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민지현 특파원 = 미국에서 총기 구매자에 대한 신원조회가 올해 사상 최고치를 향해 증가하고 있다. 민주당 대선 주자들이 앞다퉈 총기규제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사람들이 총기 구매를 서두르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다고 마켓워치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연방수사국(FBI)에 따르면 올 초부터 지난달 말까지 총기 판매의 강력한 지표로 여겨지는 신원조회 건수가 2540만건으로 집계됐다. 이로써 올해 총기 구매를 위한 신원조회 신청 건수는 지난 2016년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기록한 2750만건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총기 구매의 신원조회가 실제 총기 판매로 얼마나 정확하게 해석될 수 있는 지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있지만 신원조회 건수는 업계에서 총기 판매를 추적할 수 있는 가장 신뢰도가 높은 방법으로 여겨진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총기 산업은 이른바 '트럼프 슬럼프'를 겪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총기 규제에 미온적이지만 총기 판매가 줄어든 것이다. 통상 총기 규제 강화 조짐이 보이면 사람들은 총기를 미리 사는 경향이 있는데, 트럼프 정부가 들어서면서 언제든지 총기를 살 수 있다는 생각이 소비 감소로 이어졌다.
2020년 대선이 1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사실상 모든 민주당 대선 후보들이 총기 규제 강화를 옹호하면서 이에따른 공포감이 다시 매출 상승을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담 윙클러 캘리포니아대 법대 교수는 "트럼프 슬럼프는 현실이지만 총기의 정치는 지난해에 비해 조금 달라졌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내년 대선에서 열위에 있고 민주당 대선 주자들은 상대보다 더 공격적인 총기 개혁을 제안하기 위해 혈안이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역대 행정부 중 가장 총기에 우호적인 정부로 여겨지고 있으며 전미총기협회(NRA)로부터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다. NRA는 2016년 대선 당시 트럼프 후보의 선거 운동에 3000만달러를 썼다.
총기 구매 희망자 신원조회는 신원조회가 본격화된 1999년 9백만건을 소폭 웃도는 수준이었다. 1994년부터 반자동 소총의 민간 판매를 금지하는 한시법은 2004년 만료됐고 신원조회 수는 2006년 다시 증가했다. 이후 2014년과 2017년을 제외하고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면서 2018년에는 2618만건의 신원 조회가 있었다.
윙클러 교수는 "총기 제조업체들은 앞으로 총기가 금지될 수도 있기 때문에 지금 구입해야 한다며 판매를 촉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 |
| 미국 워싱턴 D.C. 국회의사당 밖에서 총기안전법 통과를 촉구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시위자가 들고있는 팻말에는 '총기 개혁 당장 시행할 것'이라고 쓰여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jihyeonmi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