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황유미 기자] 숙명여대 최경민 교수 연구팀이 친환경 미래기술로 주목받는 인공광합성을 구현하기 위한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 |
최경민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사진=숙명여대 제공> |
숙명여대에 따르면 최경민 교수와 미국 UC버클리대 화학과 Omar M. Yaghi 교수 및 Peidong Yang 교수 공동연구팀은 금속유기구조체를 플라즈모닉 나노입자에 코팅해 새로운 형태의 광촉매를 개발했다.
해당 광촉매는 고효율, 고선택성, 고안정성을 특징으로 인공광합성이 빠른 속도로 이뤄지도록 한다. 인공광합성이란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의 화학소재·연료 등으로 전환시키는 기술이다.
해당 기술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광촉매 개발이 필수적이다. 분자형태의 광촉매는 생산물에 대한 높은 선택성을 갖는 장점이 있지만 반응과정에서 안전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
최 교수팀은 분자형태의 광촉매를 다공성 금속유기구조체 내부에 고정한 후 이를 플라즈모닉 나노입자 표면에 코팅해 새로운 형태의 광촉매를 만들어냈다.
플라즈모닉 광촉매는 태양빛이 입사됐을 때 플라즈모닉 나노입자 표면에서 공명현상을 일으켜 에너지 크기를 증폭시킨다. 이 에너지는 금속유기체로 공급돼 내부에 위치한 분자형태 광촉매가 더 효율적으로 반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최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플라즈모닉 광촉매는 지금까지 소개된 적 없는 신소재로서 향후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연료 변환 및 재생산 산업에 커다란 파급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황유미 기자 (hume@newspim.com)