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중국 반도체 강국의 꿈, 어디까지 왔나

기사입력 : 2018년05월25일 08:12

최종수정 : 2018년06월15일 16:57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중국 반도체, 글로벌 시장 60% 이상
정부 지원 및 막대한 자금력 바탕으로 '반도체 강국' 꿈 성큼

[편집자] 이 기사는 5월 24일 오후 5시48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서울=뉴스핌] 황세원 기자=미중 무역 갈등으로 양국간 첨단 기술 확보 경쟁이 뜨거운 가운데, 중국의 반도체 국산화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중국 반도체 산업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고성장세를 이어가는 한편, 막대한 자금력을 앞세워 글로벌 반도체 기업을 집어 삼키며 양적 질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글로벌 반도체 강국을 꿈꾸는 중국이 어느 정도까지 왔는지 살펴본다.

◆ 중국, 명실상부 세계 최대 반도체 시장

최근 중국 유력 금융사 중즈캐피탈(中植資本)과 칭커연구센터(清科研究中心)이 발표한 ‘2018년 중국 반도체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중국의 반도체 시장 규모는 1조6860억 위안(약 286조 원)으로 전세계 시장의 60%를 차지했다. 2012년 이후 2017년까지 연복합성장률(CAGR)은 11.4%로 전세계 평균 수준인 7%를 웃돌았다.

이 중 중국 집적회로(IC) 시장 수요는 2012년 8559억 위안(약 145조700억 원)에서 2016년 1조1986억 위안(약 203조 원)으로 4년간 약 40%가 증가했다. 집적회로(IC)는 전세계 반도체 산업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반도체 핵심 세부 분야다.

중국 반도체 시장이 이와 같이 고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다. 중국 당국은 2014년 6월 ‘국가집적회로 산업 발전 추진 강령’을 발표했고 1년 후인 2015년에는 ‘중국제조2025’를 발표,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 기술 산업을 우선적으로 육성한다는 목표를 명확히 했다.

실질적 조치도 뒤따랐다. 중국 정부는 국가집적회로산업투자펀드 등을 조성하고 밸류체인 내 관련 기업을 지원했다. 2014년 조달한 1차 펀드 규모는 1387억 위안(약 23조5600억 원) 육박했으며, 올해 조달할 2차 자금 규모는 2000억 위안(약 33조97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하이실리콘 등 글로벌 선도 기업 '우후죽순'

집적회로(IC) 시장은 크게 설계, 제조, 패키징·테스트로 분류된다. 중국의 경우 이들 비중이 각각 38%, 26%, 36%이다.

이 중 지난해 중국 IC 설계 매출은 1945억9800만 위안(약 33조 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약 28%가 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8년 예상 시장 규모는 2400억 위안(약 40조7600억 원)으로, 20%대 연복합성장률(CAGR)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 조사 기관 TrendForce에 따르면 2017년 중국 10대 IC 설계 기업 매출은 796억9000만 위안(약 13조5300억 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17.4%가 증가했다. 이들 10대 기업은 하이쓰반도체(海思半導體, 하이실리콘), 칭화쯔광잔루이(清華紫光展銳), 중싱웨이뎬쯔(中興微電子) 등으로 중국 IC 설계 매출 비중이 41%에 달한다.

중화권(중국, 대만) 기업은 IC 패키징·테스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TrendForce에 따르면 글로벌 10대 IC 패키징·테스트 기업 중 중국 기업은 3개로, 시장 점유율은 약 20%를 기록했다. 이들 기업은 창뎬커지(長電科技), 톈수이화톈(天水華天), 퉁푸웨이뎬(通富微電)로 매출 평균 증가율 등 성장세 측면에서 기타 경쟁사를 압도했다. 그 외 대만계 기업 6개가 글로벌 10대 기업에 포함됐다.

◆ 적극적 인수합병(M&A), 전방위 기술력 강화

막대한 자금을 동원한 적극적인 인수합병(M&A) 행보도 눈길을 끈다. 중국 주요 기업은 대내적으로 유망 기업을 인수, 산업 집중도를 높이는 한편 글로벌 핵심 기업을 집어 삼키며 반도체 산업 전방위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쯔광그룹(紫光集團, Unigroup)이 있다. 중국 최고 반도체 기업으로 성장한 쯔광그룹은 2013년 현지 반도체 팹리스 잔쉰퉁신(展訊通信, 스프레드트럼)과 루이이커웨이뎬쯔(銳迪科微電子, RDA Microelectronics)를 108억9000만 위안(약 1조8420억 원), 55억 7000만 위안(약 9420억 원)에 인수, IC 설계 역량을 대폭 강화했다. 2015년에는 현지 개별소자 반도체 생산업체 퉁팡궈신(同方國芯)을 70억1000만 위안(약 1조1900억 원)에 인수, IC 제조 역량을 제고한 바 있다.

그 외 중국계 자본이 해외 기업을 인수한 사례로 2015년 우웨펑캐피탈(武嶽峰資本)이 다국적 메모리 반도체 설계 기업 ISSI를 7640만 달러(약 820억 원)에 인수한 적이 있으며, 2016년에는 칭신화촹(清芯華創)이 미국 이미지 센서 전문업체 옴니비전을 19억 달러(약 2조503억 원)에 인수했다.

한편 최근 5년간(2017년 12월 기준) 중국 반도체 인수 합병 건수는 516건, 금액은 1937억500만 위안(약 32조7500억 원)을 기록했다. 

중국의 반도체 인수합병은 해를 거듭할 수록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 유력 매체 터우쯔제(投资界)에 따르면 2015년 중국 반도체 인수합병 금액은 전년도에 비해 5배가 증가한 495억6000만 위안(약 8조3800억 원)을 기록했으며, 2016년에는 622억400만 위안(약 10조5200억 원)을 기록,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보면 창싼자오(長三角, 장삼각), 주싼자오(珠三角, 주삼각), 베이징(北京) 등 경제 중심지 내 인수합병이 활발하다.

특히 베이징은 최근 5년간 중국 기업의 해외 반도체 인수를 주도하며 인수 금액 기준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2012년 이후 2017년 12월까지 베이징에서 발생한 반도체 인수합병 금액은 911억2000만 위안(약 15조4070억 원)에 달한다. 2위는 광둥성(廣東省)으로 186억5900만 위안(약 3조1550억 원)을 기록했으며, 3위는 장쑤성(江蘇省)으로 172억2500만 위안(약 2조9100억 원)이었다.

mshwangsw@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공무원 당직제' 76년만에 전면 개편 [세종=뉴스핌] 김범주 기자 = 1949년 도입된 공무원 당직 제도가 76년만에 처음으로 전면 개편된다. 무인 전자경비장치 등 도입 여부에 따라 재택당직을 적극 도입하고, 인공지능(AI) 민원응대 시스템도 도입된다. 인사혁신처는 이 같은 내용을 반영한 '국가공무원 복무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고 24일 밝혔다. 당직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AI 당직 민원 시스템을 통한 신속한 민원응대가 이번 개정안의 핵심이다. 이번 개정안은 크게 재택당직 확대, 상황실 중심 당직 전환, 통합당직 운영, 인공지능 민원응대 도입 및 소규모 기관 당직 감축 등 4가지 측면에서 추진된다. 지방자치단체 당직근무 유형 예시[제공=인사혁신처] 우선 무인 전자경비장치와 통신체계가 마련된 기관의 경우, 인사처나 행정안전부와의 사전 협의 절차 없이 자율적으로 재택당직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 기존 2~3시간이었던 사무실 대기시간은 1시간으로 단축된다. 외교부, 법무부 등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하는 기관은 기존 당직실 대신 상황실에서 당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당직 부담이 큰 기관은 인력 보강이나 인원 조정이 가능하게 했다. 같은 청사나 인접 지역에 위치한 여러 기관은 협의를 통해 당직 운영을 '통합'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전청사 내 8개 기관이 각각 1명씩 당직을 서던 기존 방식 대신, 앞으로는 3명의 통합당직 근무자가 8개 기관을 관리하는 방식이다. 야간이나 휴일에 전화 민원이 빈번한 기관에는 AI 당직 민원 시스템이 도입된다. 민원은 국민신문고로 연계하고, 화재나 범죄는 119·112 신고로 연결된다. 긴급 사안은 당직자에게 직접 연결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이외에도 24시간 상황실 운영 기관의 일반 당직이 폐지되면 공무원들이 본연의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사처는 연간 약 169억~178억원 규모의 예산 절감 효과와 함께 356만 근무시간이 추가 확보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동석 인사처장은 "시대 변화에 맞지 않는 비효율적인 당직 제도는 공무원들의 불필요한 업무 부담을 가중하고 공직 활력을 저해하는 요인"이라며 "실태조사와 현장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 만큼, 공무원들이 업무에 더욱 집중하고, 국민에게 보다 질 높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11-24 12:00
사진
카카오톡 '친구탭'-목록형 중 택일 [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카카오톡의 대표 기능 중 하나인 '친구탭'이 다음 달부터 기존의 목록형 방식 UI(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다시 이용 가능해질 전망이다. 2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내부 테스트를 거쳐 다음 달 정식 업데이트에서 두 가지 UI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현재 적용돼 있는 소셜미디어형 친구탭과, 기존처럼 단순하게 친구 목록만 표시되는 목록형 UI 중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난 9월 경기도 용인 카카오AI캠퍼스에서 열린 'if(kakao)25' 컨퍼런스 현장.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기조연설을 통해 카카오톡 개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양태훈 기자] 당초 업계에서는 카카오가 이달 안에 기존 UI 복구를 마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지만, 카카오는 안정성 확보 및 일부 기능 보완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업데이트 시점을 한 달가량 늦춘 것으로 전해졌다. 친구탭 개편은 지난 9월 23일 열린 개발자 행사 '이프 카카오(if(kakao)25)'에서 공식 공개됐다. 당시 홍민택 카카오 최고제품책임자(CPO)는 "프로필이 단순한 정보 표시에서 벗어나 개인의 취향과 일상을 담아내는 형태로 확장될 것"이라며 새로운 방향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개편 직후 사용자 불만이 급격히 늘었다. 피드 형식의 화면이 메신저 본래 기능과 맞지 않는다는 의견과 함께 광고 노출이 지나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실제로 개편 이후 카카오톡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이용자 평점이 1점대까지 떨어지는 등 서비스 신뢰도에도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이용자 불만이 이어지자 카카오는 결국 연내에 기존 UI를 되돌리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 역시 이달 7일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이용자 의견을 바탕으로 친구탭 개편을 포함한 전반적인 서비스 개선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언급하며 기존 방향 수정 의지를 재확인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올해 4분기 내 목록형 친구탭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계획은 변함이 없다"라며 "이용자 편의성 강화를 위해 다양한 의견을 계속 수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wcn05002@newspim.com 2025-11-23 14:21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