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韩国推广5G商用服务 问题频现引关注

기사입력 : 2019년04월15일 10:36

최종수정 : 2019년07월19일 15:51

韩国三大通信商(SK、KT、LG U+)虽于本月8日全面推广5G商业服务,但经过比对,速度、地延迟性和稳定性均不及4G网络(平均150Mbps),通信商用来宣传5G的广告词略显浮夸。

【图片=网络】

某韩国媒体12日对SK、KT和LG U+三家通信商办公楼、汝矣岛和弘大等首尔市内主要地区进行了5G信号检测。为了本次检测,工作人员将智能手机上端显示信号的“可使用的网络”调制至“正在使用的网络”,因此仅在显示5G网络时进行测速。

该工作人员首先来到了三家通信商办公大楼。三家通信商均建设可覆盖全国的5G网络,自家办公楼首当其冲。但经过测试,5G网络并不稳定。工作人员用测速软件Benchbee在位于乙支路的SKT大厦前测得的数据显示,SK下载速度以511Mbps居首,随后为KT(111Mbps)和LG U+(118Mbps)。

SK虽在此环节取胜,但工作人员仅走几步,5G网络就切换至4G网络。即便在SKT大厦内部,也无法收到5G信号。

随后,工作人员前往位于光化门的KT办公楼进行检测,LG U+以304Mbps的速度居首,同时办公楼内部和周边5G网络较为稳定。在测定地点半径2公里内,SK最快,KT和LG U+分列第2位和第3位。在位于龙山的LG U+办公楼,SK以266Mbps居首,随后为KT(166Mbps)和LG U+(116Mbps)。从Benchbee检测的平均速度来看,SK为343Mbps、LG U+为196Mbps、KT为193Mbps。

此外,该媒体工作人员也前往三家通信商推荐的接收5G信号较好的地点,SK为明洞入口、KT为江南教保大厦十字路口、LG U+为地铁弘大站。通过检测发现,这三处地点的5G信号极不稳定,仅走几步的距离,信号便切换至4G。然而对接收5G情况下的速度进行检测发现,速度仅快于4G LTE平均值,但远低于外界所说的“1Gbps级别”。

不仅如此,工作人员检测后发现,5G低延迟性也与4G网络相似(20~30㎳)。

对此,通信商表示,虽然韩国政府主导政策,但实际操作则是终端企业和运营商,但受到5G网络特性的影响,相较于此前的4GLTE制式,为覆盖同样规模的地区所需要的5G基站至少会多出40%~60%。

也有通信商回应称,5G网络若达到日常使用标准还需两年左右。由于5G仍在开通初期,所以需要一段时间来调整。

记者 주옥함(wodemay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