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구조혁신펀드 1.6조→2.6조 증액
코로나19 사태로 구조조정 기업 사례 늘어날 전망
손병두 부위원장, 시장중심 구조조정 활성화 간담회 주재
[서울=뉴스핌] 김진호 기자 = 기업 구조조정의 틀이 '민간 주도'로 완전히 재편된다.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구조조정 기업이 전환되는 사례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시장 플레이어들에게 선도적인 역할을 맡도록 하는 것이다.
![]() |
| [사진=금융위원회] |
금융위원회는 28일 손병두 부위원장 주재로 서울 양재 캠코타워에서 '시장중심 구조조정 활성화'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기업들의 경영정상화에 투자하는 기업구조혁신펀드 1조원 추가 조성을 계기로 출자기관과 법원, 시장 전문가 등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캠코, 기업은행, 한국성장금융 등 출자기관과 서울회생법원, 법무부, 유암코 등 관계기관이 자리했다. PEF운용사, 기업, 민간투자자도 함께 참석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로 많은 기업이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기업자산 매각 등 인수합병(M&A) 투자기회가 확대되고 구조조정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손 부위원장은 "채권은행 중심의 구조조정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민간의 풍부한 자금과 창의성을 통해 기업의 가치, 경쟁력을 제고하는 시장 중심의 구조조정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특히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유동성 확보를 위해 보유자산을 매각하는 움직을 보이는 만큼 투자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기업구조조정 시장 플레이어들이 자산매각 시장에서 선도적인 윤활유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당초 1조6000억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를 2조6000억원으로 1조원 늘렸다. 이번 증액에서 주목할만 점은 '부채투자 전용펀드' 조성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경영권을 유지한 상태서 다양한 자금 수요를 충족할 수 있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지분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회수가 빨라 낮은 리스크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투자방식도 지금보다 더 유연하게 적용한다. 프로젝트 펀드 비중도 26%에서 40%로 확대한다. 추가 조성 1조원 중 40%를 배정할 계획이다.
투자대상 기업규모도 확대(중견·중소 중심→대기업 포함)한다. 제조업 이외의 업종(혁신산업 등)도 적극적으로 투자검토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금융위는 제도개선 및 인프라 조성 노력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불합리한 관행개선과 예측가능하고 신속한 절차 진행 등 기업과 자본시장 플레이어들의 선호를 반영하는 한편 관련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고 구조조정 절차 등의 제도개선도 병행하기로 했다.
손 부위원장은 "그간 구조조정 시장에 참여해왔던 자산운용사 외에 인수합병 시장서 활동하던 자산운용사들도 구조조정 활성화에 관심을 가져달라"며 "기업, 투자자, 정부 모두가 힘을 합쳐 한국형 기업구조 시장을 붐업 시켜 나가자"고 당부했다.
한편 기업구조혁신펀드는 2018년 8월 조성된 이래 지난 4월말 까지 총 16개 기업에 약 7000억원의 투자금이 집행됐다. 철강업, 조선업, 자동차부품업 등 전통 제조업 중심으로 투자를 집행가 이뤄졌다.
rplki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