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월 2번 실시한 일본은 아직 두드러진 효과 없어
민간기업 따라줄 지 여부도 관건
[세종=뉴스핌 오승주 기자] 일본의 ‘프리미엄 프라이데이’를 본따 도입하는 ‘금요일 조기퇴근제’가 오는 14일 인사혁신처부터 시작된다. 인사혁신처에 이어 21일에는 법제처, 26일 문화체육관광부와 중소기업청, 28일 기획재정부가 참여할 예정이다.
![]() |
한 시민이 여행을 가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뉴스핌 DB> |
금요일 오후4시에 퇴근해 여유시간을 쇼핑이나 문화생활 등에 사용하면서 내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정부 측은 기대하고 있다. 금요일에 2시간 일찍 퇴근하는 대신 월~목요일에 30분씩 업무시간이 연장된다.
정부는 금요일 조기퇴근제의 불씨를 민간기업으로 확산시킨다는 방침이다. 아직 금요일 조기퇴근제에 호응하는 기업은 없지만, 정부가 앞장서 제도를 시행하고 긍정적인 효과가 드러나면 기업들도 자연스럽게 동참할 것이라는 판단이다.
하지만 금요일 조기퇴근제가 기업으로 확산될지는 의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미 2월과 3월에 2번의 금요일 조기퇴근제(프리미엄 프라이데이)를 실시한 일본에서 효과가 미비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마케팅 여론조사 회사 ‘인테지’가 조사한 결과(조사대상 3423명, 2월24일 첫 시행 기준)에 따르면 3.7%만이 조기퇴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96.3%는 회사에서 평소대로 일을 했다는 의미다.
IT·정보시스템 기업 VSN의 실태조사(20~50대 남녀 직장인 1704명·인터넷조사)에서도 첫 금요일 조기 퇴근(2월24일) 이후 실제로 거리에 나가 가게 등을 방문했다는 비율이 5%에 머물렀다. 퇴근 후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응답비율은 절반 가까운 43.9%에 달했고, ‘일을 하고 있었다’는 대답도 35%를 기록했다.
3월에 실시한 조기퇴근제(3월31일)도 효과가 미비했다. 일본의 인터넷언론사 ‘리스폰스’가 실시한 홈페이지를 통한 여론조사에서 8%의 직장인만이 ‘조기퇴근했다’고 답했다.
일본의 노동전문 가미우치 노부히로(神内伸浩) 변호사는 “금요일에 빨리 퇴근한다고 해도 다른 날에 불필요한 초과근무가 늘어나는 경향도 있다”며 “제도를 시행하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사이에 ‘노동 양극화’가 심화될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오승주 기자 (fair7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