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사업자와의 거래 '공정하다'"응답 기업 53.8% 차지
[서울=뉴스핌] 송현주 기자 =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제조업 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중소기업간 양극화 해소방안을 위한 의견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조사결과 올해 기준 기업들이 체감하는 경영상황 및 양극화 문제는 코로나확산 이전 대비 각 53.4%, 43.8%로 증가했다.
![]() |
| [서울=뉴스핌] 송현주 기자 [자료=중기중앙회] 2021.05.09 shj1004@newspim.com |
대·중소기업간 양극화 주요원인(복수응답)으로 '코로나19 등 사회적 재난(60.4%)'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자금조달 능력차이(54%)', '생산성 차이(45.8%)', '불공정거래(20.7%)'순으로 응답했다.
원사업자와의 거래가 '공정하다'라고 응답한 기업은 53.8%, '불공정하다'고 응답한 기업은 7.8%로 조사됐다.
주로 발생하는 불공정거래 유형으로 '납품단가 후려치기(44%)', '단가 미 인하 시 거래선 변경 압박(10.8%)'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납품대금 관련 불공정거래를 경험해 본 중소기업은 4.4%로, 이 중 '일방적인 단가인하(68.2%)'가 가장 많았고, '대금지급지연(18.2%)', '계약 후 부당금액(4.5%)'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는 '별다른 대책 없이 수용했다'는 의견이 78.6%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기업들은 납품단가 제값받기를 위해 '원가연동제 도입(37.8%)', '납품단가조정협의 활성화(26.3%)'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대·중소기업간 양극화 해소방안으로 '불공정거래 개선(45.4%)', '이익공유제 등 제도법제화(25.9%)', '자발적 이익 공유 문화 확산(22.7%)' 순으로 응답했다.
이 같은 조사결과는 제도법제화보다 불공정거래 개선에 대한 중소제조업체들의 선호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정욱조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대·중소기업간 양극화 문제를 해소를 위한 제도 마련도 중요하지만 납품대금 제값받기 등 불공정거래 근절을 통한 공정한 거래환경 조성이 선제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shj100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