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생활경제

속보

더보기

[Tech 스토리] 뷰티테크 기업 에이피알, K-뷰티 디바이스로 CES까지

기사입력 : 2024년01월14일 08:15

최종수정 : 2024년01월14일 08:15

시장 성장세 업고 코스피 상장
창사 이래 처음으로 CES 참가
부스터프로 등 신제품 선뵐 예정

기업들의 신기술 개발은 지속가능한 경영의 핵심입니다. 이 순간에도 수많은 기업들은 신기술 개발에 여념이 없습니다. 기술 진화는 결국 인간 삶을 바꿀 혁신적인 제품 탄생을 의미합니다. 기술을 알면 우리 일상의 미래를 점쳐볼 수 있습니다. 각종 미디어에 등장하지만 독자들에게 아직은 낯선 기술 용어들. 그래서 뉴스핌에서는 'Tech 스토리'라는 고정 꼭지를 만들었습니다. 산업부 기자들이 매주 일요일마다 기업들의 '힙(hip)' 한 기술 이야기를 술술~ 풀어 독자들에게 전달합니다.

[서울=뉴스핌] 노연경 기자 = 투자 씨가 말랐다는 말이 나오는 요즘, 기업공개(IPO) 대어로 떠오른 기업이 있습니다. 뷰티 디바이스로 뜬 뷰티테크 기업 에이피알(APR)입니다.

에이피알은 지난달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통과했습니다. 중견 화장품 기업인 에이피알이 요즘 같은 시기에 코스피 시장 상장에 도전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뷰티 디바이스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세가 있습니다.

메디큐브 에이지알 부스터프로[사진=APR]

뷰티 디바이스 시장은 얼어붙은 국내 화장품 시장에서 희망같은 존재입니다. 시장 규모가 매해 해마다 다르게 커지고 있죠.

에이피알이 증권신고서에 제출한 내용에 따르면 글로벌 뷰티 디바이스 시장 규모는 작년 기준 42억 달러로 추정됩니다. 한화로 약 5조5230억원 규모입니다.

향후 예상되는 연평균 성장률은 35%입니다. 2030년에는 시장 규모가 348억 달러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에이피알은 국내에서 뷰티 디바이스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2021년 출시한 피부 미용기기 '메디큐브 에이지알(AGE-R)' 판매량은 작년 11월 기준 누적 150만대를 넘겼습니다.

뷰티기기가 실적을 견인하며 작년 1~3분기 에이피알은 매출액 3718억원, 영업이익 69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7.9%, 277.6% 증가한 수치입니다.

메디큐브 에이지알은 스킨케어 제품의 흡수를 돕는 뷰티기기 입니다. 미세전류를 통해 손으로 발랐을 때보다 스킨케어 제품의 흡수율을 높여줍니다. 미세전류가 피부에 닿으면 잠시 작은 구멍이 생기는데 그 안으로 스킨케어 성분을 흡수시키는 방식입니다.

초기 모델인 부스터힐러의 경우 화장품 생산을 전문적으로 하는 OEM·ODM 기업에 맡겨 생산했지만, 가장 최근에 출시한 부스터프로의 경우 에이피알이 기획·개발·생산한 것입니다.

에이피알은 뷰티기기 연구개발(R&D)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전문 연구개발 센터인 ADC(APR Device Center)를 설립해 원천기술 내재화에 주력해왔습니다.

메디큐브 에이지알 5종.[사진=APR]

그 뷰티 디바이스 관련 기술 노하우가 모두 들어간 게 부스터프로입니다. 피부에 닿는 금속 부분을 주철로 바꿔 전기에너지 전단력을 높여 부스터힐러(490%)보다 흡수율을 1.5배가량 높였습니다. 또 스킨케어 제품 흡수뿐 아니라 탄력, 모공 관리까지 가능합니다.

에이피알은 해외 매출 비중을 더 높이고 글로벌로 사업을 키위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4에 참가했다. 

에이지알 뷰티 디바이스의 매출 중 약 40%는 미국과 일본, 중국 등 해외에서 나옵니다. 특히 작년 7월에는 아마존 프라임 데이 행사에서 뷰티 디바이스 초도 물량 완판을 기록했고, 다음달인 8월에는 월간 매출 신기록을 썼습니다.

이번 CES에서 에이피알은 뷰티 디바이스를 통한 피부 관리 효과를 간접 체험해 볼 수 있는 부스를 운영하면 뷰티 디바이스 기술력을 세계에 알렸다. 올해 남미와 유럽 시장 진출도 준비 중인 만큼, 세계적인 전시회에서 에이피알의 이름을 내건 것은 의미가 크다는 것이다.

김병훈 에이피알 대표는 "에이피알의 기술력을 세계 최대 소비재 가전 전시회인 CES에서 선보이게 되어 굉장히 뜻깊다"며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국내 대표 뷰티테크 기업으로서 에이피알의 이름을 각인시키겠다"고 말했습니다.

ykno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작년 고위공직자 70% 재산 늘었다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지난해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재산공개 대상 고위 공직자 재산이 평균 20억원을 넘어섰다. 전년도와 비교했을때 평균 약 6201만원이 늘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7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을 공개했다. 이번 재산공개 대상자는 2047명이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7일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을 공개했다. 사진은 재산변동사항 내역 책자/김범주 기자 재산 공개 대상자는 행정부 소속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장,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 의원, 시·도 교육감 등이다. 신고일은 지난해 12월 31일 기준이다. 국회, 대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의 재산공개는 각 공직자윤리위원회에서 별도로 공개한다. 총액 기준으로 재산공개 대상자 중 70.3%인 1440명이 기존보다 재산이 증가했다고 신고했다. 재산 감소자는 607명(29.7%)이었다. 평균 재산금액 20억원을 신고한 재산공개 대상자가 644명(31.5%)으로 가장 많았고, 10억~20억원이 610명(29.8%), 5억~10억원이 373명(18.2%), 1억~5억원이 352억원(17.2%), 1억원 미만은 68명(3.3%) 순이었다. 현재 탄핵심판 절차가 진행 중인 윤석열 대통령의 재산신고액이 이번 재산공개 내역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공직자 재산신고 시점에 윤 대통령이 구속돼 이번 공개 대상에서는 제외됐다는 것이 인사처 측의 설명이다. 지난해 윤 대통령은 2023년 말 기준으로 74억 8112만원을 신고했다. 재산 대부분은 김건희 여사 명의였다. 공직자윤리법 제6조의3 제2항은 재산신고 대상자가 구속, 구금 등을 이유로 신고가 불가능한 경우 정기 변동 신고 유예 또는 면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월 15일부터 3월 8일까지 구속 상태로 정기 변동 신고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다만 최근 구속에서 풀려난 윤 대통령은 오는 6월 1일까지 재산 변경 사항을 신고를 해야 한다. 중앙부처 공직자 중에서는 이북5도위원회 이세웅 평안북도지사가 가장 많은 1046억 8588만원을 신고했다. 변필건 법무부 기획조정실장은 477억 6129만원, 최지영 국제경제관리관이 410억 9040만원, 이원모 공직기강비서관은 397억 8948만원 순으로 각각 신고했다. 기초자치단체장 중에서는 조성명 서울 강남구 구청장이 가장 많은 482억 507만원을, 광역시‧도의원 중에서는 경기도 김성수 의원이 250억 836만원을, 공직유관단체 중에서는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이 221억7715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재산 증가 원인으로는 토지·건물의 공시가액 상승과 저축, 상속 등이 꼽혔다. 지난해 개별공시지가는 전년대비 1.21%, 공동주택공시가격은 1.52%, 단독주택공시가격은 0.57%가 각각 상승했다. 반면 종합주가지수는 지난해 말 종가가 2399포인트(P)로 2023년(2655P)보다 낮았다. 고위공직자 재산 총액 상위자(단위 : 억원)/제공=인사혁신처 한편 윤리위는 재산공개 후 3개월 이내에 재산공개대상자 전원을 대상으로 재산 형성 과정 등 집중 심사할 예정이다. 거짓 기재, 중대 과실 등에 대해서는 해임, 징계의결 요구 등 조치를 취한다. 지난해 심사에서는 징계의결 요구 32건, 과태료 부과 267건, 경고 및 시정조치 1516건 등의 법적 조치가 있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간사인 천지윤 인사처 윤리복무국장은 "국민 상식에 부합하고 신뢰받는 공직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공직자의 성실한 재산등록을 지원할 것"이라며 "등록한 재산 사항에 대해서 엄정하게 심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03-27 00:00
사진
의성 산불 진화헬기 조종사 사망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경북 의성군 산불 진화 헬기 1대가 추락해 조종사가 사망했다. 산림청은 사고 직후 전국의 진화 헬기 운항을 중지하고,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26일 산림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12시 51분경 경북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493번지 인근에서 산불을 진화하던 헬기 1대가 추락했다.  경북 의성군 산불 진화 헬기 1대가 추락해 조종사가 사망했다. [사진=독자 제공] 해당 헬기는 경북 의성지역에 지원 나온 강원 인제군 임차 헬기(기종: S76, 중형)로 확인됐다. 헬기 탑승자는 기장 1명이며,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산림청은 현재 자세한 사고원인을 조사 중이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사고 즉시 전국에서 투입된 산불진화 헬기에 대해서 안전을 위해 운항 중지토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dream@newspim.com 2025-03-26 13:50
안다쇼핑
`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