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개혁개방 40년] 1978~2017년 중국, 40개의 역사적 장면 (1)

기사입력 : 2018년01월01일 09:00

최종수정 : 2018년01월01일 09:00

미중수교, 경제특구 지정, 덩샤오핑의 일국양제
KFC 중국 상륙, 붉은수수밭 황금곰상, 천안문사태

[뉴스핌=황세원 기자] 올해(2018년)는 중국이 개혁ㆍ개방의 노선을 채택한 후 40주년이 되는 해다. 지난 40년간 중국은 세계적으로 전례 없는 고성장세를 이어갔고, 경제를 비롯해 외교, 문화,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쾌거를 이루며 명실상부한 글로벌 G2로 부상했다.

현재 중국은 개혁ㆍ개방 이후 40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2018년 '시진핑 신시대(新時代)'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1978년 부터 2017년까지, 지난 40년간 중국이 지나온 개혁개방의 여정을 40개의 사건과 역사적 장면으로 재구성해본다. 

◆ 1978년 개혁개방 시행

1978년은 중국에 있어 역사적 전환점으로 기억된다. 마오쩌둥(毛澤東)으로 대표되는 신중국 혁명 시대가 막을 내리고 덩샤오핑(鄧小平) 개혁개방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

1978년 12월 제11기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에서 덩샤오핑(鄧小平)을 필두로 한 당내 실용주의 세력은 새로운 실권자로 부상했고, 덩샤오핑은 개혁개방 시행을 대내외적으로 천명했다. 

중국은 계획경제에서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는 한편, 연해 지역을 중심으로 점진적 개방 정책을 시행하며 경제 고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1970년대 후반 중국의 풍경

◆ 1979년 미중 수교

1979년은 미국과 중국이 30년간 단절된 외교관계를 정상화하고 수교를 맺은 역사적 해다.

1970년대 미국은 대내외적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었고, 중국은 소련에 위기 의식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양국은 소련에 대한 견제 필요성을 느꼈고 관계 개선에 나섰다.

1971년 미국의 탁구 팀이 중국을 방문, 이른바 ‘핑퐁 외교’가 성사됐다. 같은 해 미국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가 비밀리에 베이징(北京)을 방문했고, 이듬해 1972년 닉슨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전격 방문하면서 1979년 역사적인 미중 수교가 이뤄졌다.

1979년 당시 중국 지도자 덩샤오핑과 카터 미국 대통령은 수교 조약을 맺었다.

◆ 1980년, 선전특구 설립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을 선포했고, 그로부터 2년 후인 1980년 외국 자본과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경제특구를 지정했다.

가난한 어촌이었던 선전(深圳)은 1980년 덩샤오핑이 제1호 경제특구로 지정하면서 빠른 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현재 선전은 GDP 1조9600억위안(약 322조8000억원) 규모의 핵심 경제ㆍ금융도시이며, 중국 대표 IT 기업 텐센트 등을 배출한 기술혁신의 중심지다.

◆ 1981년, 중국 여자 배구 세계 최강 등극

1981년 중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당시 세계 최강 일본을 꺾고 처음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후 중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82년, 1984년, 1985년, 1986년 세계선수권 대회 및 올림픽 등에서 연이어 금메달을 휩쓸며 세계 최강으로 부상했다.

1981년 중국 여자 배구팀이 세계 최강에 등극하면서 중국에서는 ‘뉘파이정신(女排精神, 여자 배구 정신)’이라는 말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이 단어는 현재까지도 중국에서 ‘중국의 자부심’, ‘불굴의 도전 정신’ 등과 유사한 의미로도 사용된다.

1981년 중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이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며 사상 처음으로 세계 최강에 올랐다.

◆ 1982년 덩샤오핑 일국양제 제시

1982년 중국 ‘개혁개방의 총설계자’ 덩샤오핑은 마가렛 대처 영국 총리와의 홍콩 주권 반환 회담에서 ‘일국양제(壹國兩制)’를 제시했다.

일국양제란 ‘하나의 국가, 두개의 체제’라는 의미로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하나의 국가 안에서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두 체제를 공존시킨다’는 의미다.

일국양제는 홍콩, 마카오에 대한 중국의 통치 원칙이며, 덩샤오핑의 ‘흑묘백묘론(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된다)’의 정치적 응용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1982년 홍콩 주권 반환 회담 자리에서 덩샤오핑은 마가릿 대처 영국 수상에게 ‘일국양제’를 제시했다.

◆ 1983년, 중국어 컴퓨터 입력 방식 개발

1983년 중국의 왕융민(王永民)교수가 중국어 컴퓨터 입력방식인 ‘우비쯔싱(五筆字型)’을 개발하면서 중국은 IT 산업 발전의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1980년대 전세계는 바야흐로 컴퓨터 시대에 진입했고, 당시 중국에서는 한자의 컴퓨터 입력이 불가능하다는 등의 이유로 병음표기(발음표기) 입력방식을 사용하자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었다.

하지만 우비쯔싱의 개발로 한자는 위기를 넘길 수 있었고, 중국 정보화 기술 발전도 속도를 낼 수 있었다.

◆ 1984년 쉬하이펑, 중국 최초 올림픽 금메달 획득

1984년 LA올림픽에서 여자 사격 국가대표 쉬하이펑(許海峰)은 중국 최초로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

LA올림픽은 중국이 신중국 설립 이후 처음으로 참여한 올림픽으로, 당시 중국은 사상 최대 규모의 선수단을 파견했다. LA올림픽에서 중국은 15개 금메달을 포함해 총 30개 메달을 획득하며 오늘날 스포츠 강국으로 도약하는데 발판을 마련했다.

◆ 1987년 KFC 중국 상륙

1987년 11월 KFC가 글로벌 패스트푸드 브랜드로는 처음으로 중국에 진출했다. KFC는 중국 시장 진출 초기 회사명을 KFC 중국어 발음을 고려해 ‘컨더지(肯德基)’로 정하고 현지화 전략을 적극 추진했다.

KFC의 중국 현지화 전략은 메뉴 개발에서 빛을 발했다. KFC는 중국인의 식습관을 고려해 유탸오(油條, 기름에 튀긴 중국식 꽈배기), 피단죽(皮蛋粥, 삭힌 오리알을 넣어 죽) 등을 출시, 전국민적인 인기를 얻었다.

◆ 1988년 ‘붉은 수수밭’, 중국 최초 베를린 영화제 황금곰상 수상

1988년 중국 영화계 이정표적인 사건이 벌어졌다. 바로 장이머우(張藝謀) 감독의 ‘붉은 수수밭’이 중국 영화 사상 처음으로 베를린 국제영화제 황금곰상을 수상한 것.

‘붉은 수수밭’ 수상을 계기로 장이머우 감독과 여주인공 궁리(鞏俐)는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됐으며, 중국은 자국 영화의 매력을 전세계에 알릴 수 있었다.

1988년 장이머우 감독의 '붉은 수수밭'이 중국 영화 최초로 베를린 영화제 황금곰상을 수상했다.

◆ 1989년 톈안먼 사태

1989년 베이징에서 발생한 톈안먼(天安門, 천안문) 사태는 중국의 민주화 운동을 중국 정부가 무력으로 진압, 수만 명의 사상자를 낸 정치적 참극이다.

당시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이에 따른 후유증이 증폭되는 한편, 민중을 중심으로 정치개혁과 민주화에 대한 열망이 고조되고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1989년 중국 개혁파의 거두였던 후야오방(胡耀邦)의 사망 소식은 톈안먼 시위의 촉발점이 됐다. 대학생을 비롯한 시민, 노동자가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 몰려들었고, 한 목소리로 민주적 정치개혁을 요구했다.

추모 행사가 100만여명이 운집한 대규모 정치개혁ㆍ민주화 시위로 확대되자, 중국 당국은 인민해방군을 동원, 강제 진압했고 중국의 역사적인 민주화 운동은 유혈 사태로 막을 내렸다.

<2편으로 이어짐>

 

[뉴스핌 Newspim] 황세원 기자 (mshwangsw@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국힘 대선후보 김문수 56.53% 득표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3일 오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에서 당직자들과 손을 들며 인사하고 있다. 2025.05.03 photo@newspim.com   2025-05-03 17:28
사진
李 파기환송심 서울고법 재판장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서울고법에 돌려보낸 지 하루 만에 이 후보의 파기환송심을 맡을 재판부와 첫 공판기일이 정해졌다. 서울고법은 2일 오후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심을 형사7부(재판장 이재권)에 배당했다. 또 이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과 관련해 소환장 및 기일통지 발송에 이어, 집행관 송달을 촉탁했다. 집행관 송달은 우편송달이 되지 않을 때 진행하는 특별송달이다.  서울고법의 선거사건 전담 재판부는 형사2부, 6부, 7부 3곳인데 이 후보의 기존 항소심 재판부인 형사6부는 배당 대상에서 제외됐고 6부의 대리 재판부인 형사7부에 배당됐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이재권 재판장, '민주당 돈봉투' 등 사건 맡아 해당 재판부는 '민주당 돈봉투' 사건으로 기소된 이성만 전 의원과 송영길 소나무당 대표의 전 보좌관 박용수 씨 사건을 심리하고 있다. 이밖에 폐수 불법 배출 혐의를 받는 HD현대오일뱅크 사건,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사건 관련 허위 면담보고서 작성 혐의를 받는 이규원 조국혁신당 전략위원장(전 부부장 검사) 사건도 맡고 있다. 해당 재판부는 이재권(사법연수원 23기) 부장판사와 박주영(33기)·송미경(35기) 고법판사로 구성됐다. 재판장은 이 부장판사가, 주심은 송 고법판사가 맡는다. 이 부장판사는 제주 서귀포 출신으로 제주제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했다. 1997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로 임관한 뒤 서울행정법원 판사, 제주지법 부장판사, 수원고법 부장판사 등을 거쳐 지난해 2월부터 서울고법 부장판사로 근무하고 있다. 특히 이 부장판사는 2005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 2006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실 판사, 2021~2024년 사법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이용훈·양승태 전 대법원장 재임 당시인 2010년~2012년에는 대법원장 비서실 판사로도 근무했다. 박 고법판사는 서울과학고등학교와 서울대 산업공학과를 졸업했다. 2004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를 시작으로 서울서부지법 판사, 수원지법 판사, 부산지법 부장판사, 의정부지법 부장판사를 역임했고 올해 2월 서울고법에 부임했다. 송 고법판사는 부산서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대학원 법학과 석사과정을 거쳐 2006년 서울중앙지법에서 판사 생활을 시작했다. 서울남부지법 판사, 부산지법 판사, 인천지법 판사 등을 거쳐 2022년 2월부터 서울고법에서 근무하고 있다. 김명수 대법원장 시절인 2019년~2022년에는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첫 파기환송심 15일...李 불복 뒤 재상고 가능성 커 파기환송심 첫 공판기일은 오는 15일 오후 2시로 지정됐다. 이날 사건이 배당된 지 약 한 시간 만에 재판부가 기일을 지정하면서 이 후보 사건은 신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파기환송심 선고 결과가 나오더라도 이 후보가 이에 불복해 대법원에 재상고할 것으로 보여 오는 6월 3일 대선 전 최종 판결이 나오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대법 전합은 전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 상고심 선고기일을 열고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했다. 재판부는 이 후보가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과 골프를 쳤다는 의혹과 관련해 '사진이 조작됐다'는 취지로 한 발언, 백현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의 압박 내지는 협박이 있었다고 한 발언이 선거인의 정확한 판단을 그르칠 정도에 해당해 허위사실공표라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김씨를 하위직이라서 몰랐다는 발언과 함께 골프 발언을 듣는 일반 선거인으로서는 출장은 같이 갔지만 함께 간 해외줄장 기간에 골프를 치지는 않았다는 의미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며 "그런데 피고인은 김씨 등과 함께 간 출장 기간에 골프를 친 것이 사실이므로 이 발언은교유행위에 관한 허위사실 공표에 해당한다"고 판시했다. 또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을 들어 용도지역 변경을 압박했다'는 취지의 발언과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에 따르지 않으면 직무유기를 문제 삼겠다고 협박했다'는 취지의 발언은 사실의 공표이지 단순히 과장된 표현이거나 추상적인 의견 표명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대법원 판결은 기속력이 있기 때문에 파기환송심은 이를 뒤집을 만한 중대한 증거가 새롭게 제시되지 않는 이상 대법원 판결 취지에 따라 이 후보에 대한 추가 양형 심리를 거쳐 유죄를 선고하게 된다. 이 후보의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1심은 의원직 상실형인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바 있다.  shl22@newspim.com 2025-05-02 18:5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