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주식

속보

더보기

A주 애플 테마주, '아이폰13' 출시가 밸류 회복 분기점될까

기사입력 : 2021년09월15일 15:09

최종수정 : 2021년09월15일 15:09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1년간 애플지수 2.44%↑, 화웨이지수 15.76%↑
애플 테마주 최고점 대비 40% 이상 주가 하락
소비전자 섹터와 함께 밸류 회복 기대감 지속
9월 국내외 투자자 비중확대 3대 종목에 주목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애플이 14일(현지시간) 아이폰13 모델을 공개하면서, 중국 증시에서 애플 테마주가 다시금 조명되고 있다. 이번 신제품 공개가 지난 수개월간 A주(중국 본토증시에 상장된 주식) 시장에서 부진한 흐름을 이어왔던 애플 테마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중국 대표 증시정보 제공업체인 퉁화순(同花順)이 A주 애플 테마주의 주가를 반영해 산출한 '애플테마주 지수(885376)'는 애플이 신제품 공개행사를 개최한 14일 전날 대비 0.38% 하락한 2966.76포인트를 기록했다.

미국 증시에서도 애플 주가는 전날 대비 0.96% 하락한 148.12달러에 마감했다. 80분간 이어진 신제품 공개행사가 종료된 이후 낙폭은 장중 한때 1.5%까지 확대됐다.

애플은 신제품 공개행사를 개최한 당일 주가가 하락했던 경우가 많았었는데, 이날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번 아이폰13을 두고 전작과 비교해 눈에 띄는 변화점을 찾을 수 없다는 평가가 나오며 시장의 실망감이 확대된 것이 주가 하락의 주된 배경이 됐다.

15일 A주 오전장에서도 중석위업과기(300684.SZ)가 8% 이상, 전중전기(300461.SZ)가 6% 이상, 입신정밀(002475.SZ)이 2% 이상, 가이(002241.SZ)와 고득전자(002079.SZ)가 1% 이상 하락하는 등 애플테마주는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 = 신화사]

◆ 애플 테마주 부진 지속, 화웨이 테마주 상대적 강세

지난해 미국 정부의 중국기업에 대한 전방위 제재가 확대되면서 디커플링(탈동조화)을 위한 중국 내 기술국산화 움직임이 본격화됐고, 그 영향으로 중국 증시에서 애플 테마주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반해 올해 6월 독자 개발 운영체제(OS)인 훙멍(鴻蒙·영어명 Harmony)의 두 번째 버전인 '훙멍2'를 공개하며 기술국산화의 대표주자로 평가 받은 중국 대표 통신장비업체 화웨이(華為)가 집중 조명을 받았다. 이는 중국 증시에서 연출된 화웨이 테마주와 애플 테마주의 주가 흐름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중국 투자재무관리 데이터 제공업체 수쥐바오(數據寶)가 산출한 '애플 지수'는 최근 1년간 2.44% 상승했다. 반면, '화웨이지수'는 같은 기간 15.76% 올라, 화웨이지수가 애플지수보다 13.32%포인트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A주의 대표적인 애플 테마주는 아이폰12 모델을 공개했던 지난해 10월 14일부터 9월 14일 현재까지 평균 6.25% 올랐다. 이는 같은 기간 메인보드의 평균 주가 상승폭(9.01%)를 밑도는 수준으로, 절반 이상의 애플 테마주는 해당 기간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아이폰12 모델을 공개한 후 3거래일 간 주해보걸전자(002975.SZ), 송정주식(688157.SH), 곤산과삼과기고빈(603626.SH), 정업과기(300410.SZ) 등 4개 종목만 주가가 상승했을 뿐, 나머지는 신모델 공개에 따른 긍정적 영향을 받지 못했다.

지난해 아이폰12 모델은 제품의 설계∙성능∙가격 등 여러 측면에서 시장의 놀라움을 불러일으킬 만한 요소가 없었고, 여기에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소비 둔화가 이어지면서 신제품 출시에 따른 영향이 크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중국 5세대(5G) 이동통신 인프라 건설 속도가 예상에 못 미치면서 통신 섹터가 조정을 받은 것 또한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했다.

수쥐바오에 따르면 A주에 상장된 애플테마주 중 24개 종목이 9월 14일 종가 기준 지난해 이래 최고점 대비 40% 이상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 중 정연과기(300709.SZ), 안결과기(002635.SZ), 싸이텅정밀전자(603283.SH), 신유통신(300136.SZ), 둥관아오하이기술(002993.SZ), 해능실업(300787.SZ) 등은 55% 이상의 낙폭을 기록했다. 상반기 순손실을 기록하거나 성장률이 하락한 종목을 제외하고서도 19개 종목의 주가는 30% 이상 하락했다.

◆ 아이폰13 모델 공개, 밸류에이션 회복 분기점될까

아이폰13 모델이 공개되기 전까지 중국 업계 전문가들은 애플테마주의 상승 동력이 되살아나고 있다고 판단, 수개월 간의 조정기간을 끝내고 밸류에이션(실적대비 주가수준)이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었다.

이번 아이폰13 모델은 오지에서도 통신이 가능한 저궤도 위성통신 등의 혁신적 기능 등으로 시장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데다, 중국 국내 시장에서 화웨이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수요 확대가 생각보다 빠르지 않아 그 공백을 아이폰13 신모델이 차지할 것이라는 게 이 같은 관측의 근거가 됐다.

하지만, 실제로 아이폰13 모델에 탑재될 것으로 예상됐던 저궤도 위성통신을 비롯해 아이폰 USB-C 케이블, 지문인식을 통한 터치ID 등의 기능이 빠졌다는 점에서 이 같은 관측은 다소 힘을 잃게 됐다.

다만, 현재 A주 시장에서 소비전자 섹터가 전반적으로 저평가 되고 있는 가운데, 전자제품 소비의 성수기가 도래한 데다 화웨이에 이어 애플이 신제품을 공개하는 호재성 재료가 지속 등장했다는 점에서 소비전자 섹터의 대표 종목들이 대거 몰려있는 애플 테마주의 밸류에이션 회복 가능성에 기대를 거는 시각도 적지 않다.

올해 상반기 애플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는 점 또한 애플 테마주의 향후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애플의 2분기(4~6월, 애플 회계기준 3분기) 영업수익(매출)과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각각 36%와 93% 늘어난 814억 달러와 217억 달러에 달했다. 매출은 2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로 740억 달러 안팎을 예상했던 월가의 예상치도 훌쩍 뛰어넘었다. 6월 26일 기준 상반기 기준으로 따져보면 매출은 1710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5% 늘었고, 순이익은 453억7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01.6%나 급증했다.

반면, 미국 당국의 전방위 제재 속에 화웨이의 올해 상반기 매출은 3204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29.4% 급락했다. 순이익은 314억 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5% 하락했다. 다만, 순이익율은 지난해 상반기의 9.2%에서 9.8%로 올랐다.

◆ 9월, 국내외 투자자의 애플 테마주 비중확대 지속

그 가운데 9월 들어 국내외 투자자들의 애플테마주 매수 움직임은 소폭 회복된 분위기다.

북상자금(北上資金, 홍콩증권거래소를 통해 중국 본토 A주로 유입된 외국인 투자자금)의 흐름을 살펴보면 9월 들어 북상자금이 보유 비중을 늘린 애플테마주는 총 16개 종목으로 집계됐다.

그 중 조역창신(603986.SH)으로 가장 많은 규모인 13억4700만 위안이 유입됐다. 조역창신은 올해 대만 플래시 메모리 공급업체 윈본드(Winbond)를 대신해 새롭게 애플 공급사 명단에 추가됐다. 애플 에어팟의 유일한 노어플래시(NorFlash) 공급사로서, 이미 2021년 신형 에어팟에 공급될 제품 수주를 마무리한 상태다.

이밖에 비야디(002594.SZ), 부사강산업인터넷(601138.SH), 장신과기(300088.SZ), 입신정밀(002475.SZ), 동산정밀(002384.SZ), 따주레이저(002008.SZ) 등이 북상자금 비중확대 규모로 상위권을 차지했다.

중국 본토 주력자금의 경우 9월 들어 10거래일 간 18개 종목으로 자금이 순유입됐다. 그 중 장신과기로 4억5400만 위안이 유입돼 규모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장신과기는 2016년 애플의 노트북과 패드 공급사 명단에 이름을 올린 이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모듈 등으로 공급 제품을 확대하며 수년간 합작 관계를 이어왔다.

이밖에 천음통신(000829.SZ), 동산정밀, 가이(002241.SZ), 공달전자음향(002655.SZ), 신륜과기(002341.SZ) 등으로 해당 기간 주력자금이 대거 유입됐다.

9월 들어 해외자금과 중국 본토 주력자금이 모두 비중을 확대한 애플테마주는 장신과기, 동산정밀, 안결과기 등 단 3개에 불과했다.

한편, 14일(현지시간) 애플은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 애플파크에서 스트리밍으로 스페셜 이벤트를 열고 아이폰13(6.1인치), 아이폰13 미니(5.4인치), 아이폰13 프로(6.1인치), 아이폰13 프로맥스(6.7인치) 등 네 가지 아이폰 모델과 애플워치7, 아이패드, 아이패드 미니를 공개했다.

아이폰 13은 전면의 노치(상단테두리) 크기를 기존보다 20% 줄였고, 신형 두뇌 칩인 'A15 바이오닉'을 탑재해 그래픽과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였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양대 노총에 110억원 편향 지원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내년도 정부 예산안을 심의하는 국회가 정부가 편성하지도 않은 양대 노총 지원 예산 110억원을 슬쩍 끼워 넣은 점은 정치권에서 관행처럼 이어온 '쪽지예산' 문제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국민 호주머니에서 나오는 돈이 정치권 이해관계에 따라 쓰이고 있는 것이다. 19일 국회 기후환경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 전체회의를 통과한 고용노동부 등 환노위 소관 예산안 예비심사보고서를 보면 고용노동부 취약노동자지원 사업 부문에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과 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에 각각 55억원씩 지원하는 사업 예산이 신규 반영됐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한병도 소위원장이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제1차 예산안등조정소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5.11.17 pangbin@newspim.com 한국노총 지원 예산을 세부적으로 보면 한국노총이 운영하는 중앙근로자복지센터 승강기·에스컬레이터 교체에 40억원, 난방 설비 교체 5억원, 지하주차장 안전 성능 10억원이 반영됐다. 민주노총 지원 예산을 보면 민주노총 임차보증금 예산 55억원이 편성됐다. 양대 노총 지원 예산은 당초 정부 예산안에는 없었으나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민주당) 국회의원들이 민원성 쪽지예산을 받아 관련 예산을 집어넣었다고 전해졌다. 야권에서는 민주당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양대 노총 쪽지예산을 끼워 넣었다고 의심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당선에 기여한 양대 노총에 대한 보은성 예산에 더해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함께 하자'는 정치적 메시지가 담겨 있다는 지적이다. 앞서 한국노총은 지난 6월 대통령 선거 때 당시 이재명 민주당 후보를 공개적으로 지지 선언했다. 민주노총은 대선 때 특정 후보 지지 선언을 하지 않았으나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개정안)을 강행 처리한 민주당과 노동 정책 노선을 같이 하고 있다. 양대 노총은 노동계에서 영향력이 큰 노동조합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조합원은 각각 116만명, 108만6000명이다. 양대 노총에 소속된 조합원은 전체 노조 조합원 약 82%를 차지한다. 양대 노총을 우군으로 두면 압도적인 노동계 지지를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우재준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제3노조, MZ 노조, 비정규직 노조를 지원하다고 했으면 그나마 명분이 있다"며 "민주노총이 정권 교체에 가장 크게 기여한 단체라는 건 국민 모두 알고 있고 지난 대선에서 한국노총조차도 이재명 후보를 지지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누가 봐도 정권 교체에 대한 대가성 지원 사업"이라며 "이 예산은 삭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SOC…지방선거 표심 노려 문제는 정치권 이해관계가 달린 쪽지예산이 난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정치권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에서 올라오는 각종 민원을 들어줘야 해서다. 정부가 건설경기 부양을 위해 철도·도로 등 SOC 분야에 대한 재정 투입을 확대한다. [사진=뉴스핌DB] 당장 지방에 도로·다리를 깔고 보수하는 예산이 급증하고 있다. 국토교통위원회(국토위)는 하루 전인 지난 18일 전체회의를 열고 국토부 예산을 당초 정부안보다 약 2조 4000억원 증액했다. 증액된 예산은 대부분 지역 사회간접자본(SOC) 인프라 확충과 지역균형발전 사업에 배정됐다. 국토위는 특히 정부가 반영하지 않은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예산 100억원을 신규 배정했다. 도심공공주택 복합사업 추진이 늦어지는 곳을 대상으로 국민체육센터와 같은 생활 SOC를 건설하는 돈을 정부가 일부 지원한다는 것이다. SOC 예산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위)를 거치며 눈덩이처럼 증가할 수 있다. 국토위는 말 그대로 예비심사일 뿐 실제로 예산을 깎고 늘리는 일은 예결위에서 하기 때문이다. 국회 안에서는 일부 예결위원은 벌써 쪽지예산을 수십장 받았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쪽지예산에 혈세는 줄줄이 새고 있다. 감사원이 지난해 말 공개한 '국고보조금 편성 및 관리 실태'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부당 지원된 국비만 20개 사업으로 2520억원에 달한다. ace@newspim.com 2025-11-19 14:25
사진
'피고인' 김건희 두달 만에 공개 [서울=뉴스핌] 홍석희 기자 = 법원이 19일 김건희 여사 재판의 중계를 서증조사 전까지 일부 허용했다. 이에 피고인석에 앉은 김 여사의 모습이 약 두 달 만에 공개될 전망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재판장 우인성)는 이날 오전 10시 10분부터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김 여사의 속행 공판을 진행하고 있다. 법원이 19일 김건희 여사 재판의 중계를 서증조사 전까지 일부 허용했다. 이에 피고인석에 앉은 김 여사의 모습이 약 두 달 만에 공개될 전망이다. 사진은 김 여사가 지난 9월 2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첫 재판에 출석한 모습. [사진=뉴스핌 DB] 앞서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이날 공판 전체에 대한 재판중계허가신청서를 제출해 재판부는 개정 직후 이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재판부는 "공익적 목적을 위한 국민적 알권리는 헌법적으로 요청되는 것으로 최대한 보장돼야 하지만, 재판의 확정까지 피고인이 무죄 추정을 받을 권리도 함께 보호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재판 중계의 범위를 정해야 하는데, 이 사건에 관한 서증에 나온 제3자의 개인정보·주민번호·주소 등을 공개할 경우 회복하기 어려운 법익 침해의 가능성이 있다"며 "19일 공판 중 공판 개시 후 서증조사 전까지에 한해 중계를 허가함이 상당하다"고 판단했다. 재판부가 중계 일부 허용을 선고한 직후 오전 10시 17분께 김 여사가 법정에 들어섰다. 검정색 코트에 흰색 마스크를 착용한 김 여사는 구치소 직원들의 부축을 받으며 피고인석에 앉았다. 이후 오전 10시 19분부터 서증조사가 진행돼 김 여사가 피고인석에 앉은 모습은 약 2분 동안 짧게 공개될 전망이다. 한편 이날 오전 재판에서 '명태균 공천개입 의혹'에 관한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서증조사를 마쳤다. 나머지 서증조사는 오후 재판에서 이어질 계획이다. 오전 재판 종료 직후 일부 방청객이 "김 여사님 힘내세요. 사랑합니다"라고 외치자 김 여사는 꾸벅 인사하고 퇴정했다. hong90@newspim.com 2025-11-19 11:1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