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 시·도 단일형 2곳 298억·복수형 1곳 478억 각각 지원
경남 대학 17개, 충북 15개, 광주·전남 15개 대학 참여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경남, 충북, 광주·전남이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플랫폼으로 선정됐다. 이들 3개 지역에는 국고 1080억원이 지원되며, 지자체와 대학은 플랫폼을 구축해 지역혁신 사업을 추진한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선정 평가를 통해 3개 플랫폼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 |
/제공=교육부 2020.07.16 wideopenpen@gmail.com |
이번 사업은 위기에 처한지역 대학이 지자체와 협력해 인재를 양성하고,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취지에서 역할을 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광역 시·도 단일형 2곳에 연 298억원, 복수형 1곳에는 478억원이 각각 지원된다.
우선 경남은 17개 대학, 49개 지역혁신기관 등으로 구성된 플랫폼을 구축해 '제조엔지니어링' '제조ICT' '스마트공동체' 3개 핵심 분야를 선정했다.
경남은 공유형 대학 시스템 운영을 통해 1~2학년 과정을 공통교양 플랫폼으로 이수하도록 할 예정이다. 3~4학년 과정은 중심대학에서 개발한 학·석사연계, 융·복합전공, 자기설계전공으로 이수하도록 할 방침이다.
충북은 15개 대학, 44개 지역혁신기관 등으로 플랫폼을 구축해 '제약바이오' '정밀의료·기기' '화장품·천연물' 등 바이오 산업과 관련된 3개 분야를 핵심분야로 선정했다.
충북 지역 대학들은 바이오헬스 관련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연합대학원을 운영하고, 공동 교육과정, 교육과정 표준화, 통합학사관리 시스템 등을 운영할 예정이다.
복수형 모델인 광주·전남은 15개 대학 등이 참여해 '에너지신산업' '미래형운송기기' 2개 핵심분야를 선정하고, 관련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지역친화형, 현장실무, 재직자 교육, 대학간 교과개방, 학점인정 등을 기반으로 표준모델을 마련할 예정이다.
특히 지역단위에서 추진되는 공유대학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도입되는 모델이다. 대학의 온라인 교육인프라 및 지역대학 간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공동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경남은 지역 내 협의과정을 거쳐 공유대학인 'USG 모델'을 개발하고, 지자체·대학·산업체의 협업 노력을 극대화 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창원대는 제조엔지니어링을, 경남대는 제조ICT를, 경상대는 스마트공동체를 중심으로 'USG 공유대학 과정'을 운영한다.
또 교육부는 산업부·중기부·과기부 등 다른 정부부처와 이전공공기관, 지역혁신클러스터 기업, 연구개발특구 연구소 등을 위한 핵심인력 육성체계도 운영한다. 경남은 18개, 충북은 43개, 광주·전남은 25개 연계사업을 각각 추진한다.
이외에도 교육부는 올해 안에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 플랫폼 구축지역에 고등교육 규제샌드박스 체제를 도입할 방침이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대학과 지자체 간 협업을 통해 다양한 지역혁신 모델이 구축·발전될 것"이라고 말했다.
wideopenpe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