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온다던 불마켓은 언제…6월 이후 중국증시 전망과 추천주

기사입력 : 2020년06월03일 16:28

최종수정 : 2020년07월09일 15:04

6월 이후 증시, 코로나19·미중갈등이 변수
변동성 지속, 저점 매수 기회 포착이 관건
소비주와 과학기술주 추천 종목으로 소개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불마켓'은 언제쯤 다시 찾아올까?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미중 갈등의 대형 악재를 맞이해 지지부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중국 증시를 둘러싸고 투자자들이 갖는 최대 관심사다. 

지난달 '양회 랠리'를 통한 극적인 강세장 연출을 기대했었지만, 이마저도 대형 악재들에 가려져 그렇다할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면서 실망감만 커진 투자자들에게 이 같은 궁금증은 더욱 커지고 있다. 양회 랠리란 중국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개최를 전후해 정책 수혜에 따른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증시의 상승세가 연출되는 현상을 일컫는다. 

상반기를 마무리하는 6월을 기점으로 하반기 중국 증시의 흐름이 어떻게 흘러갈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 중국 증시를 둘러싼 변수가 많은 만큼 전문가들의 의견도 엇갈린다.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 증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서도 해외자금이 지속 유입되고,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한 뚜렷한 강세장이 연출되며, 하반기 본격적으로 쏟아져 나올 경기부양책에 따른 수혜 기대감이 커지는 등 희망적 시그널이 속속 나타나고 있는 만큼, 향후 몇 개월간 중국 증시는 단계적으로 강세장을 회복해가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와 미중 갈등 악화 등 중국 증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인 만큼, 변동성 구간 확대 속 위험선호도가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기는 어려울 것이며, 단기간 내에 완연한 강세장을 기대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한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0.06.03 pxx17@newspim.com

◆ 증권사 "변동성 구간 지속, 저가 매수 기회 포착에 주력하라"

6월 중국 증시는 코로나19 사태와 중미 관계가 여전히 최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중미 갈등의 방향은 이미 충분한 예측이 가능하나, 그 수위와 주기가 최대 불확실성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아울러 코로나 팬데믹(전세계 대유행) 사태가 전환점을 맞이하는 시기가 지연되고 있는 것 또한 중국 증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방정(方正)증권은 "6월 이후 중국 증시는 변동성 구간이 이어지는 가운데 당분간 불마켓(강세장)도 베어마켓(약세장)도 아닌 장세가 연출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와 함께 '구조적 기회' 포착에 집중할 것을 강조했다. 구조적 기회란 주가 지수가 크게 상승하거나 하락함이 없이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주가 지수 파동이 저점 구간에 있을 때 매수하는 기회를 의미한다. 다만, 여러 대외적 변수를 고려할 때 투자자들의 위험선호도가 지속 상승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해통(海通)증권은 6월 이후 중국 증시가 저점 구간에서 변동 장세를 연출하는 가운데, '엘리어트 파동이론' 상의 3번 파동 이후에 나타날 주가 추이에 주목하라고 권고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중장기적인 주가 추이를 파악하는데 활용되는 이론으로 1번, 3번, 5번의 상승파동과 2번, 4번의 조정파동을 거치며 주가가 오르는 것을 의미한다. 그 중 3번 파동은 가장 강력한 파동의 강세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3번 파동이 시작된 이후 연출되는 조정 국면 속 저가 매수의 기회를 포착하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중신(中信)증권은 "6월 증시만 두고 봤을 때는 A주(중국 본토증시에 상장된 주식) 시장의 주가 등락폭이 제한된 범위 안에서 움직이며 균형적 상태를 이룰 것"으로 내다봤다.

초상(招商)증권은 상대적으로 더욱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초상증권은 "6월 들어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만한 긍정적 요소가 늘어나면서 자금 유입이 빠르게 확대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민생(民生)증권 또한 중국 당국의 완화적 통화정책 속에서 기관의 자산배분형 자금 유입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0.06.03 pxx17@newspim.com

◆ 잠재 성장가능성 큰 '소비주', 기술 국산화로 뜨는 '과학기술주' 추천

중국 증권사들이 선정한 6월 추천 종목을 살펴보면, 중국 대표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인 영덕시대(寧德時代∙CATL 300750.SZ)와 유제품 제조업체 이리주식(伊利股份 600887.SH)은 가장 많은 4곳의 증권사에 의해 추천 종목으로 선정됐다. 

일부 추천 종목은 최근 중국 증시에서 주가 최고가를 경신하는 등 투자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철강제품 가공∙제조, 신형 건축자재 생산∙판매, 입체식 주차설비 생산∙판매 업체인 홍로강구(鴻路鋼構 002541.SZ)와 하이난(海南) 자유무역항 건설로 더욱 주목받는 중국 대표 면세∙여행 국유기업 중국국여(中國國旅∙CITS 601888.SH), 반도체 설비와 전자 부품 등을 생산∙판매하는 북방화창(北方華創∙NAURA 002371.SZ), 최첨단 기술 제품 연구개발을 비롯해 신약개발, 요식∙숙박업 등 다양한 분야에 관여하고 있는 장춘고신(長春高新 000661.SZ), 중국 대표 맥주 제조업체 칭다오맥주(青島啤酒 600600.SH), 중국 대표 중장비 제조업체 삼일중공(三一重工∙SANY 600031.SH) 등 6개 종목이 그것이다.  

이밖에 영덕시대를 비롯해 정보통신기술(ICT) 기초 설비,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과서광(中科曙光∙SUGON 603019.SH)은 최근 주가가 역대 최고치에 근접했고, 유제품 제조업체 광명유업(光明乳業 600597.SH)과 의약품 연구개발 업체 금성의약(金城醫藥 300233.SZ)은 지난 2019년 이래 주가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증권 기관들은 내수소비와 과학기술 테마주가 여전히 6월 이후 증시에서도 유망 종목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6월 추천 종목 중에서도 4개 증권사가 추천한 이리주식을 비롯해 3개 증권사가 추천한 광명유업, 중국국여, 장춘고신, 칭다오맥주, 주방가전을 생산∙판매하는 노판전기(老板電器∙ROBAM 002508.SZ) 등 다수가 소비주에 속하는 종목들이다. 

전문 기관들은 이들 소비 종목 대부분의 수익이 올해 1분기 코로나19 여파로 크게 하락했지만, 향후 코로나19 사태 개선 및 장기적인 소비 성장잠재력 등을 고려해 '매수' 또는 '보유 확대'의 투자 의견을 제시했다.

전문 기관들은 최근 소비 업종이 지속적 상승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현재 A주 대부분의 소비 종목은 미국 소비주와 비교해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 PER)은 비교적 높으나, 주가순자산비율(Price Book-value Ratio, PBR)은 합리적 수준을 보인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PER과 PBR은 주가 형성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이고, PBR은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PER과 PBR이 낮을 수록 주가가 저평가 돼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 만큼, 미래 성장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고 이에 투자가치가 높다고 판단한다.

아울러 PER, PBR과 함께 주식 가치 평가 지표로 활용되는 주가이익성장비율(PEG)도 중국 소비주는 비교적 합리적인 구간에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PEG는 PER을 향후 2년간 주당순이익(EPS)의 예상 증가율로 나누어 얻은 비율을 일컫는 것으로, 상기 언급한 두 지표와 마찬가지로 낮을수록 저평가된 기업으로 간주한다.

6월 추천 종목에는 과학기술주도 대거 이름을 올렸다. 중국과 서방 국가의 디커플링(탈동조화)이 현실화되면서 기술의 국산화를 추진하는 중국 당국의 정책 방향과도 맞물려 큰 성장성이 기대된다는 것이 그 이유다. 대표적으로 서버 제품 국산화 대표 기업인 '중과서광'을 비롯해 반도체 국산화 대표 기업인 '북방화창' 등이 포함됐다.

이밖에 초상증권은 증권사와 은행 업종의 종목에도 주목했다. 5월부터 중국 사회융자 규모가 시장 예상치를 넘어서며 계속 확대되고 있는 데다 경제지표도 개선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위험선호도 회복에 따른 증권사 종목과 경제지표 개선에 따른 은행 종목을 추천 투자 대상으로 선정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