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예술애호가 사로잡을 2019년 개관 '글로벌 뮤지엄 10곳'은 어디

기사입력 : 2018년12월29일 17:27

최종수정 : 2018년12월29일 17:27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카타르 국립박물관·맨하탄 The_Shed
상하이 '퐁피두센터 X 웨스트번드 미술관' 등

[서울=뉴스핌] 이영란 편집위원= 새해에도 예술 애호가들의 마음을 설레게 할 미술관, 박물관들이 잇따라 문을 연다. 2017, 2018년에는 중국 대도시에 새로운 미술관과 박물관 건립이 줄을 이었다. “자고 일어나면 신설 뮤지엄이 하나씩 생겨난다”는 과장된 표현까지 나왔을 정도다.

2019년에도 마찬가지다. 중국 상하이 웨스트번드 지역에 프랑스 퐁피두센터 분관이 문을 여는 것을 필두로, 중국 각지에 대규모 뮤지엄이 앞다퉈 문을 연다. 미국과 유럽에도 수준 높은 미술관과 박물관이 줄지어 개관할 예정이다. 미국의 미술 전문매체인 Art Newspaper는 2019년에 문을 열 신축 뮤지엄과 확장 뮤지엄 중 주목할만한 10곳을 “TOP 10 뉴 뮤지엄’으로 소개했다. 새해 기해년에 해외여행을 계획 중이라면 새롭게 문을 여는 이들 뮤지엄을 미리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내년 3월 오픈하는 카타르 도하의 ‘카타르 국립박물관’(The National Museum of Qatar) [사진=Iwan Baan]

10곳의 미술관 중 가장 관심을 모으는 곳은 카타르의 국립박물관이다. 카타르의 수도 도하에서 내년 3월28일 성대하게 개관식을 갖는 ‘카타르 국립박물관’(National Museum of Qatar)은 카타르 정부가 오랫동안 심혈을 기울여온 문화프로젝트다. 고대에서부터 근현대까지 아랍과 카타르의 문화유산과 폭넓은 컬렉션을 3개 파트로 나눠 선보일 카타르박물관은 프랑스 건축가 장 누벨(Jean Nouvel)이 디자인했다. 장 누벨은 “중동의 사막에서 건축의 영감을 얻었으며, 걸프만을 대표하는 문화 거점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카타르박물관은 둥근 꽃잎들이 리드미컬하게 이어지는 비정형의 형태여서 눈길을 끈다.

미국에서는 뉴욕 맨하탄과 플로리다 팜 비치(Palm Beach)에 새로운 미술관과 증축 미술관이 개관한다. 그 가운데 가장 화제를 모으는 곳은 맨하탄 서부의 문화지구 하이 라인(The_high_line)에 들어설 ‘The_Shed’이다. 2019년 봄에 개관할 ‘The_Shed’는 여러 분야의 아티스트들이 협력해 새로운 형식의 예술을 내놓을 혁신적 아트센터라는 점에서 돋보인다. 건축에는 5억5000만달러가 투입됐고, 디자인은 뉴욕의 건축스튜디오 딜러 스코피디오+렌프르(Diller Scofidio+Renfro)가 맡았다. 지금까지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던 희귀하고도, 엉뚱한 건축이어서 하이 라인의 예술아이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뉴욕 하이라인 지구에 5억5500만달러를 투입해 짓고 있는 “The_Shed’. 내년 봄 오픈한다. [사진= Brett_Beyer, Diller Scofidio + Renfro]

내년 봄 공개될 ‘The_Shed’의 개관 커미션 프로젝트는 독일 화가 게르하르트 리히터(Gerhard Richter)와 작곡가 스티브 라이히(Steve Reich)의 협업, 영화제작자 스티브 맥퀸(Steve McQueen)이 주도하는 미국음악사 콘서트 등이다.

맨하탄을 대표하는 미술관인 뉴욕 MoMA는 내년에 전시공간을 30% 더 늘린다. 다년간 확장프로젝트를 진행해온 MoMA는 이번에 1만5000㎡(4537평)를 또다시 넓힌다. 새 공간은 “The Broad’ ‘The_Shed’ 등 수많은 미술관과 예술공간을 디자인해온 뉴욕 기반의 딜러 스코피디오+렌프로가 디자인했다.

미국의 최남단 플로리다주의 웨스트 팜비치(West Palm Beach)의 유서 깊은 뮤지엄인 노턴(Norton)미술관도 1억달러를 들여 확장공사를 시행 중이다. 내년 2월9일 개관하는 노턴미술관의 증축공사는 포스터+파트너스(Foster+Partners)가 맡았다. 간결하고 기능적인 전시관과 아름다운 조각공원이 새로 곁들여진다.

독일과 스위스, 오스트리아에서도 괄목할만한 뮤지엄들이 새로 문을 연다. 독일 베를린에는 훔볼트 포럼(Humboldt Forum)이 내년 9월 개관한다. 명문 훔볼트 대학(Humboldt University)이 운영을 맡으며, 비(非)유럽인들의 민족미술과 아시아미술 컬렉션을 바탕으로 전시 공연 포럼 토론 등의 프로그램을 이어가게 된다. 건립비용으로 5억9500만유로가 투입됐다.

독일의 동부 도시 데사우(Dessau)에는 ‘바우하우스 뮤지엄’이 오는 9월 8일 문을 연다. 바우하우스 데사우(Bauhaus Dessau) 재단은 재단이 보유 중인 4만9000점의 컬렉션을 수용하기 위해 디자인 미술관을 설립하게 됐다. 마침 2019년은 바우하우스 디자인학교가 설립된지 100주년이 되는 해여서 의미도 깊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바우하우스가 데사우에서 디자인학교를 운영하던 시기는 1925년에서 1932년으로 학교의 전성기에 해당되는 시기다. 따라서 디자인 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바우하우스가 정성껏 소장해온 각종 디자인및 미술자료를 전시할 이 뮤지엄을 탐방해볼만하다. 한편 또다른 바우하우스 뮤지엄은 내년 4월6일 독일 바이마르에서 한 발 먼저 문을 연다.

스위스 알프스의 작고 아름다운 도시 주슈(Susch)에는 ‘뮤지엄 주슈(Muzeum Susch)’가 들어선다. 내년 1월2일 개관하는 이 뮤지엄은 폴란드 출신의 유명 투자자이자 현대미술 컬렉터인 그레시나 쿨치지크(Grazyna Kulczyk)의 개인 미술관이다. 12세기에 지어진 옛 수도원 부지에 건립된 뮤지엄은 1500평방미터의 전시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뮤지엄 주슈는 현대미술에 대한 실험적 접근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레지던스 공간도 운영할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 또한 여성부호인 쿨치지크가 자금을 지원한다.

오스트리아 비엔나에도 멋장이 현대미술관이 들어선다. 신디 셔먼, 게오르그 바젤리츠, 토니 크랙, 카렐 아펠, 네오 라우흐, 알렉스 카츠 등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의 작품 1323점을 보유한 에셀 컬렉션(Essl Collection)을 선보일 ‘알베르티나 쿤스틀러하우스’가 화제의 뮤지엄이다. 개관은 내년 가을로 잡혀 있다. 작품 평가액 9억유로에 달하는 에셀 컬렉션을 대중에게 선보이기 위해 필요한 4000만유로의 미술관 건립기금은 오스트리아 기업인이 쾌척했다. 알베르티나 뮤지엄은 19세기에 지어진 퀸스틀러하우스(Künstlerhaus)의 공간을 개조해 둥지를 트게 된다.

러시아 모스크바의 크렘린(Kremlin) 인근의 옛 발전소에도 초대형 현대미술관이 탄생한다. ‘GES-2’라는 이름의 새 예술센터는 러시아의 천연가스 사업가이자 억만장자인 레오니드 미헬손(Leonid Mikhelson)이 기금을 출연해 성사됐다. 영국 런던에 거대한 화력발전소를 미술관으로 재탄생시킨 ‘테이트 모던’이 있다면 모스크바에는 옛 발전소를 미술관으로 변용한 ‘GES-2’가 내년 말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2만평방미터 규모에 달하는 미술관의 재구축 설계는 이탈리아 건축가 렌조 피아노(Renzo Piano)가 맡았다. 미술관 건축에만 3억달러가 투입될 예정이다. ‘GES-2’에는 근현대 미술을 선보이는 전시실 뿐 아니라 예술가들을 위한 레지던시 블록과 원형극장, 도서관, 서점, 카페 등이 조성돼 모스크바의 문화허브로 기능할 전망이다.

오랜 진통 끝에 내년 중반 개관하는 상하이의 ‘퐁피두센터 X 웨스트번드 미술관’. [사진=Centre Pompidou x West Bund Museum]

마지막으로 중국 상하이에 프랑스가 자랑하는 국립 퐁피두센터 분관이 마침내 오픈한다. 정식명칭은 ‘퐁피두 센터x 웨스트 번드 미술관(Centre Pompidou x West Bund Museum)’으로 정해졌다. 개관은 내년 중반으로 잡혔다.

당초 2007년 상하이에 퐁피두센터를 세우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무위로 그쳤고, 10여 년 만에 결실을 맺게 됐다. 이 프로젝트는 상하이에 기반을 둔 부동산기업인 웨스트 번드 개발공사에 의해 주도됐으며 퐁피두가 소장 중인 다채로운 근현대미술 컬렉션을 2만5000㎡(7562평)에 달하는 공간에서 소개하게 된다. 따라서 퐁피두의 방대하면서도 주옥같은 아트컬렉션을 앞으로는 파리가 아닌 상하이에서도 즐길 수 있게 됐다. 건축은 서울 용산의 아모레퍼시픽 신본사를 설계한 영국 건축가 데이비드 치퍼필드가 맡았다.

art2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각설이 타령'은 광복군의 희로애락"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신개념 국악 방송 '최한이·변상문의 작금작금' 제4편이 26일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유튜브 채널 '뉴스핌TV'와 'K스팟(K·SPOT)'을 통해 공개됐다. '최한이·변상문의 작금작금'은 국악이라는 전통 예술 분야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대중에게 더욱 가깝게 다가가려는 시도이다. 젊은 국악인들의 시선으로 전통음악을 재해석하고 현대사회 속 국악의 의미를 재조명하며, 소리꾼 최한이와 변상문 국방국악문화진흥회 이사장, 팝페라 가수 오윤석과 소리꾼 박나현, 김보성, 가야금 병창 박혜정 등이 출연한다. '최한이·변상문의 작금작금'의 제목 속 '작금(昨今)'은 역사적 사건과 역사적 인물 이야기를 국악으로 풀어 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작금(作金)'은 '금을 캐 부자가 된다'는 뜻도 포함돼 있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최한이·변상문의 작금작금' 제4편 '광복군'이 공개됐다. 본편은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TV의 유튜브 채널 '뉴스핌TV'와 'K·SPOT'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맨 왼쪽부터 최한이, 김보성, 변상문. 2025.09.25 alice09@newspim.com 이날 제4편 '광복군'에서는 가야금 병창 박나현과 경기소리꾼 김보성이 함께했다. 4편 '광복군'에서는 의병들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했다. 변 이사장은 "의병은 1907년 8월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된 후, 1919년 9월 상해 임시정부가 세워질 때까지 개인 신분으로 일제와 싸운 분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광복군은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함꼐 국군이 됐다"고 부연했다. 당시 독립군이자 광복군 출신으로 초대 국방부 장관을 맡은 사람은 이범석이며, 초대 국방부 차관은 최용덕이 맡았다. 제4편 '광복군'의 시대적 배경은 1944년 겨울이다. 변 이사장은 "평안도 출신 김준엽을 비롯한 1500여 명의 청춘은 평양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 제20사단에서 4주간 훈련을 받고, 당시 중국군과 전쟁 중인 일본군에 배치됐다. 그런데 이들 중 40여 명이 일본군영을 탈영하게 된다. 대표적 인물이 전 고려대 총장 김준엽, 창작과 비평 출판사를 운영했던 장준하, 임시정부 초대 군무총장 노백린 장군의 아들 노능서"라고 말했다. 최한이 소리꾼은 장준하의 '돌베개' 책 부분을 읽으며 "흥이 오르자 안익태 씨가 작곡한 애국가를 불랐다. 회식을 주관한 김주임은 사발가를 불렀다"고 말했다. 이어 "여기서 나오는 '사발가'는 1900년대 초부터 1910년 한일병탄 무렵까지 우리 민족의 울분을 노래한 곡"이라고 소개했고, 김보성 소리꾼은 가창을 시작했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최한이·변상문의 작금작금' 제4편 '광복군'이 공개됐다. 본편은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TV의 유튜브 채널 '뉴스핌TV'와 'K·SPOT'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진은 김보성 소리꾼. 2025.09.25 alice09@newspim.com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최한이·변상문의 작금작금' 제4편 '광복군'이 공개됐다. 본편은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TV의 유튜브 채널 '뉴스핌TV'와 'K·SPOT'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진은 박나현 가야금 병창. 2025.09.25 alice09@newspim.com 탈영한 이들은 중국 국민당 정부 중앙육군군관학교를 마치고 중경에 있는 임시정부를 찾아갔다. 그리고 그곳에서 김구 선생을 만나게 된다. 해당 자리에서 김성근이라는 청년은 '각설이 타령'을 부르게 된다. 박나현 소리꾼은 '품바'라는 가사가 들어간 '광복군 환영가'를 가창했다. 최한이 소리꾼은 이를 들은 후 "지금으로 말하면 타령은 강한 수능금지송이 됐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후 변상문 이사장과 최한이는 오늘의 '금맥'으로 "각설이 타령은 광복군의 희로애락 그 자체였고, 국악은 곧 군악이었다"고 정의를 내렸다. 올해 8월 15일 광복 80주년을 맞아 선보이는 특집 프로그램인 '최한이·변상문의 작금작금' 제1화 '광복'은 총 4개로 나뉘어 방송됐다. 제1편은 '작금', 2편 '김구, 판소리 배우다', 3편 '이승만과 아리랑', 4편 '광복군'이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최한이·변상문의 작금작금' 제4편 '광복군'이 공개됐다. 본편은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TV의 유튜브 채널 '뉴스핌TV'와 'K·SPOT'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맨 왼쪽부터 최한이, 김보성, 변상문. 2025.09.25 alice09@newspim.com 앞서 제1편 '작금'에서는 성악가 오윤석이 참석해 한국 가곡 '선구자'를 가창했다. 변사로 나선 변상문 이사장은 '가곡'에 대해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가곡'을 우리나라 전통 성악곡의 하나로, 피리나 거문고, 해금 따위의 관현악 반주에 맞춰 부르는 노래라고 정의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광복 80주년을 맞이해 뒤죽박죽 돼 있고 뒤섞인 개념을 정리해보고자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가곡은 국악"이라는 답을 힘주어 말했다. 이어 제2편 '김구, 판소리 배우다'에서는 김구 선생이 왜인을 살해한 후 옥중 생활을 하며 만난 조덕근으로부터 시조와 여창 가곡, 남창 가곡, '경기 12잡가', '선유가', 판소리 '적벽가'와 '춘향가'를 배운 내용이 담겼다. 변상문 이사장은 "백범 김구는 판소리 '춘향가'를 배웠고, 판소리 '농부가'와 '갈까부다'를 즐겨 불렀다"고 말했다. 이에 최한이 소리꾼은 "판소리는 원조 K팝"이라고 정의했다. '이승만과 아리랑'이라는 제목의 제3편에서는 이승만 전 대통령이 1993년 2월 24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국제연맹 본회의에 참석한 후 식사 자리에서 초대 대통령의 영부인인 프란체스카 여사를 만난 내용이 담겼다. 이 전 대통령은 프란체스카 여사에게 힘들고 외로울 때마다 '아리랑'을 불러줬다. 이에 최한이 소리꾼은 "아리랑은 201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우리의 소리이다. '아리랑'은 한민족 DNA이다. 슬플 때는 발라드로, 기쁠 때는 찬가로, 힘들 때는 떼창으로, 인생사 희로애락의 뮤지컬로 시류를 편승하는 살아있는 맥"이라고 강조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9-26 16:05
사진
두나무·네이버 '슈퍼 플랫폼' 시동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두나무와 네이버가 가상자산 '슈퍼플랫폼' 탄생을 예고했다. 네이버페이에서 스테이블코인으로 상품을 결제하고 예치금은 업비트 계좌와 연동해 이자이익을 꾀하는 등 원화 스테이블코인 확장 가능성을 제시,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구상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가 추진하는 포괄적 주식교환 거래 체결 시 양사는 원화 스테이블 코인의 발행과 유통, 활용을 잇는 삼각편대를 단숨에 완성할 수 있다. 네이버페이가 발행한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두나무의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에 유통하고 해당 코인을 네이버페이가 보유한 막대한 온·오프라인 결제처에서 지불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향이다. 달러 스테이블코인 대비 원화스테이블 코인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네이버페이와 두나무가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구체적인 활용처와 확장 가능성을 제시,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점도 기회요인이다. 오동환 삼성증권 연구원은 "두나무의 블록체인 플랫폼 '기와체인'으로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고, 이를 네이버페이의 결제처에서 결제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라며 "또 업비트에서 거래하며 탈중앙화 금융의 기초 자산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네이버와 두나무의 업비트 로고.[사진=각 사] 특히 네이버페이는 최근 결제 뿐 아니라 대출, 보험 증권, 자산관리 등을 연계해 종합금융서비스로 도약을 꾀하고 있다. 두나무를 품게 되면 가상자산으로 사업영역을 넓힐 수 있는 셈이다. 구체적으로 네이버페이, 업비트 고객들은 원화 스테이블코인 또는 가상자산으로 네이버페이에서 물건을 구매·결제할 수 있고 네이버페이와 업비트 계좌가 상호 연동되면 기존 네이버페이 예치금을 업비트 계좌에 보관, 고객들이 이자수익을 꾀할 수도 있다. 이같은 가상자산 활용이 보편화되면 자연히 네이버-업비트 생태계에 고객을 묶는 '록인' 효과가 극대화된다. 이효진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네이버의 두나무 연결 편입은 단순 가상자산 거래대금에 대한 수익이 인식되는 것이 아닌 실물자산토큰(RWA), 스테이블 코인 등 디지털 자산 사업의 확대로 활용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고 짚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네이버와 두나무의 합병 신호를 시장에 일종의 '선전포고'로 관측했다. 스테이블코인을 비롯한 가상자산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의지라는 것이다. 김형중 한국핀테크학회 회장은(고려대 교수)는 "네이버와 두나무가 힘을 합치면 스테이블코인의 쓸모를 만들어낼 수 있고 여러 가능성을 기반으로 주도권을 쥐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시장과 정부에 표현한 것"라며 "시그널을 던졌으니 시장 반응을 보고 세부사안을 정립해나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 임병화 성균관대 경영학과 교수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법제화가 빠르게 추진되고 있는 만큼 카카오, 토스를 비롯해 은행 등 관련 기업들도 분명 컨소시엄 등 다양한 물밑 논의를 진행하고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미국, 유럽, 일본 등 해외에 비해 한국은 많이 뒤처져있기 때문에 당장의 규제보다는 산업육성이 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피력했다. 다만 제도적 걸림돌도 적지 않다. 더불어민주당 안도걸 의원이 대표 발의한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안에서 이용자 보호를 위해 발행과 유통이 분리돼야 한다는 점을 명시했기 때문이다. 이때 발행, 유통의 의미가 구체적으로 규정된 것은 아니지만 단순 해석하면 네이버에서 만든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손자회사인 업비트에 상장, 거래로 이뤄지기는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금융당국이 네이버와 두나무의 결합을 어떻게 평가할지도 변수로 꼽힌다. 가상자산 분야에서 금융당국은 소비자 보호와 산업혁신의 균형을 중시하며, 투자자 보호 중심의 규율체계 마련 등에 나서고 있다. 심원태 금융위원회 가상자산과 사무관은 최근 가상자산 관련 세미나에서 "국제금융안정위원회(FSB) 등은 미국의 가상자산거래소 FTX의 파산 사례를 들며 이해상충 방지, 경업 제한 등 대응방안 마련을 강조한 바 있다"며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개인만 참여한다는 특수성이 있어 이용자 보호 측면을 보다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고 했다.  한편 전날 네이버와 두나무는 양사 간 포괄적 주식교환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네이버 계열사 네이버파이낸셜에 두나무가 편입되는 방안 등을 놓고 검토에 들어간 것이다. 포괄적 주식교환은 한 회사가 다른 회사의 주식 전부를 취득해 100% 지분을 확보하는 절차다. 구체적으로 두나무 주주들이 보유한 두나무 주식 전부를 네이버파이낸셜에 넘기고, 네이버파이낸셜은 신주를 발행해 두나무 주주들에게 제공한다.  네이버는 "두나무와 스테이블 코인, 비상장주식 거래 외 주식 교환을 포함한 다양한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두나무 측도 "네이버페이와 스테이블 코인, 비상장주식 거래 외에도 다양한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고 했다. 양사는 조만간 각각 이사회에서 주식 교환 안건을 의결할 것으로 알려진다. romeok@newspim.com 2025-09-26 17:18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