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문화·연예 전시·아트

속보

더보기

까르띠에 미술재단, 호주의 위대한 원주민 화가 '주완다 샐리' 최초 전시

기사입력 : 2022년07월07일 08:00

최종수정 : 2022년07월07일 08:00

특별 제작 온라인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어
호주 원주민 사회의 독특한 색채 응축된 30여점 선보여
화가로 활동한 9년여간 2천점 넘는 캔버스 그림 남겨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에서 7월 3일부터 11월 6일까지 호주 원주민 예술가 미르디딩킹아티 주완다 샐리 가보리(Mirdidingkingathi Juwarnda Sally Gabori, 1924-2015)의 단독 전시를 진행한다. 샐리 가보리의 이번 전시는 호주 외부에서 진행되는 최초의 전시다.

샐리 가보리는 지난 20여 년 동안 가장 위대한 호주 현대 예술가 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 그녀는 거의 80세가 된 2005년부터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고, 이후 빠르게 아티스트로서의 국제적인 입지를 구축했다.

특히 그녀는 2015년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다른 현대 원주민 작품들과 확연히 구분된 독창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컬러풀한 작품 세계를 구축하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샐리 가보리의 전시는 자연스럽고 찬란하면서도 심오한 독창성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관람객을 매료시킬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호주 원주민 세계의 독특한 색채를 작품으로 승화시킨 주완다 샐리 가보리 생전의 모습 [사진= © Simon Strong,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 2022.07.07 digibobos@newspim.com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은 샐리 가보리의 최초 개인전을 기념하여 세계 각 지역에서 누구나 쉽게 온라인에 접속해, 그녀의 매혹적인 작품과 스토리텔링을 감상할 수 있는 온라인 프로젝트를 함께 공개한다.

이 특별한 온라인 프로젝트는 샐리 가보리의 작품 세계 뿐 아니라 카야딜트 커뮤니티 그리고 문화적 유산 등 현재까지 편찬된 방대한 자료를 세심히 모아 아카이빙해 제작된 별도의 웹사이트이다.

샐리 가보리를 위한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이 이 온라인 프로젝트는 △자연음향학자이자 아티스트인 버니 크라우스, △사진작가 클라우디아 안두자르, △영화 감독 아르타바즈드 펠레시안에 이어 4번째다.

까르띠에 현대 미술 재단의 새 전시 '미르디딩킹아티 주완다 샐리 가보리(Mirdidingkingathi Juwarnda Sally Gabori)'는 현대 미술 재단과 해당 웹사이트(http://sallygabori-fondationcartier.com/)에서 동시에 만나 볼 수 있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의 주완다 샐리 특별 온라인 웹사이트 [사진=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 2022.07.07 digibobos@newspim.com

◆ 카야딜트, 피난 중의 삶

미르디딩킹아티 주완다 샐리 가보리는 1924년경 호주 북부 퀸즐랜드 해안에서 떨어져 있는 카펜타리아 만(Gulf of Carpentaria)의 벤팅크 섬(Bentinck Island)에서 태어났다. 작가는 카야딜트(Kayardilt)어를 하는 카야딜트의 여성으로서, 그녀의 이름 미르디딩킹아티 주완다는 모든 이들의 이름을 태어난 장소와 토템 선조(totemic ancestor)에 따라 붙여야 한다고 규정한 카야딜트 전통에서 비롯된 것이다.

미르디딩킹아티는 샐리 가보리가 벤팅크 섬 남쪽에 위치한 작은 계곡인 미르디딩키(Mirdidingki)에서 태어났음을, 그리고 그녀의 '토템 동물'은 '주완다' 즉 돌고래라는 것을 의미한다.

1944년 대부분 고립되어 있던 125명으로 이뤄진 카야딜트는 유럽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어온 호주 해변가의 마지막 남은 원주민들이다. 샐리 가보리와 가족들은 그들이 살고 있는 벤팅크 섬의 천연 자원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는 전통적인 삶을 살았다. 대부분의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그녀도 낚시, 섬의 해안 경계를 따라 놓는 돌 낚시-덫(stone fish-traps) 관리, 천연 섬유로 바구니 엮는 일 등을 맡았다.

1919년 벤팅크 섬 북부로 와 모닝턴 섬(Mornington Island)에 정착한 장로교 선교단은 1940년대 초부터 계속해서 카야딜트를 포교하기 위해 설득했지만 실패로 돌아갔다. 1948년, 사이클론과 해일이 카야딜트 땅의 많은 부분을 휩쓸고 지나가며 카야딜트의 생활 터전을 파괴했다.

이로 말미암아 샐리 가보리와 그녀의 가족을 포함한 36명의 마지막 남은 카야딜트 주민들은 모닝턴 섬의 장로교 선교단이 있는 곳으로 피신했다. 일시적일 것이라 믿었던 이 도피는 결국 수십 년간 이어졌으며, 카야딜트는 모닝턴에 도착해 해변가에 있는 캠프에 머물렀다. 그들은 모국어 사용을 금지당했고, 결과적으로 문화와 전통에는 균열이 생겼다.

1990년대부터 원주민 땅에 대한 권리를 인정받기 위해 오랜 기간 투쟁을 벌인 결과 호주는 마침내 카야딜트 땅의 권리를 인정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벤팅크 섬 나이나일키(Nyinyilki)에 작은 기지가 세워졌다. 이에 샐리 가보리를 포함한 카야딜트 원주민들은 그토록 갈망하던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

◆ 고향을 그리다

샐리 가보리는 2005년 80세가 넘는 나이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추상적으로 보이는 듯하지만 그녀의 그림은 자신, 가족 그리고 스스로가 속한 원주민과 연결되는 깊은 의미를 지닌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신의 고향에 대한 표현인 것이다. 그녀의 고향이기도 한 벤팅크 섬 위 다양한 장소를 기리는 의미가 담겨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샐리 가보리와 그녀의 가족들의 이름에도 담겨 있지만 그들은 거의 40년 간 그곳을 방문하지 못했다. 그녀가 그린 장소들은 또한 카야딜트 땅의 권리를 인정받기 위해 벌인 투쟁과 연관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샐리 가보리의 그림은 카야딜트의 상징적인 전통 외에도 끊임없는 상상력과 대담하고 자유로운 시도를 보여준다. 카펜타리아 만의 날씨는 드라마틱하게 변화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풍경 속 빛의 무한한 변화가 그림에서 더욱 풍성하게 표현된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Dibirdibi Country-2008-02 2022.07.07 digibobos@newspim.com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Thundi-2010-05 2022.07.07 digibobos@newspim.com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Nyinyilki-2011-01 2022.07.07 digibobos@newspim.com

샐리 가보리는 컬러 조합, 형태의 상호작용, 텍스처가 느껴지는 표면, 다양한 형식을 보여주며 9년 간의 예술가로서의 활동 기간 동안 2천 점이 넘는 캔버스 그림을 그렸다. 짧게 느껴지는 시간이라는 공간 속에서 그림이라는 표현 방식을 통해 다양한 원천을 탐색했다.

샐리 가보리는 처음에는 얇은 붓과 희석하지 않은 물감으로 작은 크기의 작품을 그렸다. 2007년, 6m에 달하는 엄청난 크기의 캔버스로 전환했지만 컬러를 사용하는 본연의 활기 넘치는 제스처와 대담함을 고수했다. 같은 해 그녀는 고향으로 돌아온 것에서 영감을 받아 광대한 사이즈를 시도하며 자신에게 친근한 몇몇 장소들을 그려 넣었다.

작가는 도피하기 전 벤팅크 섬에서 태어난 자매, 조카들과 함께 공동으로 길이 6m에 달하는 세 점의 작품을 완성했다. 작품 활동의 말미로 향하며 자신의 딸 아만다(Amanda), 엘시(Elsie)와 함께 여러 점의 큰 작품들을 그렸고, 다른 딸인 도로시(Dorothy)와 헬레나(Helena)에게는 모닝턴 섬 예술 & 공예 센터(Mornington Island Arts and Crafts Centre)에 합류하도록 권했다.

2015년 그녀가 세상을 떠난 후 브리즈번의 퀸즐랜드 아트 갤러리의 현대 예술 갤러리(Queensland Art Gallery- Gallery of Modern Art), 멜버른의 빅토리아 국립미술관(National Gallery of Victoria)에서 2016년과 2017년 그녀를 회고하는 대규모 전시를 선보였다. 그녀의 작품은 현재 호주의 가장 중요한 공공 컬렉션 일부에서 소개되고 있다.

◆ 발견으로 이끄는 전시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샐리 가보리의 커리어를 관통한 인상적이고 기념비적인 작품들을 포함한 캔버스 30점을 선보인다. 딸을 포함한 다른 카야딜트 예술가들과 함께 한 세 점의 공동 그림 작품도 포함되어 있다.

퀸즐랜드 아트 갤러리, 호주 국립 미술관(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빅토리아 국립 미술관, 뉴 사우스 웨일스 주립 미술관(Art Gallery of New South Wales), 홈 오브 더 아츠(Home of the Arts, HOTA) 등의 유수 호주 갤러리들과 케 브랑리 박물관 – 자크 시라크(Musée du Quai Branly – Jacques Chirac)에서 특별히 대여해준 작품을 포함해 개인 컬렉터들로부터 대여한 피스들 덕분에 대중들은 이 전시에서 놀라운 색채의 화가를 만날 수 있다. 자신이 속한 원주민 역사에 심오하게 연결된 예술가의 놀랍도록 현대적인 모습을 함께 보여준다. 

까르띠에 현대미술재단은 명상과 상상의 시간으로 인도하는 이 놀라운 전시와 함께 샐리 가보리의 가족, 카야딜트 커뮤니티와 긴밀하게 협업해 예술가 샐리 가보리의 삶과 작품에 할애한 웹사이트를 제작했다.

그녀의 풍성한 작품 세계와 더불어 그녀가 자신을 계승하는 카야딜트의 다음 세대에게 남긴 중요한 문화적 유산을 보여준다. 이 전시를 위해 호주에서 수집한 수많은 문서와 자료를 담고 있는 이 사이트는 샐리 가보리와 카야딜트 원주민의 역사와 관련해 축적한 가장 포괄적인 아카이브라고 할 수 있다.

digibobos@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