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박미리 기자] 가정집이나 영업용 매장에 설치된 IP카메라를 해킹해 사생활을 들여다보고 이와 관련된 사진, 영상을 인터넷에 유포한 남성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 |
IP카메라 영상 모습. 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 [뉴시스] |
IP카메라는 유·무선 인터넷과 연결돼 있어 다른 기기로 즉시 영상을 송출할 수 있는 카메라다.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성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 위반 등 혐의로 임모(23)씨 등 2명을 구속하고, 전모(34)씨 등 11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19일 밝혔다.
임씨 등은 지난 4월17일부터 지난 3일까지 전국 곳곳 가정집, 의류판매장 등에 설치된 IP카메라 1402대에 2354차례에 걸쳐 무단 접속, 사생활을 몰래 보거나 영상을 녹화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이들이 접속한 IP카메라가 비밀번호 등이 출고 당시 상태 그대로여서 보안이 허술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경찰은 IP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나 사진을 인터넷 등에 유포한 혐의(음란물 유포 등)로 김모(22)씨 등 37명도 불구속 입건했다.
김모씨 등은 IP카메라에 직접 접속하거나 녹화하지는 않았지만 녹화된 영상이나 사진물을 음란물 사이트, 인터넷 파일공유 사이트에 유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이번 수사 결과를 토대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에 IP카메라의 제조·유통·설치·사용 전 단계를 분석해 보안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표준을 마련하는 등의 보안 강화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통보했다.
이처럼 IP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나 사진이 인터넷을 통해 유포되면서 가정용 사물인터넷(IoT) 기기에 대한 해킹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IP카메라는 가정 뿐 아니라 상가나 사무실 내·외부를 PC와 모바일로 원격 모니터링할 수 있어 각광받고 있다. CCTV를 필수적으로 갖춰야 하는 어린이집에서 다양한 각도의 화면을 동시에 저장할 수 있고, 아파트와 공장에서도 선명한 야간영상으로 도난을 예방하고 안전을 확보하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이같은 성장 이면에는 부작용도 있기 마련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소프트웨어(SW) 신규 취약점 신고포상제'를 운영한 결과, IoT 취약점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넘어섰다.
기존에는 보안 취약점 대상 유형이 애플리케이션과 액티브 엑스(ActiveX)가 주를 이뤘으나, 2015년부터 IoT 기기가 확대되면서 IoT 취약점 신고가 급증하는 추세다.
연도별 IoT 취약점 신고 건수는 2013년 4건, 2014년 6건, 2015년 130건, 2016년 362건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
올해 2분기 신고된 취약점 유형은 IoT(52%), 애플리케이션(17%), CMS(6%), 액티브 엑스(1%)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IoT 컨트롤러, 블랙박스 등의 새로운 취약점도 접수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박미리 기자 (mil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