31个省市中最受瞩目的大数据特区。 

26日,记者来到了位于省会贵阳市观山湖区的国家大数据(贵州)综合试验区展示馆。这是中国政府为支持贵州大数据产业所设的综合展馆。展馆内,占据显著位置的是贵安新区的展示材料。讲解员在贵安新区展示区向记者介绍:"2014年,贵安新区在贵阳市和安顺市之间成立,是国家级大数据产业开发区之一。贵安新区是中国八个国家级新区之一,是东数西算的核心区域。"

目前,贵安新区已吸引了包括阿里巴巴、华为、腾讯等中国企业,以及英特尔、富士康等全球领先的IT科技和互联网大数据企业在此设立数据中心。贵州省近年来在大数据、电子IT、云计算、人工智能、集成电路等领域投入了巨大的精力。展览馆的工作人员表示,贵州大数据产业的总规模预计接近100万亿韩元。

国家大数据(贵州)综合试验区展示馆。【图片=记者 崔宪圭 摄】

 

地处西南内陆的贵州,曾是投资者难以落户的地方,这里是如何迅速崛起为大数据的中心?习近平主席决定在西南偏远的贵州发展大数据产业,是基于"共同富裕"时代的国土均衡发展战略。更重要的是,贵州具备发展大数据产业的优越自然条件。贵州外事办副主任罗煜表示,贵州的喀斯特高原地貌使气候凉爽,自然灾害如台风、地震、山体滑坡的发生率极低。

大数据被称为"电老虎",需要大量电力。贵州省的水电、火电、太阳能和风能等新能源资源丰富,为大数据产业的发展提供了理想条件。 

由于喀斯特地貌分布着许多石灰岩洞穴,能维持适宜的数据中心温湿度,这也是贵州成为大数据中心的关键原因之一。贵安新区的腾讯等大数据企业的数据中心就如同军用碉堡般建设于此。

展示大数据在贵州省旅游产业中的应用情况。【图片=记者 崔宪圭 摄】

在中国国家大数据展示馆里悬挂着"贵州大数据基地建设是国家赋予的使命"标语,详细展示了5G结合的大数据产业应用案例,以及基于大数据的互联网医疗等实际应用情况。 

在参观展示馆的前一天,即25日,记者乘坐前往贵州省南部黔南布依族苗族自治州惠水县好花红少数民族村的巴士上,听到贵州省一名工作人员提到,位于惠水县附近的平塘县有世界最大的射电望远镜——天眼(FAST),此次行程遗憾未能安排参观。 

入驻贵安新区的华为数据中心。【图片=记者 崔宪圭 摄】

在贵阳的大数据展览馆里,天眼的模型也被展示出来。天眼是一个类似半球形的装置,用于天文研究。这一巨型射电望远镜的直径达500米,相当于30个足球场的面积,由4.4500万块三角形反射板组成。(待续)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재계 총수들, '트럼프 Jr' 만남 총출동 [서울=뉴스핌] 서영욱 남라다 김아영 조민교 기자 = 30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려는 재계 인사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내 사업 현안을 전달하고 정책적 협력을 요청하기 위한 행보다. 트럼프 주니어와 재계 인사들의 면담은 트럼프 주니어가 묵고 있는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호텔의 한 구역에서 열렸다. 트럼프 주니어를 초청한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집무실이 있는 건물이다. 건물 주변에 많은 취재진이 대기 중이지만, 철저한 보안으로 인해 오고 가는 재계 인사들을 마주치기 어려운 상황이다. 30일 오전 트럼프 주니어가 묵고 있는 서울 강남구의 한 호텔 인근 커피 매장에서 포착된 김동선 부사장(왼쪽)과 김동원 사장 [사진=독자 제공] 이날 오전 한화그룹의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 3형제가 트럼프 주니어를 만난 재계 인사 중 가장 먼저 언론에 포착됐다. 한화솔루션은 미국 조지아주에 태양광 모듈 일관 생산단지 '솔라 허브' 프로젝트를 조성 중이다. 연간 8.4GW 규모의 이 시설은 약 130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현지 생산 비중을 70%까지 높여 미국의 자국 우선 조달 정책에 대응하고 관세 부담도 줄이겠다는 구상이다. 한화그룹은 방산·조선 사업에서도 미국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최근 호주의 방산 조선업체 오스탈 지분을 확보하며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선 상황이다. 오스탈은 앨라배마와 샌디에이고에 조선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 해군 소형 수상함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이다. 롯데그룹도 트럼프 주니어와의 접촉에 나섰다. 신동빈 회장과 인도네시아 출장에 나섰던 장남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부사장은 이날 오전 귀국해 트럼프 주니어를 만났다. 롯데는 미국 뉴욕 시러큐스에 보유한 바이오 공장을 중심으로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시아 바이오기업과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임상 물질 생산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공장에서 첫 양산이 이뤄질 예정이다. 미국 내 관세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선제적 설비 확충과 고객사 확보에 나선 롯데는, 신 부사장을 통해 트럼프 주니어와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29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해 탑승기에서 내리고 있다. 2025.04.29 choipix16@newspim.com 이재현 CJ그룹 회장도 이날 트럼프 주니어와 비공개 개별 면담을 가졌다. CJ제일제당은 미국 중서부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에 북미 최대 규모의 아시안 식품 신공장을 짓고 있다. 총 7000억 원이 투입되는 이 공장은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하며, 미국 시장 내 K푸드 수출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 회장은 미국 내 식품 수출 시 애로사항과 관세 이슈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외 이해진 네이버 의장,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등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는 이날 "인공지능(AI)과 테크, 글로벌 진출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상호 협력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 나눴다"고 설명했다.   이날 오후에도 트럼프 주니어를 만나려는 재계 인사들의 발길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번 트럼프 주니어의 방한은 정용진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트럼프 미 행정부와의 소통 채널을 만들어달라는 재계 요청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한 트럼프 주니어는 곧장 정 회장 자택으로 이동해 만찬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재계 면담이 끝나는 대로 이날 밤 출국할 예정이다. syu@newspim.com 2025-04-30 14:24
사진
'김문수·한동훈' 최종 승자는 누구 [서울=뉴스핌] 박서영 김가희기자 = 국민의힘 대통령선거 결선 진출자에 김문수·한동훈 후보가 이름을 올렸다. 반탄(탄핵반대)파 김 후보와 찬탄(탄핵찬성)파 한 후보가 2파전을 겨루게 된 가운데 최종 1인 자리를 놓고 치열한 공방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는 29일 오후 3차 경선에 진출할 후보자 2명을 발표했다. 안철수·홍준표 후보는 탈락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가나다순) 후보와 한동훈 후보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4.29 pangbin@newspim.com 황우여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장은 경선 결과를 발표하며 "과반 득표자가 없어 3차 경선으로 이어지게 됐다"며 "우리 당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깊이 고민하시고 이번 투표에 참여해주신 존경하는 당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했다. 2강 후보에 진입한 김 후보는 "한 후보와 같이 마지막 경선을 하게 된 것을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 미래가 창창한 대한민국을 위해 한 후보께서 많은 역할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인사를 전했다. 한 후보는 "어려운 대선 상황에서 김 후보와 제가 생각은 조금 다르지만 2인 3각의 마음으로 하나의 후보로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맞서야 한다"며 "남은 경선 과정에서 김 후보를 경쟁자가 아닌 동반자로 생각하고 함께 이재명과 싸워 이기는 한 팀이 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홍 후보는 경선 결과 발표 직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입당시켜, 3차 경선에 진출하는 2명의 후보와 '원샷 국민 경선'을 진행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그 부분은 조금 더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말을 아꼈다. 그는 경선 결과 발표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 대행도 아직 출마선언을 하지 않았다. 지금 제가 답을 드리는 것 자체가 너무 앞서가는 것이고 당에서도 생각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차차 논의될 것으로 본다"고 즉답을 피했다. 한 후보는 한 대행을 포함한 '원샷 경선'이 공정성에 어긋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나머지 (탈락한) 6명은 치열한 과정을 통해 여기까지 왔기 때문에 갑자기 (한 대행이) 들어와서 여기서 경선한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며 "우리는 전통이 있고 룰이 있는 정당"이라고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9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국민의힘 3차 경선 진출자 발표 행사에서 진출에 실패한 안철수 후보가 소감을 밝히고 있다. 2025.04.29 pangbin@newspim.com 한편 이날 결선 문턱을 넘지 못한 안 후보는 "누가 최종 후보가 되든 이재명을 막고 정권교체 이루는 데 제 힘을 바치겠다. 우리 당의 승리가 국민 승리고 역사의 승리"라고 소회를 전했다. 홍 후보는 이날 결선 탈락을 끝으로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홍 후보는 "정치인생을 오늘로서 졸업하게 되어 감사하다. 이제 시민으로, 자연인으로 돌아가서 좀 편하게 살도록 하겠다. 이번 대선에서 제 역할은 여기까지"라고 했다. 앞서 지난 27∼28일 진행된 국민의힘 2차 경선은 당원투표 50%, 국민 여론조사 50%의 룰이 적용됐다. 당원 투표엔 76만5773명 중 39만4명(50.93%)이 참여했고 국민 여론조사는 5개 기관에서 6000명(역선택 방지 적용)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후보들의 순위와 득표율은 공개되지 않았다. 따라서 결선에 진출한 김 후보와 한 후보 중 누가 앞섰는지 알 수 없다. 이날 3차 경선에 진출한 김문수·한동훈 후보 2명은 오는 30일 양자 토론회를 진행한다. 국민의힘 선관위는 다음달 1∼2일 양일 동안 선거인단 투표(50%)·국민 여론조사(50%)를 거친 후 같은달 3일 전당대회에서 최종 1명을 선출할 계획이다. seo00@newspim.com 2025-04-29 15:4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