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블록체인 컨소시엄 구성…인프로 공동 개발·구축
[뉴스핌=송주오 기자] 은행 등 금융회사의 공인인증서가 다시 이슈로 떠올랐다. 유력한 대선 후보가 공인인증서와 액티브엑스(ActiveX)를 완전 폐지하겠다는 공약을 내놨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시큰둥하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공인인증서 문제가 아니다”며 “보안 프로그램에 대한 표준화가 이뤄지지 않다보니 금융회사별로 각기 다른 프로그램을 요구하는 게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즉, 은행권이 공동으로 쓸 수 있는 보안 프로그램 표준화가 이뤄진다면 불편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말 현재 시중은행 6곳이 과도하게 보안 프로그램 설치를 요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은행의 홈페이지 전체 메뉴 100개 중 75개 이상이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이용할 수 있었다.
금융당국은 이용 목적에 관계없이 보안 프로그램을 관행적으로 설치토록 하고 있다고 판단, 개선을 추진 중이다.
![]() |
공인인증서 로그인창. |
이 같은 흐름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최근 “공인인증서와 액티브엑스(ActiveX)를 완전 폐지하겠다”고 내세웠다.
공인인증서는 지난 2014년 ‘천송이 코트’ 논란(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가 인기를 끈 후 해외에서 드라마에 등장한 옷을 구매하고자 했지만 공인인증서 때문에 포기) 이후 의무 사용이 폐지됐다. 다만 금융거래를 위해선 여전히 필요하다.
현재 전자금융거래 보안과 관련해 금융회사는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렇다보니 회사별로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소비자들은 매번 새로운 프로그램을 깔아야한다. 회사 입장에서도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은행권은 전자금융거래에서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블록체인을 통한 표준화 작업에 나섰다.
블록체인은 거래 정보를 온라인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에게 똑같이 저장하는 시스템이다. 금융거래 시 각 참여자에게 저장된 정보를 확인해 승인할 수 있게 하는 것. 정보가 분산돼 있어 해킹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고 보안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해 11월 은행연합회와 16개 은행, 금융결제원, 금융보안원 등은 '블록체인 컨소시엄'을 발족했다. 컨소시엄은 월 2회 정기회의를 갖고 블록체인 기술 활용 공동사업 발굴, 기술검증, 테스트베드 플랫폼 구축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은행권 공동의 블록체인 서비스는 올 상반기 만나볼 수 있다. 당국과 은행권은 외국환 지정거래은행 변경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상용화할 계획이다. 현재 외국환은행을 변경하려면 신청서를 수기로 처리하거나 팩스와 전화로 신청을 완료해야 하는 등 절차가 복잡하다. 서비스가 개시되면 블록체인을 활용해 자동화로 지정 변경돼 시간이 줄어들고 비용도 감소하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지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의 공인인증서 시스템에 비해 블록체인 기술은 금융소비자의 편의성과 안정성이 동시에 증대될 것”이라며 “동시에 금융산업 내 경쟁이 촉진돼 경쟁력 제고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송주오 기자 (juoh8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