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계 은행 4곳에 대한 만기연장 여신액 2조321억원…"모두 연장"
[서울=뉴스핌] 김진호 기자 = 지난 7월 초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일본계 금융사들이 국내 기업 여신의 만기연장을 거부한 사례는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계 금융사들이 국내 기업에 대해 자금을 회수해 제2의 국제통화기금(IMF) 사태가 발생할 것이란 일각의 불안감은 현재로선 '과도한 우려'에 그친 셈이다.
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일본계 금융사 기업여신 만기연장/거부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7~8월까지 국내 기업이 일본계 은행 4곳에 만기연장을 신청한 여신 규모는 2조321억원이다. 이중 만기연장이 거부된 건은 한 건도 없었다.
7, 8월 업종별 만기연장 신청액은 도매·소매업이 1조36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제조업(6728억원), 금융·보험업(2720억원),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400억원), 전기·가스·증기·공기조절 공급업(290억원) 등의 순으로 많았다.
서민자금이 집중된 2금융권인 일본계 여신전문회사와 대부업체에서도 7, 8월 이상 징후는 없었다.
여신전문회사 3곳에 1월~8월까지 만기 연장 신청한 건수는 532건(350억원)이다. 이 중 5건만이 파산이나 연체 등에 따라 연장이 거부됐다. 특히 8월에 거부된 건수는 1건(6000만원)에 불과하다. 같은 기간 대부업체에 대한 만기연장 요청 신청은 전액 연장됐다.
일본계 저축은행 4곳은 7, 8월 일부 만기가 연장되지 않은 건이 있었다. 하지만 모두 개인회생 및 파산, 연체 등 대출자의 사정 등 통상적인 사유에 따른 것으로 조사됐다.
김 의원은 "일본의 수출보복에 이어 금융부분에서도 보복이 일어나 제2의 IMF사태가 온다는 일부 정치권의 과도한 불안감 조성했던 것이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rplki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