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민 기자 = 김기남 삼성전자 SAIT(구 종합기술원) 회장과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이 갈수록 한국 반도체 산업의 인력난이 심각해지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 |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이 15일 서울 프레스센터서 열린 할님대학교 도헌학술원 개원 기념 학술심포지엄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SK하이닉스] |
15일 서울 프레스센터서 열린 할님대학교 도헌학술원 개원 기념 학술심포지엄서 이들은 '한국 반도체 산업의 현황과 미래'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김 회장은 "(반도체) 첨단 기술 경쟁력을 만들어내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인력이며 아무리 인공지능(AI)과 챗GPT가 잘 한다고 하더라도 반도체 공정 데이터 학습이 없으면 쓸모가 없다"면서 "우수한 인력을 통해 만들어진 최첨단 기술로 규모의 경제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삼성도 인력 양성을 강화하기 위해 학과를 만드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잘 되지 않았다"며 "기업이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고 국가, 학계, 산업계가 공동으로 노력해 선순환 사이클을 만들어야 한다"고 전했다.
박 부회장도 "최근에 반도체 학과에 입학하기로 했던 학생들이 안 들어왔다고 한다"며 "현재 예상으로는 2031년 학·석·박사 기준으로 총 5만4000명 수준의 인력 부족 현상이 발생할 것 같아 전국 지역 거점 대학에 반도체 특성화 성격을 부여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미니공장(팹)을 구축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미니 팹은 반도체 생태계 기업과 학계의 연구 결과나 시제품 분석, 양산 테스트를 지원할 수 있도록 반도체 공정을 간소화한 형태로 팹 장비 환경을 제공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그는 또 "한국 반도체 산업을 강국으로 만들기 위해선 시스템 반도체, 파운드리, 팹리스 등 반도체 사업의 많은 부문에서 인재들을 균형있게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catch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